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4 907

Cited 0 times in

대장 및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후 재발 형태에 대한 분석

Other Titles
 Recurrence patterns after curative resection of colorectal cancer. 
Authors
 이강영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 나라에서 대장·직장암은 전체 암의 10.4%로 4번째로 호발하는 암이고 과거에 비하여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사망률도 증가되고 있다. 대장·직장암의 재발 형태 및 재발 위험 인자에 대한 연구의 의의는 치료 실패의 원인과 형태의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의 치료 방법을 평가하고 재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환자별로 위험 요인에 근거한 개별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대장·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재발율, 재발 호발 시기, 재발의 형태를 알아보고 재발의 위험 요인을 찾고자 한다.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대장·직장의 선암으로 진단을 받고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은 1506 명의 환자 가운데 생존과 재발 여부에 대하여 추적 관찰이 된 1410명의 환자를 대장암과 직장암으로 분류하고 각각을

재발이 있는 환자 군과 재발이 없는 환자 군으로 분류하여 근치적 절제후 재발율, 재발의 호발 시기, 재발의 위험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재발의 형태는 국소 재발, 전신 재발, 병합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재발 형태의 분류는 재발이 처음 진단된 당시를 기준으로 하였다. 얻어진 자료의 통계는 SPSS 10.0 program으로 처리하였다. 각 변수간의 비교는 chi-square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고 재발의 독립적 위험인자는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통하여 구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고 p-value는 0.05 미만인 경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하였다. 추적 관찰 중에 대상 환자 1410명에서 341명(24.2%)이 재발하였고 재발 시기의 중앙값은 수술후 20.2개월이었고 재발후 사망까지의 중앙값은 12.2개월이었다. 재발의 형태는 국소영역재발이 5.2%, 전신재발이 14.6%였고 국소영역재발과 전신 재발이 동반된 형태가 3.4% 였다. 임상병리학적인 인자의 비교에서 병기가 진행된 군에서 유의하게 재발율이 높았고 재발이 있는 군에서 전이 림프절 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다변량분석 결과 장막 침윤, 림프절 전이, 수술전 CEA 수치, 종양의 위치(직장암)가 재발의 독립적 위험인자였다. 병기별 전신재발율은 대장암의 경우 stage I; 1.4%, stage II; 7.6%, stage III; 21.6% 였고 직장암의 경우 stage I; 4.6%, stage II; 14.6%, stage III; 26.5% 였다. 병기별 국소재발율은 대장암의 경우 stage I; 1.4%, stage II; 3.8%, stage III; 5.3% 였고 직장암의 경우 stage I; 3.9%, stage II; 6.7%, stage III; 7.3% 였다. 병기별 재발율은 대장암, 직장암 모두에서 병기가 증가할수록 국소 재발의 증가는 크지 않았지만 전신 재발은 많이 증가하였다. 대장암, 직장암 모두에서 재발은 2년 이내에 호발하였다.(대장암;66.1%, 직장암;61%) 결론적으로 대장·직장암에서 재발은 대개 2년 이내에 호발하고 재발이후 예후는 매우 불량하였다. 병기가 증가할수록 재발율은 증가하였으며 특히 전신 재발율이 많이 증가하였다.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위험 인자로는 장막 침윤, 림프절 전이, 수술전 CEA 수치 등이 있었고 직장암에서 대장암보다 재발이 많았다. 따라서 대장 직장암 치료후 진행된 병기에서 전신 재발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te and pattern of recurrence of colorectal cancer as well as analyze the risk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with curative intent. 1506 patients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colon and rectum at our clinic from 1989 to

1998. Among these, 341 patients(24.2%) whose recurrence was confirmed by clin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 or reoperation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risk factors that determined the recurrence patterns were analysed wi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median time to recurrence was 20.2 months and the median time to the death from recurence was 12.2 months. The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was 5.2%. The systemic recurrence rate was 14.6%. 48 patients had two or more sites of recurrence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patients who showed recurrence showed advanced stage and had much more metastatic lymph nod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roal invasion, nodal metastasis, elevat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EA level, and tumor location(colon vs. rectum) were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recurrence. When the recurrence patterns were compared to the stage, the systemic recurrence rate in colon cancer was 1.4% in stage I, 7.6% in

stage II, and 21.6% in stage III and the systemic recurrence rate in rectal cancer was 4.6% in stage I, 14.6% in stage II, and 26.5% in stage III. The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in colon cancer was 1.4% in stage I, 3.8% in stage II, and 5.3% in stage III and the locoregional recurrence rate in rectal cancer was 3.9% in stage I, 6.7% in stage II, and 7.3% in stage III. Even though an excellent local control was obtained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of rectal cancer, the main cause of recurrence was a systemic failure in advanced rectal cancer. More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y is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systemic recurrence.
Files in This Item:
T0071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Kang Young(이강영)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