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2 492

Cited 0 times in

고령 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의 성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정한-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2:51Z-
dc.date.available2015-11-22T07:22:5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723-
dc.description의과학사업단/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최근 관상동맥 우회술의 수술적 술기와 수술 전후 치료의 발달로 사망률과 이환률이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의학적 발달과 더불어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인구 고령화 추세도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령 환 자들에서의 관상동맥 우회술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술 후 단기 성적과 장기 생존률을, 특히 70세 이상의 환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해 보았다.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연세 의료원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 중 70세 이상인 환자들(129명)과 60세에서 65세 까지 환자들(286명)의 수술 전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고, 두 연령 군의 수술 후 생존률 및 수술 후 발생하는 유병률과 주요 심장 혈관계 사건(cardiac event) 발생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응급 관상동맥 우회술, 수술 전 대동맥 내 풍선 삽입, 수술 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력이 고령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많았다(p<0.05). 수술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기관 삽관 기간, 중환자실 입원 기간, 재원 기간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고령 환자군에서 수술 합병증 발생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46). 퇴원 환자 393명 중 387례에서 추적이 가능하였고(98.5%, 1,122 patient-years) 평균 2.9년(최저 0.8년, 최고 6.7년)의 추적 조사 기간 동안 5년 생존률은 고령 환자군이 88.0%, 대조군이 88.1%로 차이가 없었으며, 5년 간 주요 심장 혈관계 사건이 없이 생활할 확률도 각각 78.4%, 78.1%로 차이가 없었다. 고령 환자군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전 위험 요인이 많아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으나, 수술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생존률과 주요 심장 혈관계 사건이 없는 생존률도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70대의 고령 환자에서도 관상동맥 우회술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장기 생존도 매우 양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핵심단어: 고령 환자, 관상동맥 우회술 [영문] Recently, surgical technique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were developed, and mortality and morbidi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medical development, aging tendency was accelerate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CABG over seventies performed at Yonsei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 1995, and December 31, 2000. Preoperative, perioperative, and follow-up data of patients ≥ 70 years old (group A, n=129) were collec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atients between 60 and 65 years old (group B, n=286). Emergent or urgent CABG, preoperative intra-aortic balloon pumping use, preoperative severe angina, and preoperativ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group A(p<0.05).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ore frequent in group A(p=0.046),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intubation period,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spital mortality. During the mean follow-up of 2.9 years (between 0.8 and 6.7 years), the actuarial 5-year survival of groups A and B were 88.0 ± 4.5% and 88.1 ± 3.3%, respectively, excluding in-hospital mortal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p=0.6388). The actuarial 5-year major adverse cardiac event-free survival rates were 78.4 ± 6.0% in group A and 78.1 ± 4.2% in group B,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p=0.8429). In conclusion, the long-term survival and major adverse cardiac event-free survival after CABG in the elderly was almost same as those of younger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고령 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술의 성적-
dc.title.alternative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the elderl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Jeong H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