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1 825

Cited 0 times in

인간태아와 신생아의 표피장벽

Other Titles
 Epidermal barrier in human fetus and newborn. 
Authors
 이승민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각질층의 지질은 층판소체의 내용물이 세포간격으로 분비된 각질세포간 지질이며 각질세포 외막과 함께 구조적, 기능적으로 완전한 형태의 피부장벽을 형성한다.

인체태아의 표피장벽에 관한 연구는 재료수집이 제한되어있고 지질구조의 관찰방법이 어려워 시기별 발생과정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생 10-23 주에 속하는 태아 13 례와 신생아의 피부를 생검하여 발생시기별로 nile red염색을 통한 지질의

분포, lanthanum을 추적자로 사용하여 기능성 장벽형성유무, RuO₄를 이용하여 지질판상 이중막의 구조와 층판소체의 형태, ion capture cytochemistry방법으로 표피내 칼슘분포를 관찰하여 표피칼슘기울기형성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le red염색소견에서 발생이 진행될수록 표피지질의 양이 증가하였고 발생23주에 이르러 선상으로 연속적인 배열을 한 지질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2. Lanthanum을 이용한 염색에서 발생 21 주까지 외표피와 진피에서 추적자가 모두 투과되어 기능적인 장벽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발생 23 주에 중간세포층에서 희미한 추적자가 부분적으로 관찰되어 불완전한 장벽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RuO₄염색으로 발생 15 주부터 층판소체로 보이는 이중막을 가진 구조들이 관찰되고 발생 16 주부터 세포막사이에 이중막들이 형성되었으며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판상이중막이 다층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4. Ion capture cytochemistry를 통한 연구에서 발생 20 주에 모낭표피(follicular epidermis)에서 성인피부와 같은 칼슘기울기가 처음 관찰되었고 모낭간표피(interfollicular epidermis)에서는 23주에 칼슘기울기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표피장벽의 발생은 발생 23 주경이면 거의 완성되나 아직 기능적으로는 완전하지 못하며 그 부위별 발생속도는 모낭 표피에서 더 빠른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

핵심되는 말 : 표피장벽, 판상 이중막, 층판소체, 표피칼슘기울기

[영문]

The lipids of the stratum corneum, which originate from polar lipid precursors provided by the cells of the stratum granulosum via the exocytosis of lamellar bodies, with cornified cell envelope form competent epidermal barrier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The ontogeny of the epidermal barrier is not clearly defined because of difficulty of sampling and methodology which defines epidermal lipids.

From ultrastructural observation of skin samples obtained from human fetuses and newborn on serial developmental timings, we tried to clarify the seqential development of epidermal barrier.

Skin samples were obtained from 13 human fetuses from EGA(estimated gestational age) 10 to 23wks and 2 newborns. Specimens were observed by fluorescent confocal microscopy with nile r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epidermal lipid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with lanthanum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ermeability barrier, with RuO₄to observe the intercellular lipid bilayer and morphology of lamellar bodies, with ion capture cy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epidermal calcium grad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nile red stain, the amount of epidermal lipid increased during fetal period. At EGA 23wks, the lipid distribution revealed linear and continous pattern.

2. In lanthanum tracer study, the electron dense tracer permeated all the intercellular space of the epidermis up to periderm and subepidermal space until EGA 21wks. At EGA 23wks, the tracer permeated intercellular space of epidermis weakly. It might be predicted that incomplete epidermal barrier is present at this

time.

3. In RuO₄stain, precursor of lamellar body was observed at EGA 15wks, and intercellular lipid bilayer was observed at EGA 16wks. As gestation increases, there was a steady increase in epidermal lipid bilayers.

4. In ion capture cytochemistry, epidermal calcium gradient was first observed in follicular epidermis at EGA 20wks, and in interfollicular epidermis at EGA 23wk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basic structures of epidermal barrier are formed at EGA 23wks, but it is not complete, and epidermal barrier arises first from follicular epidermis.
Files in This Item:
T00695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