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 1220

Cited 0 times in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자원활용 실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은-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0:15Z-
dc.date.available2015-11-22T07:20:1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29-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은 주민스스로 건강생활실천을 통한 건강을 유지증진토록하는 것이므로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업주관자의 인력, 비용,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 효율적인 지역사회 자원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서의 지역사회자원활용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전국 242개 보건소 중 우편설문에 응답한 160개 보건소이며,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가 작성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5월 9일부터 2001년 6월 7일까지 4주간이었으며 자료수집방법은 건강증진사업담당자 1명에 의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활용하여 우편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0.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내용은 '보건교육 강의의뢰'가 128개소(84.2%)로 가장 많았고, '홍보' 118개소(77.6%), '지역사회기초조사를 위한 정보제공' 107개소(70.4%), '교육자료 제공' 92개소(60.5%)순으로 지역사회 기관 및 조직의 인적, 물적, 정보자원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하는데 가장 연계가 잘되는 지역사회 기관 및 조직은 '대학' 20개소(15.4%)이었으며, '시·군·구청' 19개소(14.6%), '읍·면·동사무소' 16개소(12.3%)의 순으로 주로 공공기관을 활용하고 있었다. 지역사회자원 활용을 위한 지역사회기관 및 조직과의 연계는 최소0에서 최대85였고 평균 16.1로 지역사회자원활용이 대체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정보확보경로는 '시·군·구청 자료' 109개소(68.6%)로 가장 많았고, '보건소내 자료'가 92개소(57.9%)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와의 원활한 연계를 위해 해당 기관 및 인력과 비정기적으로 필요시 모임을 갖는 보건소가 78개소(49.1%)로 가장 많았고, 정기적 모임을 갖는 경우는 12개소(7.5%)에 불과했다. 보건소내 지역사회 자원 연계를 담당하는 담당자는 27개 보건소(16.7%)만이 담당자가 있다고 답하였다. 3) 건강증진사업담당자의 지역사회자원활용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지역사회자원활용필요도가 평균 3.59점, 지역사회자원파악정도는 평균 2.91점, 지역사회자원활용정도 는 평균 2.70점으로 지역사회자원활용에 대해 대부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파악정도와 활용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지역사회자원활용 장애요인은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부족'이 108명(67.5%)으로 가장 많았으며, '관련된 전문가 및 기관들간의 연계망 부족' 101명(63.1%)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사업홍보를 통한 대외인지도 향상'이 129명(81.1%)으로 가장 많았고, '공식적 연계망 형성'이 106명(66.7%)순으로 나타났다. 4) 지역사회자원활용은 건강증진시범사업보건소, 건강증진팀구성, 사업담당자수 10명이상, 사업담당비율 30%이상, 예산 500만원이상, 개인적인맥, 보건소내자료, 시군구청자료, 대중언론매체를 이용하여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 경우, 필요시마다 비정기적인 연계기관 및 인력과의 모임을 갖는 경우, 지역사회자원연계담당자가 있는 보건소에서 지역사회자원활용이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지역사회자원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건강증진팀구성, 적정건강증진담당수확보, 적정예산확보, 자원연계담당자확보 등이 필요하며, 현재 필요한 자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사정하여 자원활용의 범위를 넓히고 새로운 발굴보다는 기존에 확보되어 있는 정보를 통해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고 지역사회에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홍보를 통해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사회와의 공식적 연계망을 확보하며 사업이 진행됨과 동시에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계속적인 갱신과 관리가 필요하다. [영문]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the health centers enable people to enhance and improve their health. but in order to do this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is necessary. To induce people to actively participate and to save project staff, budget and time in these health promotion projects, effective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is required . Thus,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effective health promotion by identifying the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of these health promotion projects. The subjects for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ere 242 health centers in Korea. The health promotion staff person in each health center was asked to respond 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researcher. The number of health center responding to the mailed questionnaire was 160.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9 to June 7, 2001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Program versio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requests for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were requests for health educators (84%), publicity (77%), requests for information for community surveys (70%) and requests for teaching materials (60%). 2. The best-linked agencies or organizations were universities (15%), the city hall, county or district offices (14%), and town offices (12%). The average number of linkages with community agencies and organizations for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was 16 (range 0 to 83).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was generally low. The most common sources of information for community resources were data from the city hall, county or district offices (68%), or data from the health center (57%). For smooth linkages between the health center and community, most health centers met community agencies, organization or people whenever needed (49%). Only 7% had regular meetings. Only 16% had staff in charge of community linkages. 3. Considering recognition of health promotion project staff, out of a possible score four, the average score for "necessity of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was 3.6, for "identification of community resources", 2.9, and for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2.7. Health promotion project staff responded that barriers to community resources utilization were lack of understanding by people of health promotion (67%), and lack of linkage networks between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agencies or organizations (63%). They felt that the best method to activate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would be to improve community recognition of health promotion through publicity (81%), and by making formal linkage networks (66%). 4.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health centers which used significantly more community resources (p<.05) had the following: health promotion demonstration projects, a health promotion team, more than 10 staff for health promotion, more than 30% of health center staff doing health promotion, a budget of more than 5 million won, ability to obtain information on community resources from various sources(private sources, public offices, the health center, and mass media), meetings with community agencies and organizations whenever needed, and staff in charge of community linkage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the health centers, this study recommends the following: 1) Organization of health promotion teams, optimum health promotion staff and budget, and staff in charge of community linkages. 2) Extending the range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appropriate community resources. 3) Using existing information rather than new findings. 4) Through publicity of health promotion, activating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as well as public and developing formal linkage network with the community. 5) Continually updating and managing community resources data while the health promotion project are in progres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자원활용 실태-
dc.title.alternativeCommunity resource utiliz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the health cent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eung E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