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 1121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경추 보조기의 종류에 따른 균형 감각에 대한 분석

Other Titles
 Effect of different cervical orthosis on equilibrium. 
Authors
 최익환 
Issue Date
2001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경추 보조기와 자세 균형에 관련된 연구는 현재까지 Halo vest cervical orthosis 착용 시 균형 감각의 저하에 대해서 정적인 검사 방법인 한발 들기 검사 방법을 이용한 연구 등(Richardson 등, 2000; Mcpartland 등, 1997)이 있었다. 그러나 경추 보조기가 정적인 자세와 동적인 자세에서 시각계, 전정계 체성 감각계에 미치는 영향이나 운동 조절 능력, 운동 적응력에 대하여 연구된 바는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흔히 사용되는 Philadelphia collar와 경부의 움직임에 대해 제한 효과가 큰 Minerva cevical orthosis 착용후 정상 성인에서 정적인 자세와 동적인 자세 유지 검사를 시행했을 때 자세 유지에 중

요한 감각 체제적인 시각계, 전정계, 체성 감각계에 미치는 정도와 운동 조절 능력, 운동적응력을 정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전정 기능의 이상이 없고 이명의 기왕력이 없으며, 양안 시력(교정시력 포함)이 1.0 이상이며,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에 병변이 없고, 골절이나 관절염의 기왕력이 없는 21세에서 29세 사이의 정상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피검자들 동적 자세 측정기(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의 일종인 EquiTest^ⓡ (NeuroCom, international Inc.; USA)를 이용하여 보조기 미 착용 시와 Philadelphia collar 착용시, Minerva cervical orthosis 착용 시에 각각 감각 체제검사(Sensory organization test)와 운동 조절 검사(Motor control test), 적응력 검사(Adaptation test)를 시행하여 평균 평형 점수, 무게 중심의 치우침, 적응력 점수 등을 측정하였고 이에 따

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각 체제 검사 결과 시각계, 전정계, 체성감각계의 모든 실험 조건에서 각각의 평균평형 점수(mean equilibrium scor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정비(vestibular ratio)와 시각비(visual ratio)에서 각각의 보조기 착용시에 감소경향을 보였다. 체성 감각비(somatosensory ratio)와 시각 선택비(visual preference ratio)에서는 보조기 착용여부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운동 조절 검사 결과 전방 이동이나 후방 이동시 경추 보조기 미착용 상태나 각각의 보조기 착용시 모두 무게 중심이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적응력 검사 결과 적응력의 비율이 감소한 경향을 타나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경추 손상시 고정을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Philadelphia collor와 Minerva cervical orthosis가 20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정성이 높을수록 균형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그러므로 경추 보조기 착용시 젊은 층의 성인에서는 평형에 대한 측면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여겨진다.그러나 경추 보조기 착용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 고령이거나, 경추 손상 환자임을 고려하여 볼 때 향후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Until recently, only studies pertaining to the effects of cervical orthosis on the posture balance were study of Halo vest cervical orthosis wear on balance using a qualitative measure of unipedal balance test (Richardson et al.,; Mcpartlant et al., 1997). However effects of cervical orthosis on visual system, vestibular system, somatosensory system, motor control ability and motor adaptability during static and dynamic posture control have not been completely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monly worn Philadelphia collar and

Minerva cervical orthosis, which has the greatest restriction on cervical motion on components required to maintain static and dynamic posture in normal individuals. This included the study of effects in visual system, vestibular system, somatosensory system, motor control ability and motor adaptability.The study

subjects were 30 healthy male and female individuals between the ages of 21 and 29 who had no vestibular impairment or history of tinnitu, visual acuity 1.0 or better on both eyes (including corrected vision), no central or peripheral neurological lesions, and no history of fracture or arthritis. For each subject, the

measurements were taken using EquiTest (NeuroCom, international Inc.; USA) a type of 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under 3 different conditions; no orthosis used, with Philadelphia collar, and with Minerva cervical orthosis. The mean equilibrium score, shift on the center of mass, and adaptation score were measured

by Sensory organization test, Motor control test, and Adaptat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nsory organization te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equilibrium score on visual, vestibular and somatosensory system in all three conditions.

2. Vestibular ratio and visual ratio tended to decrease when orthosis was worn. Somatosensory ratio and visual preference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hether cervical orthosis was worn or not.

3. During the motor control test, the center of mass shifted to the right upon forward or backward moveme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ether orthosis was used or not.

4. Adaptation test showed decreasing tendency in adaptation ratio with either orthosis wor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within healthy adults population, the use of Philadelphia collar or Minerva cervical orthosis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immobilization during cervical injur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quilibrium but had tendency to decrease with more restricting orthosis.

This implies that effect on equilibrium is not a significant factor when using a cervical orthosis in young adult popul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who require cervical orthosis are usually elderly population or patients with cervical injury , further comprehensive study in this population is warranted.
Files in This Item:
T00676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