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901

Cited 0 times in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on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rura 
Authors
 강나연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중년기 여성은 별다른 질환이 없음에도 여러 가지 불편한 증세로 복합적 폐경증후군을 겪게 되어, 심리적으로도 자기효능감은 떨어지고 건강증진행위는 매우 낮아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되는 악순환 속에 있다.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건강관리에 취약한 실정이므로,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특성과 건강문제, 중년기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감의 결여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시급한 때이다.

이에 농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들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생활습관의 변화를 통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적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임의표출방법을 적용하여 J도에 거주하는 농촌중년여성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를 수락한 실험군 50명, 대조군 50명을 선정하였으나, 최종 자료분석에 이용된 대상자 수는 실험군 43명, 대조군 40명으로 총 83명이었다.

실험적 처치로, 성취완성을 위한 에어로빅운동을 1시간씩 주3회 하도록 하였고,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건강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대리경험으로 그룹토의와 건강증진행위의 실천 경험을 발표하게 하였고, 언어적 설득의 방법으로 중년여성의 건강교육과 개별상담을 하였으며, 과도한 정서적 각성 조절을 위한 단전호흡을 각 각 주1회 1시간씩 수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00년 9월 1일부터 2000년 11월 30일까지 3개월간이었고, 사전조사는 2000년 8월 25일부터 9월 1일까지 일주일간 설문지 조사를 하였고, 사후조사는 프로그램이 끝난 후 12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일주일간 동일한 설문지 조사를 반복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 점수 측정을 위해 박재순(199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은 노유자(1988)가 개발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제 특성, 동질성분석을 위해 -test, t-test

를 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t-test를 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82, p=0.0001).

제2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4.13, p=0.0001).

제3가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삶의 질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02, p=0.0001).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효능기대증진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켜 행위변화를 유도하였고 그 결과 건강증진행위 정도가 높아졌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으므로, 이는 곧 Bandura(1977)의 사회학습이론에서 나온 자기효능 학설과, Pender(1987)가 제시한 인지 지각요인 중 자기효능감이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에 의해 건강증진행위를 동기화 시키고 인지적인 평가과정을 통해서 통합적인 행동에 옮겨짐으로써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어 Bandura의 학설과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지지해 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따라서 농촌 중년여성의 저하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능기대증진 자원을 이용한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실제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based on self efficacy theory, whether the program improves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for rural middle aged women. Self-efficacy is the belief that one has the skill and competence to carry out specific actions. This program i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and Pender's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ory, and consists of exercise and health diaries for performance accomplishments, education and group sessions for verbal persuasion and vicarious experience, and Dan-joen Breathing for control of emotional arousal.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from September 1 until November 30, 2000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1, 2000. The subjects were rural middle aged women from 40 to 59 years old who resided in Je-ju Do. Among the 83 subjects, 43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to the control group. For each group, there wa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posttest after the 12 week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the Self Efficacy Scal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developed by Park(1995),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Ro(1988) modified to better su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first hypothesis , "The level of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2.82, p=0.0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4.13, p=0.0001).

3. The third hypothesis,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12.02, p=0.0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when a nurse is planning to improve commun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rural middle aged women, she(he) should always consider the concept of self-efficac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5025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