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0 824

Cited 0 times in

척수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중추성 통증의 기전

Other Titles
 (The) mechanism of central pain induced by spinal cord injury. 
Authors
 곽영섭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의과학사업단/박사
Abstract
[한글]



척수손상은 비 통증자극인 낮은 강도의 자극에 대해 통각으로 느끼는 이질통(allodynia), 통증자극에 대해 더 큰 강도로 통증을 느끼는 통각과민(hyperalgesia), 그리고 자발적 통증 등과 같은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현상을 보인다. 이에 대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척수 내에서 통각정보전달을 억제성으로 조절하는 억제성 중간신경세포의 소실에 의한 흥분성의 증가가 비정상적인 통증행동 유발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제 13 흉수 반절단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행동학적 및 전기신경생리학적 실험으로 척수 내 glutamate 수용기의 활성화와 GABA 체계의 손실이 척수손상 후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유발에 관여하는 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측 척수절단 후 약한 강도의 무해성 자극에 대해 회피반응을 보이는 이질통 유사 통증행동이 손상 측과 손상 반대측 뒷발 모두에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요수 내 후각신경세포 반응도 또한 약한 강도의 무해성 자극과 강한 강도의 유해성 자극에 대해 손상

측과 손상 반대측 모두 증가하였다.

2. 일측 척수절단 후 양측의 뒷발에서 유도된 이질통 유사 통증행동과 양측의 요수 내 후각신경세포에서 관찰된 반응도 항진은 모두 ionotropic glutamate 수용기의 길항제(NMDA 수용기의 길항제인 MK-801과 non-NMDA 수용기의 길항제인 NBQX)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metabotropic glutamate 수용기의 길항제인 MCPG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일측 척수절단 후 양측의 뒷발에서 유도된 이질통 유사 통증행동과 양측의 요수 내 후각신경세포에서 관찰된 반응도 항진은 모두 GABAA 수용기의 효현제인 muscimol과 GABAB 수용기의 효현제인 baclofen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이상의 행동학적 및 전기신경생리학적 실험 결과는 척수손상 후 유발된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에는 척수 내 NMDA 및 non-NMDA 수용기와 같은 ionotropic glutamate 수용기의 활성화와 GABA성 중간신경세포의 손실이 중요하게 공헌할 것임을 시사해 준다.



--------------------

핵심되는 말: 척수손상,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ionotropic glutamate receptor,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GABA

[영문]

Spinal cord injury induce the development of central neuropathic pain which is characterized by symptoms such as allodynia, hyperalgesia, and spontaneous pai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has not fully underst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ctivation of glutamatergic system and the loss of GABAergic system in the spinal dorsal horn we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central pai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was induced by a hemisection of the spinal cord at T13 in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Mechanical allodynia was tested by measuring paw withdrawal frequency in response to repeated applications of a von Frey hair to plantar surface of the hind-paw. Single neuronal activity of dorsal horn neurons (L4-L6)

was recorded extracellularly using a carbon filament-filled glass microelectrode (2∼4 MΩ). The drugs were intrathecally and topically administrated on spinal surface for behavioral and electrophysiologycal study, respectively.

After left spinal hemisection at T13, behavioral signs of mechanical allodynia developed on both hind-limbs and responsiveness of spinal dorsal horn neurons increased on both sides of spinal dorsal horn. The antagonists of ionotropic

glutamate receptors including NMDA and non-NMDA receptor suppressed mechanical allodynia and increased responsiveness on both hindpaws, but the antagonist of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GABA receptor agonists including GABAA and GABAB receptor subtype suppressed the mechanical allodynia and increased responsiveness of spinal dorsal horn neurons on both hindpaw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tivation of glutamatergic system and the loss of GABAergic system in spinal cord play key role on development of central pai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Files in This Item:
T0069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