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2 694

Cited 0 times in

심부전 환자의 자기관리 전화모니터링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은경-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2:55Z-
dc.date.available2015-11-22T07:42:5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91-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증상경험으로 고통받고 있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증상경험과 자기관리 이행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며, 2003년 3월 25일부터 5월 25일까지 서울 시내 소재 S종합병원 심장내과 외래를 방문한 심부전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편의 추출하여,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으로 총 33명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전화모니터링으로, 매회 15-30분, 매주 1회씩, 4회 반복 적용하여 4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관리 측정 도구>로 연구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자기관리 이행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1.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전화모니터링이 증상경험과 자기관리 이행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가설검증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증상경험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사전 증상경험 및 자기관리 이행정도에 대한 동질성 검사에서 모든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 2.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한 실험군은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관리 이행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전화모니터링 실시 후 자기관리 이행정도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Z=-3.909, p<0.001),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즉,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관리 이행정도가 높게 측정되어 전화모니터링이 자기관리의 이행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 2가설인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한 실험군은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증상경험의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실험군의 경우 전화모니터링을 실시하기 전보다 전화모니터링을 실시 한 후 ‘운동시 호흡곤란’,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온몸이 무겁거나 피곤함’, ‘발목이나 다리부종’, ‘가슴불편감 또는 가슴통증’ 등 증상경험의 정도가 모두 감소된 반면 대조군의 경우에는 증가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설 2는 기각되었다. 3. 전화모니터링 실시 후 시간경과에 따른 증상경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한 ‘운동시 호흡곤란’, ‘온몸이 무겁거나 피곤함’,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발목이나 다리부종’, ‘가슴불편감 또는 가슴통증’, ‘하루 0.9㎏ 이상의 체중증가’ 등 증상경험의 빈도와 정도 양상이 전화모니터링 실시 후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화모니터링 실시 후 시간경과에 따라 심부전 환자의 부정적인 증상경험은 완화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정에서의 심부전 환자 관리에 전화모니터링을 적용하는 것이 다양한 증상경험과 자기관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므로, 전화모니터링이 가정에서의 심부전 환자 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입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임상에서 증상을 완화시키고 자기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로서 전화모니터링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tandardized telephone monitoring intervention in addressing the symptom experience and improving self-management abil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hange in symptom experience for those receiving telephone monitoring.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using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3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NYHA Class II or III. The study was done at the cardiac center of ''S'' Hospital in Seoul,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5, 2003 to May 25, 2003. All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2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17) who participated in telephone monitoring and a control group (16) who were not involved in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otocol,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5-30 minutes of telephone monitoring four times, once a week for 4 weeks. Specifically, the investigator monitored, educated and counseled patients regard- ing such topics as medication adherence, diet recommendations, and identifica- tion of worsening signs and symptoms using a standardized format based on national guidelines. A self-management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this investigator was used to determine compliance. The degree and frequency of 5 symptoms(dyspnea on exertion (DOE), continuing fatigue, paroxysmal nocturnal dyspnea(PND), ankle swelling or peripheral edema, chest discomfort or chest pain) were also measured, before as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by χ2-test, repeated measure ANOVA,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 Rank test using SPSS 11.0 for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ffect on self-man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elephone monitor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pliance with self- management such as daily weight monitoring(Z=-4.068, p=0.000), adherence to medication(Z=-3.822, p=0.000), low-salt diet(Z=-2.862, p=0.004), fluid restriction (Z= -2.511, p=0.012), and regular exercise(Z=-2.717, p=0.00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Effects on symptom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gree for 3 symptoms (DOE, PND, continuing fatigue)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elephone monitoring. Bu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telephone monitor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gree of the total symptom experience. 3. Patterns of change in symptom experience: The degree and frequency of symptom experience(DOE, continuing fatigue, PND, ankle swelling or peripheral edema, chest discomfort or chest pain, a weight gain of 0.9㎏ per day)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course of telephone monitor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standardized telephone monitoring is effective in relieving symptom experience and improving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over the course of telephone monitoring. This study, as well as several others, confirms the practical utility of telephone monitoring for patients with heart fail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best way to implement a telephone monitoring interven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which of these components is essential and if a briefer, or less intense intervention will be as effective in this patient popul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심부전 환자의 자기관리 전화모니터링 효과-
dc.title.alternativeEffect of self-management telephon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Eun Kye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