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649

Cited 0 times in

RET/PTC and CK19 expression in papillary carcinoma and its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은아-
dc.date.accessioned2015-11-22T07:36:17Z-
dc.date.available2015-11-22T07:36: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36-
dc.descriptionDept. of Medical Science/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갑상선 유두암은 갑상선 종양 중 가장 흔한 것으로서 그 예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유두암은 그에 특이한 세포학적 형태, 특히 핵의 모양이 진단적인 것으로 되어왔으나 그러한 세포형태가 애매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존재할 경우에 진단에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면역화학적 표지자들이 연구되어왔으며 이 중에서도 그 특이성에 대하여 아직 논란은 있지만 CK19가 갑상선 유두암의 진단에 가장 유용하다는 보고들이 알려져 있다. 최근 갑상선 유두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단계의 변화 중 가장 흔한 것으로 RET 원종양유전자의 재배열이 보고되었으나 이의 빈도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임상적 예후와의 관련성도 보고마다 많은 차이가 있다. 한국인의 갑상선 유두암에서 RET/PTC 재배열의 빈도 역시 보고마다 차이가 있으며 임상적 예후와의 관련성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는데 이를 위하여 저자는 3mm-core tissue microarray를 사용하여 115개의 한국인 갑상선 유두암에서 Ret 과 CK19의 면역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발현 빈도와 임상적 변수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115개의 갑상선 유두암 중 62.6%인 72개에서 Ret에 대하여 양성이었고 80.9%인 93개에서 CK19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이러한 빈도는 서방에서의 면역화학적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Ret과 CK19의 일치도는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환자의 나이나 성별, 종양의 크기, 주변 임파선으로의 전이 여부, 주위조직으로의 침윤 여부, 그리고 종양의 다발성등과 Ret의 발현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갑상선 유두암에서 Ret 단백의 발현 빈도와 임상적 변수와의 연관성은 지금까지의 보고와 큰 차이가 없으나 Ret에 대한 면역화학적 염색은 CK19와 함께 갑상선 유두암의 진단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arising in the thyroid, with an excellent long-term survival rates. Its diagnosis has rested on the characteristic nuclear features, but problem arises with unequivocal cytologic features that are present focally or multifocally. Although controversial, CK19 has been reported to be a useful ancillary tool for diagnosing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Recently, the rearrangement of RET proto-oncogene has been reported to be the most common genetic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PTC. However, its prevalence has been reported variably and its correlation with clinical outcome has been controversial.To evaluate the expression rate of RET/PTC rearrangement and CK19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a Korean population and its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we studied 115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in 3mm-core tissue microarray bas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he prevalence of Ret protein expression was 62.6% (72 out of 115 cases) and the CK19 immunoreactivity was 80.9% (93 out of 115 case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which were in accord with those in Western countri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Ret positivity and CK19 immunoreactivity, although the percent agreement of the two was relatively high. The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i.e. age, sex, size of the tumor,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perithyroidal extension, and multiplicity, did not correlate with the expression of Ret.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Ret protein expression and its clinicopathological implications in a Korean population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ts detection via immunohistochemistry can be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diagnosing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conjunction with CK19.-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RET/PTC and CK19 expression in papillary carcinoma and its clinicopathologic correl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Eun Ah-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