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 459

Cited 0 times in

수종의 흡수성 차단막의 생체 분해도와 조직학적 반응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석헌주-
dc.date.accessioned2015-11-22T07:36:01Z-
dc.date.available2015-11-22T07:36:0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227-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치주 치료의 최종 목표는 파괴된 치주조직을 예측성 있는 방법으로 재생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다양한 치료법이 발전되고, 많은 재료들이 개발되어왔다. 조직 유도 재생술은 비흡수성 차단막의 개발과 더불어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대표적인 술식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비흡수성 차단막이 갖고 있는 여러 임상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흡수성 차단막들이 개발되었으며, 우수한 임상적 효과를 보여왔다. 이번에 새로 개발된 Para-Dioxanone membrane은 여태까지 전반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차단막들이 mesh로 직물 구조였던 것에 비하여 그 구조가 부직포인 것이 다른 특징이다. 또한 키토산을 이용한 차단막은 키토산의 장점인 골형성 유도능력을 조직 유도 재생술에서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미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차단막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차단막의 흡수도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그러나 차단막의 흡수도는 임플란트 술식이나 치조제 증대술 등에서 장기간의 흡수시간과 공간 유지가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흡수시기의 확인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등부에 4mm×4mm 크기의 Resolut , Biomesh , Para-Dioxanone membrane과 키토산 차단막을 이식한 후 4주, 8주 12주에 희생하여, 조직학적인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esolut 에서 차단막 외형의 크기는 4주, 8주, 12주에서 5.76±2.37mm2, 4.91±1.06mm2, 4.90±0.98mm2 이며 차단막 내부로의 조직 함입 비율은 각각 31.6±4.5%, 52.8±9.4%, 56.4±5.1%였다. ⅵ/ 2. Biomesh의 경우 차단막 외형의 크기는 4주, 8주, 12주에서 3.62±0.82mm2, 3.63±0.76mm2, 4.07±1.14mm2 이며 차단막 내부로의 조직 함입 비율은 각각 26.1±5.8%, 30.9±3.4%, 29.2±3.6%였다.3. Para-Dioxanone membrane은 외부가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이며 내면과 외면으로 흡수가 진행된다. 차단막 외형의 면적은 4주, 8주, 12주에서 각각 5.96±1.05mm2, 4.77±0.76mm2, 3.86±0.84mm2 였으며, 차단막 내부로의 조직 함입 비율은 각각 30.7±5.1%, 53.3±4.4%, 69.5±3.1% 였다.4. 키토산 차단막의 섬유들은 각각 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흡수가 외면에서 진행되는 양상이었으며, 염증세포의 침윤이 적으며 조직 친화성이 우수하다. 흡수속도는 비교적 느렸다. 차단막 외형의 면적은 4주, 8주, 12주에서 각각 6.01±2.01mm2, 5.49±1.3mm2, 5.06±1.38mm2 였으며, 차단막 내부로의 조직 함입 비율은 각각 31.3±3.6%, 38.4±3.8%, 39.7±5.6% 였다. 종합하여 보면, Para-Dioxanone membrane은 흡수가 빠르며, 8주에는 흡수가 상당히 진행되어 조직 유도 재생술식에 적합한 흡수률을 가지며, 키토산 차단막은 조직 반응이 우수하고 생체 친화성이 뛰어나 임상적으로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키토산의 골형성 유도 능력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흡수 시간이 비교적 길어 임플란트나 치조능 재건술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 The major goals of periodontal therapy are the functional regeneration of periodontal supporting structures already destructed by periodontal disease. There have been nany efforts to develop materials and therapeutic methods to promote periodontal wound healing. With the development of non-resorbable membrane, GTR has proved to be the representive technique of periodontal regeneration. However, due to various clinical problems of non-resorbable membrane, resorbable membrane was developed and it showed to be clinically effective. The newly developed Para-Dioxanone membrane has a characteristic of non-woven fabric structur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ly used membranes with structure of mesh form. In addition, Chitosan membrane has been developed to apply its adventage maximally in GTR. Although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membranes had been clinically used, researches on absorption rate of membranes were inadequate and limited to subjective opinions. However, since long term period of resorption and space maintenance are required in implant or ridge augmentation, accurate verification of resorption rate is clinically important. In this study, we had implanted Resolut , Biomesh , Para-Dioxanone membrane and Chitosan membrane (Size : 4mm×4mm) on dorsal side of Sprague Dawley rat, and sacrificed them after 4 weeks, 8 weeks, 12 weeks respectively. Histologic observationwas carried ou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objective resorption rate. 1. In case of Resolut , external resorption took place initially, followed by internal resorption. Surface area are 5.76±2.37mm2, 4.91±1.06mm2, 4.90±0.98mm2 at 4 weeks, 8 weeks, 12 weeks respectively, and invasion rate of connective tissue to membrane are 31.6±4.5%, 52.8±9.4%, 56.4±5.1% respectively. 2. Biomesh  showed a pattern of folding, relatively slow resorption rate with small size of membrane. Surface area are 3.62±0.82mm2, 3.63±0.76mm2, 4.07±1.14mm2 at 4 weeks, 8 weeks, 12 weeks respectively, and invasion rate of connective tissue to membrane are 26.1±5.8%, 30.9±3.4%, 29.2±3.6%, respectively. 3. Para-Dioxanone membrane was surrounded by fibrous conncetive tissue externally, and resorption took place internally and externally. Surface area are 5.96±1.05mm2, 4.77±0.76mm2, 3.86±0.84mm2 at 4 weeks, 8 weeks, 12 weeks respectively, and invasion rate of connective tissue to membrane are 30.7±5.1%, 53.3±4.4%, 69.5±3.1%, respectively. 4. Each fiber of Chitosan membrane was surrounded by connective tissue and showed external resoption pattern. It showed little invas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excellent biocompatability. The resorption rate was relativelly slow. Surface area are 6.01±2.01mm2, 5.49±1.3mm2, 5.06±1.38mm2 at 4 weeks, 8 weeks, 12 weeks respectively, and invasion rate of connective tissue to membrane are 31.3±3.6%, 38.4±3.8%, 39.7±5.6%, respectively.Consequantly, Para-Dioxanone membrane and Chitosan membrane are found to be clinically effective for their excellent tissue reaction and biocompatibility. Futhermore, the advantage of bone regenerating ability as well as the relatively long resorption period of Chitosan membrane, it might be widly used in implant or ridge augment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수종의 흡수성 차단막의 생체 분해도와 조직학적 반응-
dc.title.alternativeResorbability and histological reaction of bioabsorbable membranes.-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