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655

Cited 0 times in

Primary liver carcinoma of 'intermediate' (hepatocyte-biliary epithelial cell) phenotype

Other Titles
 원발성 ‘중간형’ (간세포-담관상피세포) 간암종 
Authors
 김혜령 
Department
 Dept. of Pathology (병리학교실) 
Issue Date
2003
Description
Dept. of Medical Science/석사
Abstract
[한글]

원발성 간암종은 일반적으로 각각 간세포나 전구 간세포,그리고 담관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는 간세포암종과 담관상피암종으로 분류한다. 그외에 혼합 간세포-담관상피암종이 보고된 바 있으며, 이러한 암종의 기원세포로는 난원 모양이 전구세포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이러한 난원 모양의 전구세포는 간세포와 담관상피세포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이중분화능력을 가진 세포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과 담관상피 암종의 중간형태를 보이는 '중간형'의 원발성 간암종을 대상으로 간세포 표지자(alpha-fetoprotein, hepatocyte), 담관상피세포 표지자 (carcinoembryonic antigen,cytokeratin 19) 및 전구세포(progenitor cell) 표지자(c-kit)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을 시행하여 이러한 '중간형'(간세포-담관상피세포) 간암종이 간에 존재하는 전구세포에서 기원하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총 48 예의 원발성 간암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0 예는 '중간형'(간세포- 담관상피세포)간암종으로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코드상 배열을 취하고 있는 작고 크기가 일정한 둥근 또는 난원형 종양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종양세포들은 세포질이 적으면서 과염색성의 핵을 갖고 있었다. 또한 4 예는 혼합

간세포-담관상피암종의'이행성'아형으로 분류하였다. 9예는 형태학적으로는 거의 전형적인 간세포암종의 소견을 보였으나, 좀더 작은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들은 소세포성 간세포암종으로 분류하였다. 나머지 24 예는 20 예의 전형적인 간세포암종과 4 예의

전형적인 담관상피암종으로 분류하였다.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결과,10 예의'중간형' (간세포-담관상피세포) 암종 중 6 예에서는 간세포 및 담관상피세포 표지자가 동시에 발현되었으며, 6 예는 c-kit염색에 양성을 나타냈다.4 예의 '이행성' 혼합 간세포-담관상피암종 중에서는 2 예가 간세포와 담관상피세포으 표지자를

동시에 발현하였고, 이 2 예 중에서 1예에서 c-kit를 발현하였다.소세포성 간세포암종 중 3 예에서 간세포와 담관상피세포의 표지자가 모두 양성이었으나 c-kit를 발현하는

예는 없었으며,나머지 6 예에서는 모두 c-kit를 발현하였으나 담관상피세포 표지자를 발현하는 예는 없었다.전형적인 간세포암종은 모두 간세포 표지자만 발현하였으며,전형적인 담관상피암종은 모두 담관상피세포 표지자만 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중간형'(간세포-담관상피세포)간암종은 간세포와 담관상피세포로의 이중분화능력을 갖는 전구세포로부터 기원한 간암종으로 특별한 아형을 생각된다.

[영문]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of 'oval-like' hepatic progenitor cell in human liver disease. It is a matter of debate whether primary liver carcinoma with 'intermediate'(hepatocyte-biliary epithelial cell) phenotype arises from transformed progenitor cells with the bio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hepatocytes and biliary epithelial cells. In this study, primary liver carcinomas with intermediate features were identified and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epatocytic markers (alpha-fetoprotein and hepatocyte), biliary epithelial cell markers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ytokeratin 19) and progenitor cell marker (c-kit), in order to study the orgin of primary 'intermediate' carcinomas.



Forty-seven cases of primary liver carcinomas were the subject of study, and ten of these cases demonstrated strands or trabeculae of small,uniform, round to oval cells with scanty cytoplasm and hyperchoromatic nuclei embedded within a thick desmoplastic stroma, and hence named 'intermediate'(hepatocyte-

biliary epithelial cell) carcinomas. Four cases were designated transitional type CHC. Nine were named HCC, small cell type, demonstrating morphological features almost compatible with typical HCCs except that they were composed of smaller cells. The remaining cases consisted of 20 typical HCCs and

4typical CCs. Six of 10 'intermediate' carcinomas showed simultaneous expression of hepatocytic(AFP or hepatocyte) and biliary (CEA or CK19) markers and six showed positive immunohistochemistry for c-kit. Of the 4 cases of

transitional CHCs, two expressed both hepatocytic and biliary markers, and one of these 2 cases ws positive for c-kit. Three cases of HCC,small cell type were positive for both hepatocytic and biliary markers but none expressed c-kit and the other 6 cases demonstrated expression of c-kit but were negative

for biliary markers. The 20 typical HCCs expressed only hepatocytic markers and the 4 typical CCs expressed only biliary marker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intermediate'(hepatocyte-biliary epithelial cell) carcinoma is a distint type of primary liver carcinoma orginating from transformed hepatic progenitor cells that have the bio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both hepatocytic and biliary lineage.
Files in This Item:
T00737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athology (병리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Hae Ryoung(김혜령)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1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