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9 646

Cited 0 times in

후전방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안면 비대칭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혁-
dc.date.accessioned2015-11-22T07:38:55Z-
dc.date.available2015-11-22T07:38:5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339-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하악과두는 하악성장의 주요 부위이다. 최근들어 측두하악관절의 과두-원판 복합체 장애가 하악과두의 성장에 영향을 주거나 과두 관절면의 재형성을 일으켜 안면 하방부의 골격의 비대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장애와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편측에만 측두하악관절장애가 있는 환자군 50명과 정상군 20명을 대상으로 후전방두부규격 사진상에서 안면 및 하악의 높이, 정중선으로 부터의 하악의 너비, 하악 정중선 편위를 측정하여 안면의 비대칭 정도를 조사하였고 환자군에서 이환측과 비이환측을 비교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군의 안면고경과 하악고경의 비대칭 지수가 정상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하악의 너비에서는 두 집단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2.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군의 하악 정중선 편위가 정상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하악의 정중선은 이환측으로 편위되는 경향을 보였다.3. 환자군의 이환측과 비이환측의 비교에서 이환측의 안면고경, 하악고경이 비이환측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하악의 너비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위의 연구결과는 정상군보다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안면 비대칭의 정도가 더 크고 , 이환측의 안면 고경과 하악 고경이 짧으며, 하악이 이환측으로 편위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Mandibular condyle is a major site of mandibular growth.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condyle-disk complex disorder of temporomandibular joint can influence the growth of condyle and induce facial asymmetr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on facial asymmetry. Fifty patients with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nd 20 controls were selected. The facial height, mandibular height, mandibular width of both sides, and midline deviation were measured from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in order to evaluate facial asymmetry. In the patient group, the symptomatic side and the normal side were compared.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1. The asymmetry indices of facial height and mandibular heigh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mandibular width.2. Mandibular midline devi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and the mandible showed a tendency to deviate to the symptomatic side.3. In the patient group, the facial height and mandibular height of symptomatic side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normal side.(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dibular width between the symptomatic side and the normal side.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s show greater degree of facial asymmetry than normal subjects, and the facial height and the mandibular height of the symptomatic side are shorter than those of the normal side. In addition, the mandible tends to deviate to the symptomatic side. Therefore, a careful assessment of facial asymmetry is needed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후전방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편측성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안면 비대칭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acial asymmetry in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using posteroanterior ceph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In Hyu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