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9 1042

Cited 0 times in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제공이 기계환기기 이탈한자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성-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7:44Z-
dc.date.available2015-11-22T07:17:4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38-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가 기계환기기 이탈과정을 경험하는 환자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로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 보제공이 대상자의 불안, 호흡곤란 및 기계환기기 이탈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기간은 2001년 4월 5일부터 6월 10일까지였고, 서울시내 소재 Y 대학 부속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환기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중 기계환기기 이탈시도를 계획하고 있는 성인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군은 11명, 대조군은 16명이었다. 연구절차는 기계환기기 이탈이 시작되면, 불안과 호흡곤란 및 생리적 지표인 활력징후와 호흡역학지표에 대한 사전측정을 하였으며, 실험군에는 말초산소농도 측정기를 이용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과 치료과정과 관련된 사진과 그림을 이용한 시각적 절차정보를 제공 하였고, 사후측정은 발관 후 자가호흡이 시작되면 불안과 호흡곤란 및 생리적 지표인 활력징후와 호흡역학지표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의료진에 의해 일상적으로 제공되어지는 심호흡 격려와 이탈예정임을 알리는 정보만 제공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불안은 Theresa, M., M. 와 Hilary, B.(1992)에 의해 개발된 6항목 단기 형태의 상태불안도구를 김정택, 신동균(1978)이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번역한 것을 이용하였고, 호흡곤란은 Borg(1970)가 개발한 Modified Borg Scale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X²- test 와 Mann-Whitney U test를, 중재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가설검증은 Mann - Whitney U test 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에 두 군의 동질성검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분당환기량은 ANCOVA로 처리한 후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s alpha를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기계환기기 사용관련특성, 생리적지표인 활력징후와 호흡역학지표 및 불안과 호흡곤란에 대한 동질성 검증에서 분당환기량(u = 32.00, p = 0.01) 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은 군은 제공받지 않은 군보다 기계환기기 이탈전후의 불안점수의 감소차이가 더 클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불안 감소차이가 1.8배 더 크게 나타났고, 각 그룹 내에서의 중재 전후 불안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z = -2.14, p = 0.03 ; z = -2.23, p = 0.03), 두 그룹간의 불안 감소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기각되었다(u = 63.50, p = 0.22). 2) 제 2 가설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은 군은 제공받지 않은 군보다 기계환기기 이탈전후의 호흡곤란점수의 감소차이가 더 클 것이다" 는 실험군내에서만 중재전후 호흡곤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 있게 나타났으나(z = -2.04, p = 0.04 ), 두 그룹간의 호흡곤란 감소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기각되었다(u = 79.00, p = 0.65). 3) 제 3 가설인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은 군은 제공받지 않은 군보다 기계환기기 이탈기간이 짧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2배정도 짧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기각되었다(u = 63.50,p = 0.23). 3. 추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탈시작시기와 자발호흡동안의 활력징후와 생리적 호흡역학 지표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제공이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생리적 호흡역학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추가 분석한 결과, 활력징후와 생리적 호흡역학지표에서 맥박(z = -2.22, p =0.03)과 Rapid shallow breathing(z = -2.95, p = 0.01)이 대조군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중재전후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제공이 기계환기기 이탈을 경험하는 환자의 불안, 호흡곤란 및 기계환기기 이탈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비록 그 효과가 입증되지는 못하였지만,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감소차이를 더 크게 나타냈으므로,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제공이 기계환기기 이탈을 경험하는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입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중재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좀 더 대상자 수를 늘린 반복적인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using biofeedback on anxiety and dyspnea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 10, 2001. In twenty seven adult subjects, having a plan to try weaning process of mechanical ventilation were selected from intensive care unit of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eleven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s of anxiety, dyspnea, vital sign and physiologic weaning parameters were taken as pre test data of this study, when the process of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was starte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visual information about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process using pictures, photos, breathing exercise and visual biofeedback using a pulse oximeter.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anxiety and dyspnea were Theresa M. & Hilary B.(1992)'s short-term State Anxiety Inventory with 6 item and Modified Borg Scale(1970),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χ²- test, Man - 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ANCOVA using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homogeneous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variables except minute venti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fference of anxiety score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u = 63.50, p = 0.22). 3 The difference of dyspnea score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z = -2.04, p = 0.04), but not for the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u = 79.00, p = 0.65). 4 Although the ventilator weaning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 times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u = 63.50, p = 0.23).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not been proved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using biofeedback on anxiety, dyspnea and weaning period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process. However the differenc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in all aspects. This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clinical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in utilizing visual information using biofeedback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ntilator weaning proces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제공이 기계환기기 이탈한자의 불안 및 호흡곤란에 미치는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using biofeedback on anxiety and dyspnea in patients with mechanical v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 S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