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378

Cited 0 times in

임프란트 미세나사선이 주위골 수준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년간의 전향적 비교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동환-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2:57Z-
dc.date.available2015-11-22T07:42:5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92-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임프란트 치료의 성공은 임프란트 주위골의 유지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주위골 수준의 안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임프란트의 표면처리형태와 유지요소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들어 대부분의 연구에서 임프란트의 표면은 거친 형태일 때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여러 형태의 치관부의 유지요소에 대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특한 치관부 유지요소인 미세나사선이 주위골 수준의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사용된 Astra Tech Implant (Astra Tech AB, M lndal, Sweden)는 거친 표면을 가지며 치관부 형태가 경사면과 미세나사선을 갖는 Astra Tech Single Tooth Implant (ATST)와 치관부 형태가 평행하며 미세나사선을 갖지 않는 Astra Tech TiOblast Implant (ATTB)의 두종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치주과에 내원하여 치주치료와 발치를 시행한 후 자가 치태조절교육을 받은 환자의 부분 무치악 부위에 두 종류의 Astra Tech Implant를 인접매식하고 고정성 보철물에 의해 1년간의 기능적 부하를 받은 17명의 환자의 방사선 사진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미세나사선이 임프란트 주위골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TST와 ATTB의 근원심면의 평균 골소실량은 각각 0.226 0.395mm, 0.440 0.360mm이며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ATST와 ATTB의 부위별 골소실량은 상악에서는 각각 0.269 0.265mm, 0.529 0.417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하악에서는 0.167 0.231mm, 0.313 0.214mm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ATST와 ATTB의 골질에 따른 골소실량은 모든 골질에서 ATST가 ATTB보다 적은 골소실을 보였으며 골질III에서는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ATST가 ATTB보다 적은 골소실량을 보였으며 ATST의 유지요소인 미세나사선(MicrothreadTM)이 골수준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추후 골수준 유지에 미치는 임프란트의 형태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영문] The success of dental implant therapy relies mainly upon the presence and maintenance of bone adjacent to implant. An 1-year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upon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chronic adult periodontitis, and had been treated with dental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radiographic bone level changes proximal to Astra Tech Single Tooth Implants (ATST, Astra Tech AB, M lndal, Sweden) with microthread and Astra Tech TiOblast Implant (ATTB) without microthread supporting fixed partial prosthesis. Measurements were used to determine mean marginal bone loss during the first year of loading. 17 subjects with its partial prosthesis supported by 37 implants were followed up for an 1-year period. The marginal bone loss of impla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tention factor, microthread (MicrothreadTM) in crestal area of AT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rginal bone loss of ATST was 0.226 0.395mm, while ATTB was 0.440 0.360m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2. The mean bone loss of the upper jaw fixtures was 0.269 0.265mm for ATST and 0.529 0.417mm for ATT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In the lower jaw the corresponding figures were 0.167 0.231mm and 0.313 0.214m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3. The mean bone loss of ATST was lower than that of ATTB at all sites according to bone qua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at bone quality type III (p<0.05). In conclusion, the mean bone loss of ATST was smaller than that of ATTB. therefore, the retention factor of crestal area, microthread (MicrothreadTM) was effective to maintenance of marginal bone level around fixtur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임프란트 미세나사선이 주위골 수준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년간의 전향적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An) 1 year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evaluating the effect of microthread on the maintenance of marginal bon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Dong Hw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