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363

Cited 0 times in

공단 지역주민과 근로자의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

Other Titles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and perceived benefit among residents and workers in industrial area. 
Authors
 김명현 
Issue Date
2002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공단 인근 지역주민과 근로자집단을 대상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해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을 조사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 및 관련성을 파악하고,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반월?시화공단에서 중점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선정하여 총 329명의 지역주민과 328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2002년 4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경위해도 인식, 지식, 정부규제의 신뢰정도, 인지된 편익을 조사하였다. 지역주민과 근로자간의 환경오염 유발가능 요소에 대한 환경위해도 인식, 지식, 정부규제의 신뢰정도, 인지된 편익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와 인지된 편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주민이 근로자집단에 비해 환경위해성을 크게 인식하였고, 환경오염 유발가능 요소에 대해 관련지식이 많았으며, 정부규제에 대해 신뢰하는 정도는 낮았고, 인지된 편익도 낮아 지역주민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조사대상 항목별로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지역주민은 ‘소각장’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는데, 즉, 소각장 가동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위험정도를 낮게 인식할수록 이로 인한 편익을 높게 인식하였고, 근로자집단에서는 ‘펄프(종이)’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정부규제에 대한 신뢰정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일부 항목에서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의 상관성이 다소 감소되었는데, 정부에 대한 신뢰성이 위해도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환경위해도 인식의 차이는 응답자 특성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지역주민의 경우는 연령별로, 근로자들은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인지된 편익은 지역주민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해당지역 거주기간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로자집단에서는 교육수준별로 편익을 다르게 인지하였다.

전체 환경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였으며, 지역주민은 연령,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에 따라 인식에 차이를 보였고, 근로자의 경우는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에 따라 위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전체 인지된 편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였으며, 지역주민에서는 성별, 연령별로, 근로자들은 교육수준, 정부규제의 신뢰정도에 따라 편익을 인지하는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공단지역에서 중점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경오염 유발가능 요소에 대해 지역주민과 근로자의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을 조사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고, 환경위해도 인식과 인지된 편익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정부에 대한 신뢰성으로 나타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을 언급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앞으로 공단지역의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위해도 관리(risk management)에서는 지역주민, 근로자, 환경전문가와 더불어 정부, 이해관계자들(공단관계자, 사회단체, 언론인 등)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되어, 효과적인 위해도 의사소통(risk communication)을 통하여 올바른 환경위해도 감소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relationships and related factors of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and perceived benefit among residents and work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using a structured instrument was carried

out to residents and workers in industrial area during April, 2002.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ere 657 including 329 residents and 328 workers. Participants assessed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self-assessed knowledge, trust in authorities and perceived benefit associated with 10 products manufactured in

industrial area. There were difference in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knowledge and trust in authorities and perceived benefit among residents and workers.

Especially, trust in authorities and perceived benef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sidents and workers. Invers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and perceived benefit have been observed for different products.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perceived benefit, the lower the perceived risk, and vice versa. And when trust in authorities was controlled, generally reduced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risks and benefits were observed. Factors mostly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were age, marriage status(workers), education level(work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ceived benef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x, marriage status, residence duration, education level(workers). Related factors of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among residents and workers were age, trust in author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benefit were sex, age, education level(workers), and trust in authorities(workers).

According to the results, people having high trust in the authorities perceived less risks than people having low in the authoriti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risk information, further study focus on assessment of experts, government and

stakeholders in industrial area. Methodologie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public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ducts risk and benefit, designing a public information and risk communication program, and developing policy actions to improve acceptance.
Files in This Item:
T00707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8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