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383

Cited 0 times in

골격성 제 Ⅲ급 부정교합의 수술에 따른 안면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ial profile change of skeletal ClassⅢ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Authors
 양춘식 
Issue Date
2002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수술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었으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의 수술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골격성 제III급 부

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악교정수술을 받은 환자를 수술 부위에 따라 하악수술군(1군), 이부

성형술을 동반한 하악수술군(2군), 양악수술군(3군), 이부성형술을 동반한 양악수술군(4

군)으로 나누어 술전과 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를 수직적 수평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반적으로 경조직 이동에 대한 연조직의 수평적인 변화는 높은 상관관계와 비슷한 변

화율을 나타냈다.

2. 수직적인 변화는 군마다 유의성 있게 대응되는 연조직과 경조직 부위가 다양하였고,

상관관계와 변화율도 수평적인 변화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3. 상악 연조직(Pn, Sn, A')의 변화는 3군과 4군에서 수평적으로 A에 대해 Pn은 36%~39%,

Sn은 54%~57%, A'는 64%~67%의 변화를 나타냈다.

4. 상순(Ls)은 양악수술군(3,4군)에서 수평적으로 U1에 대해 49~52%의 변화를 나태냈으며

, 하악수술군(1,2군)에서는 후하방 이동을 나타냈으나 유의성 있게 대응되는 경조직 점은

없었다.

5. L1에 대한 Stm의 수평적인 변화율은 하악수술군(1,2군)이 60%, 양악수술군(3,4군)은 5

0%로 나타냈다.

6. 하순(Li)과 하악 연조직(B', Pg', Me')의 수평적인 변화는 네 군 모두에서 0.85 이상

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면서 90~100%의 비교적 일정한 변화율을 나타냈다.

7. 네 군에서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의 다단계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위에서 구한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의 비율과 다단계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video imaging computer

program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in vertical and transvers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orhognathic surgery performed o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was composed of patients who had mandibular surgery, group 2 received mandibular

surgery and genioplasty, group 3 had double jaw surgery performed, and group 4 was treated with double jaw surgery and genioplasty.



The results were as fallows:



1. In the horizontal dimension, the soft tissue chang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hard tissues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ilar % changes.

2. In vertical dimension changes, the hard and soft tissues th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each group were variou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 changes were lower and more various than in the horizontal dimensions.

3. The maxillary hard tissues(Pn, Sn, A') were changed as : Pn to A 36~39%, Sn to A 54~57%, A' to A 64~67%.

4. Ls in group 3 and 4 was changed in the backward and downward direction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hard tissues.

5. The horizontal changes of Stm to L1 were 60% in the single jaw surgery groups(group 1, 2) and 50% in the double jaw surgery groups(group 3,4).

6. The horizontal changes of the lower lip and chin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r>0.85) and were relatively constant ranging 90~100%.

7. In the four group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equations were made of the soft tissue chang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in the hard tissues.



The predictions of the soft tissue outcome can be obtained using the above % changes and equations, and these may be applied to video imaging programs.
Files in This Item:
T0068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