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 796

Cited 0 times in

정상 성인에서 반복 경두부 자기 자극에 의한 대뇌피질 운동 영역의 흥분성 변화가 동측 손가락 운동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소영-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2:26Z-
dc.date.available2015-11-22T07:42:2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7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뇌 운동 영역에 대한 기능적 검사방법들이 발달하면서 운동과 뇌활성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손 운동에서 동측의 대뇌반구가 함께 활성화된다는 결과들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 었다. 지금까지 양측 대뇌반구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운동을 시켰을 때 대뇌피질의 변화를 보여준 연구들이 많았고, 반대로 대뇌피질 운동 영역 흥분성의 변화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최근 들어 반복 경두부 자극이 대뇌피질의 흥분성을 촉진 혹은 감소시킨다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대뇌 피질 영역에 대한 평가 및 치료적 도구로서의 이용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속 반복 자기자극을 이용하여 유도된 대뇌피질의 흥분성 변화가 양측 손에서의 손가락 운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사하여 양측 대뇌 반구의 상호작용 양 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른손잡이인 정상성인 16명을 대상으로 손에 해당되는 일차 운동영역에 1Hz, 역치하 자극강도의 반복 경두부 자기자극을 1200회 가한 후 양측 손가락 운동의 반응시간을 자극 전과 비교하였고, 단순, 순차, 복잡 배열에서의 반응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복 경두부 자기자극을 편측의 운동영역에 가한 후 양측의 손가락 운동의 반응시간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2. 반응시간의 증가는 반응 직후에 가장 뚜렷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그 변화의 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반복 경두부 자기자극 후 단순, 순차 및 복잡 배열의 손가락 운동에서 반응시간은 자극 전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 운동 배열간에 반응시간 증가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4. 각 대뇌반구에 반복 경두부 자기자극을 가하고 동측의 손가락 운동에 미치는 영향만을 비교했을 때 자극 전에 비해 반응시간이 의미 있게 느려졌다. 5. 각 대뇌반구 반복 경두부 자기자극 후 반대측의 제일 등쪽뼈사이근에서 측정한 운동 유발전위는 진폭이 감소하였다 [영문] Functional imaging and behavioral studies suggest involvement of the ipsilateral hemisphere in hand movements. If this is so, transient disturbance of the motor cortex(M1) with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rTMS) may affect ipsilateral motor movements. We studied 16 healthy right-handed subjects who played a simple, a sequential and a complex keyboard movement. Response time(RT) for each movement and motor evoked potential(MEP) amplitud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rTMS. Low frequency(1Hz) subthreshold rTMS was delivered to the right-sided M1 and 1-week later it was delivered to the left-sided M1. M1 stimulation on either side induced delayed response time and reduced MEP amplitude in all sequences in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han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mplexities. And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hemispheric stimulation. Subthreshold low frequency rTMS reduced the stimulated M1 cortical excitability. And it also can reduce the excitability of the unstimulated M1.-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상 성인에서 반복 경두부 자기 자극에 의한 대뇌피질 운동 영역의 흥분성 변화가 동측 손가락 운동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Modulation of human motor cortical excitability b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Soh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