365 632

Cited 0 times in

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안모비대칭의 유형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규식-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3:48Z-
dc.date.available2015-11-22T07:43:4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522-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안모비대칭 환자는 원인과 임상적 변화 양상이 다양하여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완전한 만족을 제공하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악골 전돌증의 악교정 수술을 위해 내원하는 환자들 중 안모비대칭을 동반하는 환자들의 경우 그 유형이 매우 복잡하므로 각각의 조건에 따른 이상적인 수술 방법을 계획함에 있어서 과거의 유형 분석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저자는 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안모비대칭으로 진단 받은 환자 126명을 대상으로 안모비대칭의 유형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이하 두정 방사선 사진 등의 자료를 통해 하악골의 형태적 비대칭 및 상, 하악골의 공간적 비대칭에 대한 유형으로 분류하는 한편 각각의 특징을 분석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경우(113/126, 89.7%)에서 하악골의 형태적 비대칭이 존재하였으며, 과두-상행지의 신장(elongation)과 하악체의 신장을 함께 동반한 경우의 빈도(63/126, 50.0%)가 가장 높았다. 2. 좌, 우 과두-상행지의 수직적 길이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과성장측의 상악골에 보상성 수직 성장이 존재하는 빈도(64/81, 79.0%)가 높았으며, 반대로 과두-상행지의 길이 차이가 없을 경우에는 상악골의 수직 성장에 좌, 우 차이가 없는 경우(16/32, 50.0%)가 다른 경우에 비해 빈도가 높았다. 3. 하악골의 형태적 비대칭이 없는 경우 대부분 하악골의 공간적 비대칭이 존재(13/13, 100.0%)하였다. 4. 좌, 우 과두 길이 차이와 과두-상행지 길이 차이와의 상관관계(r=0.905)는 매우 높았으나, 과두 길이 차이와 하악체 길이 차이 및 하악체 수직 길이 차이와의 상관관계(각각 r=0.502, r=0.310)는 낮았다(p<0.01).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안모비대칭의 경우 하악골 각 성장 단위가 다른 성장 단위에 종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보다는 각 성장 단위가 독립적으로 성장하여 다양한 유형의 안모비대칭이 유발된다고 추측할 수 있으며, 그 양상이 전형적이지 않고 하악골의 각 성장 단위별 변화에 따라 다양한 비대칭이 나타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양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근거로 한 적절한 수술 방법이 계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ccompanying mandibular prognathism have various causes and clinical features. So, it is difficult to find a satisfactory treatment method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Every traditional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to find etiopathogenesis and or to establish ideal surgical modality has many limitations because it can''t be applied simply to various conditions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ccompanying mandibular prognathism. Therefore, we employ a new classification to interpret more details of the morphologic change of mandible and the spatial change of mandible and maxilla. Using Panorama x-ray films, PA cephalograms and submentovertex films of 126 patients diagnosed with facial asymmetry accompanying mandibular prognathism as resour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thered after analyzing each characteristics through distributing the pattern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mandibular asymmetry and mandibular and maxillary spatial asymmetry. 1. Almost frequency(113/126, 89.7%) of morphological mandibular asymmetry was shown. In case of condyle-ramus elongation and body elongation group, it''s frequency(63/126, 50.0%) was the highest. 2. Higher frequency(64/81, 79.0%) of compensating vertical growth was shown on the side of over growing maxilla in case of vertical length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condyle-ramus. On the other hand, higher frequency(16/32, 50.0%) of no compensating vertical growth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side was shown in case of no vertical length difference in condyle-ramus. 3. Spatial mandibular asymmetry generally occurred when there was no morphological mandibular asymmetry(13/13, 100.0%). 4. Correlation(r=0.905) between condyle length difference and condyle-ramus length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side was very high, but correlation(r=0.502) between condyle length difference and body length difference, and correlation(r=0.310) between condyle length difference and body vertical length difference was low(p<0.01). In summary of above results, in case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ccompanying mandibular prognathism,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attern of facial asymmetry is occurred by the independent growth of each unit rather than dependent growth of other unit by major growth unit abnormality. Due to the untypical pattern and the various asymmetry occurr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each mandibular growth unit, it is considered that an appropriate surgical method should be searched based on th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each pattern for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accompanying mandibular prognathism.-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안모비대칭의 유형 분석-
dc.title.alternativeFacial asymmetry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a new trial of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Kyu Si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