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550

Cited 0 times in

위암 절제 후 종양표식자 추적검사의 의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용일-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7:42Z-
dc.date.available2015-11-22T07:27:4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906-
dc.description의과학사업단/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종양관련 항원인 종양표식자는 소화기계 악성종양의 진단 및 재발의 예측인자로 연구되어 왔다. 종양표식자는 종양의 조기발견, 양성질환과의 감별, 치료 후 추적 관찰 및 치료에 대한 반응유무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나, 민감도 및 특이도가 종양에 따라 또는 발생종양의 원발 장기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어 혈중농도의 차이를 보이며, 이로 인해 양성율이 낮은 종양의 경우 유용성 및 예후인자로서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위암으로 단일 기관에서 표준술식에 따라 근치적 위절제술 및 D2 이상의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및 예후 등과 관련한 CEA 및 CA19-9의 혈청내 검사치의 변화를 알아보고, 단독 및 동시비교의 분석을 통해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CEA의 양성율과 상관관계를 보인 임상병리학적 인자로는 침윤도, 림프절 전이, 암병기 등이 있었고, 암병기에 따른 CEA의 평균치간에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추적 기간중 사망한 예에서 CEA 값이 정상 참고치 이상으로 증가를 보인 경우에서 CEA 값의 상승은 사망시점으로부터 평균 13.1개월 전부터 나타났고, 증가된 CEA 평균은 176.5 IU/mL였다. CA19-9의 양성율과 상관관계를 보인 임상병리학적 인자는 종양의 크기, 침윤도, 림프절 전이, 암병기 등이 있었다. 사망한 환자중 추적기간동안 CA19-9 증가를 보였던 경우, CA19-9의 증가는 사망 전 약 11.4개월부터 나타났고, 증가된 CA19-9는 평균 114.6 U/mL였다. 두 종양표식자의 동시검사에서 양성율은 30.0%로 단독검사에 비해 높은 양성율을 보였고, 동시검사의 양성율과 비교에서 의의있었던 인자로는 림프절 전이, 종양의 크기, 침윤도, 암병기 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종양표식자의 단독검사 및 동시검사의 비교에서, 단독검사와 상관관계가 있었던 침윤도, 림프절 전이, 암병기 등은 동시검사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CEA와 CA19-9의 양성율에 따른 침윤도 및 림프절 전이소견의 상관관계 비교에서 CA19-9 양성의 경우가 더욱 진행된 침윤도 및 원격림프절 전이 소견을 보여, 수술 전 CA19-9 양성의 환자에서 더욱 적극적인 림프절 곽청술 및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peri-operative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arbohydrate antigen(CA)19-9 determina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has been controversial. The correlation between peri-operative serum CEA/CA19-9 level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were evaluated in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with radical lymphadenectomy. The positive rates for CEA and CA19-9 were 17.9% and 18.4%, retrospectively. The CEA positivity is related to the depth of invasion(p=0.040), lymph node metastasis(p=0.000) and stage of cancer(p=0.001). The CA19-9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pth of invasion(p=0.000), lymph nodal status(p=0.000) and stage(p=0.000). The positive rate of combined assay of preoperative CEA and CA19-9 was 30.0%.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stage, as well as the depth of invasion and the degree of lymph node metastasis among the four groups of combined assay. Distinctly the survival rat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vity of CEA and/or CA 19-9(p=0.000). It should be stressed that even a simple blood test, prior to surgery, could be useful in establishing depth of invasion, the status of lymph nodal involvement and the prognosis. The aggressive lymphaden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atients with positive level of preoperative CA19-9 for improvement of survival.-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위암 절제 후 종양표식자 추적검사의 의의-
dc.title.alternative(The) significance of follow-up examination of tumor marker after radical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ati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ong Il-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