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 960

Cited 0 times in

통원수술 이용환자들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Other Titles
 Pati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ambulatory surgery services.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에서는 통원수술센터를 이용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통원수술에 대한 인지도와 서비스 질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고 외국에서 통원수술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여 통원수술을 이용하는 환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과 국내 통원수술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독립된 통원수술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 시내의 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4월 9일부터 27일까지 통원수술센터를 이용한 한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원수술센터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나이에서도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주거지에서는 서울이 97명으로 높은 이용을 보였다. 이는 통원수술에 대한 안정성 문제와 응급문제 발생시 상황대처에 대한 두려움으로 지방이나 원거리 주거자가 통원수술을 기피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2. 통원수술센터 이용 환자의 건강 및 진료관련 특성에서는 수술이나 입원 경험이 없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높았고, 수술결정이 환자 본인에 의한 응답은 낮았지만 통원수술에 대한 인지도는 비교적 높았다. 수술대기시간과 수술시간 회복시간에 따른 서비스 질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3. 통원수술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3.73점으로 가족과 격리시간이 적고,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 간병문제 해결 등에 점수가 높았다. 비교적 통원수술을 이용하는 환자들은 통원수술에 대한 취지를 잘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수술시간이나 수술날짜 통증관리와

같은 부분에서는 인식도는 낮았다. 따라서 수술 전에 수술대기시간 수술시간 수술에 관한 자세한 홍보와 설명이 요구된다.

4. 통원수술 서비스 질에 대한 평가에서 전반적인 평가는 5점 만점에 3.98로 통원수술시설과 환경, 직원의 친절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수술전 대기시간에서 만족도가 낮았다.

통원수술의 경우 환자가 수술시간 전에 도착하여 준비하는 절차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5. 서비스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평가에서 전반적인 만족도와 향후 재이용, 주위 권유의사에서 비교적 만족도가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나이와 교육정도가 통원수술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고, 나이와 월수입이 서비스 구조에, 건강상태와 수술대기시간이 서비스 과정에, 연령과 월수입이 건강상태가 서비스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통원수술에 대한 인식도가 최원희(1998)연구에서39.4%, 강경아(1998)연구에서 52.7%로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활성화되려면 통원수술에 대한 인식홍보에 앞서 통원수술에 대한 안정성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적인 보상체계가 확립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tients' perception satisfaction on the day surgery services in an effort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day-surgery patients and to find methods that will promote day surgery in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patients or their care givers who were utilizing a day-surgery center, independently operated by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April 9 to 27.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y-surgery patients were evenly distributed in sex and age. However, in terms of residency, 97 of those surveyed lived in Seoul. This shows that people living long distance or in other regions avoided day surgery because of their lack of accessibility to the facility.

2. In the characteristic related with health status and clinical situations, day-surgery patients had little experience with surgery or hospitalizing and much interest in their health. Having day surgery was not decided by themselves in most

cases, but most patients were aware of this type of surg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ient satisfaction in regard to the quality of service for surgery waiting period and recovery time.

3. Patients' perception on day surgery was 3.75 at the 5-point Likert scale. High scores were recorded for the short separation time from their families and the help provided for admission anxiety and support for nursing care. Comparatively, most

day-surgery patients were very aware of the objectives of day surgery but less aware in areas such as surgery duration and date, and pain management. Therefore, information on surgery waiting period, surgery date and surgery should be provided

prior to surgery.

4. The overall score for the quality of day-surgery service was 3.98 at 5-point Likert scale. High scores of satisfaction were given to day-surgery facility, environment and employee friendliness but low scores to surgery waiting period,

which may b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preparation before going into surgery.

5. The overall satisfaction assessment about the service showed relative high scores for overall satisfaction, revisits in the future, and recommendations to oth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and level of education affected patients perception of day surgery; age and monthly income, of day-surgery set-up; health status and surgery waiting period, of the service process; and age and monthly income, of the health status and service.

Although patients' perception of day surgery seems gradually increasing, the safety of day-surgery should be investigated and needed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considerations to promote ambulatory surgery services.
Files in This Item:
T0068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