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0 685

Cited 0 times in

일부 군 간부들의 건강증진 행태와 체력검정 결과

Other Titles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the result of physical fitness test of the ROK Officers and NCOs. 
Authors
 김미양 
Issue Date
2001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군 간부들의 건강증진 행태를 조사하고, 이러한 건강증진 행태와 군 체력검정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향후 군 간부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반 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단면 연구로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군의 부사관과 대령까지를 모집단으로 하고, 현재 강원도 소속 00군단의 하사에서 대령까지의 군인을 표적모집단(target population)으로 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표적모집단내에서 2001년 4월 16일∼4월 25일까지 체력검정에 참가하는 모든 부사관과 장교를 대상으로 전수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296명이었고 이중 불충분하게 응답한 자를 제외한 29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지는 인구학적 특성, 직업 관련 특성, 건강상태, 건강증진 행태 및 군 체력검정 관련 문항으로 총 4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를 이용하여 기술분석,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은 전투병과가 70.3%로 가장 많았고, 장기 복무 간부가 66.9%, 계급은 하사-중사가 36.8%, 군 복무기간은 10년 이하가 57.2%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한다"가 58.2%로 가장 많았다.

2. 신체비만지수(BMI)는 표준체중이 63.1%로 가장 많았고, 혈압은 "정상이다"라고 응답한 군이 72.8%, 건강상태는 64.9%가 "건강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스트레스 수준평가에 있어서는 잠재적 스트레스 군이 62.8%로 가장 많았다.

3. 연구대상자중 66.9%가 평소 주 1∼2회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흡연율은 71.7%이었으며, 음주는 41.4%가 "위험성 음주"였다.

4. 2001년 군 체력검정 시 한 종목이라도 불합격한 사람을 불합격으로 처리한 결과 연구 대상자 290명중 263명(91.7%)이 합격하였고, 27명(9.3%)이 불합격되었다.

5.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종교생활이 독실하지 않을수록, 기술병과 일수록, 복무 연장인 군, 직무 만족도가 보통인 군, 아침을 규칙적으로 먹는 군, 간식을 가끔 하는 군, 체력검정 수준이 "너무 낮다"고 응답한 군, 체력검정 준비 기간이 길수록 그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6. 팔굽혀펴기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종교생활이 독실하지 않을수록, 전투병과일수록, 지휘관일수록, 간식을 가끔 섭취하는 군, 운동을 매일 규칙적으로 실시할 수록, 체력검정 준비 기간이 길수록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7. 오래달리기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근무년수가 낮을수록, 전투병과 일수록, 신체비만지수(BMI)가 표준 체중일수록, 육식을 주로 섭취하고, 음식을 싱겁게 먹을수록, 운동을 주 1-2회 규칙적으로 실시할 수록, 운동시간이 2시간 이상일 경우 그 결과가 좋게 나타

났다.

8. 체력 검정에 합격할 확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261배, 병과는 전투병과가 타 병과에 비해 25배, 장교이상의 계급이 부사관에 비해 570배, 운동을 실시할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6배 높았다. 또한 신체비만지수(BMI)는 한 단위 증가할 수록 합격할 확률이 0.6

배 낮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체력검정 결과의 합격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 행태는 운동이었으며, 건강상태로는 BMI였다. 따라서 군 간부들의 체력검정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의 중요성을 깨닫고, 체력을 향상하고 유지하기 위한 각 부대 내 운동 환경의

조성과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군 체육활동을 활성화하여 체력단련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체력검정 합격률을 높이고 군 전투력 강화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This study attempts to prepare a foundation for military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militar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by surveying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factors and analys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result of Army physical fitness test.

Two hundred ninety military officers and NCOs who serve at the second corps area in the Kangwon province were surveyed for 10 days from April 16 to April 25, 2001. A self-administrative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references(list actual references that were used) was used to collect data. This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8 questions inclu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job-related factors,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factors and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results.

Analysis of the data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include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detail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responders was 31 years, with a range from 20 - 53 year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were men(94.8%), 44% responders were married and 62.4% responders reported having a religion.

2. The majority of the responders were combat branch(70.3%), sergeant in rank(36.8%), with less than 10years of work(57.2%) and satisfied with their duty(52.8%).

3. Among the responders, 66.9% engaged in regular exercise more than once or twice a week; 71.7% were smokers; 41.4% were heavy drinkers.

4. Normal BMI was found among 63.1% of responders; 72.8% of responders thought that their blood pressure was in normal range; 74.9% of responders perceived their health as good or excellent; 62.8% were in the potential stress group.

5.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of 2001 revealed 73.1% in the 4th level of sit-ups. 69.7% in the 4th level of push-ups, and 28.2% in special level of the 1.5Km run. The majority of the failures were in the 1.5Km run (7.7%), 4.5% in the sit-ups, 2.8% in the push-ups. 27people(11%) failed to meet the minimum physical fitness requirement.

6. Those younger in age and who serve in the special branch, who ate regular breakfasts, who thought that the base line of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was low, and those who prepared for the Army physical physical fitness test over a long period had good results in the sit-ups event.

7. Responders younger in age and who serve combat branch, those who exercised regularly and those who prepared for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over a long period had good results in the push-ups event.

8. Those younger in age and who serve in the combat branch, with normal BMI, who with exercise regularly had good results in the 1.5Km run event

9. Analysis of primary determinants of the results of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1) Men were 261times more likely than women to pass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2) The combat branch members were 25times more likely than other branch members to pass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3) The officials were 570times more likely than NCOs to pass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4) Each unit increase in the BMI was associated with 0.6times decrease in the likelihood of passing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regular exercise and BMI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passing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To achieve a higher rate of passing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Officers and NCOs have to realiz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and the Army must furnish an environment conductive for exercising. Also a military culture of exercising regularly could reduce the rate of failing the Army physical fitness test and it could help to develop the Army's readiness.
Files in This Item:
T0068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