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86

Cited 0 times in

실내근무환경이 건강자각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door workplace environment on the self-consciousness of health. 
Authors
 김경화 
Issue Date
1993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현대인의 대부분이 하루중 80%이상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병약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으므로 실내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건물의 단열을 통한 밀폐화와 에너지 절약장치로 인하여 건물내의 기상조건, 공기의 질이 변화되고 그 건물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행동양식에 따라 건물내의 실내환경이 오염되고 있다. 그 결과, 실내건물에서 시간을 보내는 근무자에 의해 건강장해에 관한 호소가 증가하여 눈, 코, 목, 호흡기 등의 자극증상과 피부반응, 과민증, 정신적 피로, 두토으, 메스꺼움, 현기증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빌딩증후군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물내의 실내환경에서 건강장해를 호소하는 근무자들의 자각증상을 파악하고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요인을 규명하고 자각증상과 영향인자간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사무실의 실내환경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건물의 환경적 특성인 건물연수, 환기시설, 면적, 근무인원, 구조 등과 흡연, 벽과 천장의 재료, 일사량 등을 포함한 실내환경적 특성과 성별, 연령, 흡연여부, 근무경력, 업무형태, 직업만족도, 근무환경만족도 등의 개인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건강자

각증상의 발병정도를 조사하였다. 환기장치가 다른 10층이상의 층수에 근무하는 인원이 200명이상인 도심의 건물 121곳과 준도시인 안양에 위치하는 1곳의 건물에서 643명을 대상으로 1993년 4월 12일부터 4월 24일까지 건강설문조사표인 Todai Health Index(THI)를 이용하여 작성된 자기응답식 설문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무실의 환경에 대한 조사에서는 도시지역 사무실근무자의 건강자각도는 준도시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공기정화기가 없는 곳보다 있는 곳의 건강자각도가 높았고, 사무실의 구조에서는 개방형의 사무실중에서도 칸막이가 있는 곳의 건강자각도가 높았다.



2. 건강자각증상이 주로 나타난 시기는 근무중 오후시간(76.6%)이었고 증상이 사라지는 시기는 퇴근후(38.1%)나 주말(35.3%)인 것으로 보아 이러한 증상은 근무환경이나 업무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별, 규칙적인 운동과 결혼상태, 교육수준 그리고 흡연의 여부, 건강상태인식에서 건강자각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개인의 근무상황에서는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직위가 대리이상보다 평사원인 경우, 그리고 휴가를 최근에 받았던 경우의 건강자각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5. 사회심리학적 요인에서는 직업에 만족하거나 근무환경에 만족할수록 건강자각도가 낮게 나타나며 직무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건강자각도는 높아지고 업무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영문]

Most of the people in current society spend more than 80% of their time inside the buildings ; especially old people and children are more likely to stay indoor than others.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indoor air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much more seriously.

Owing to the recent energy-saving policy, the buildings are now equipped with the isolation devices to have more energy-efficiency. But it caused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building to be changed and created more polluted workplace as well as the energy conser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ymptom of urban indoor workers who complain of exposure to the pollution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ause various problems. This also stud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actual cause so that it can be helpful to controlliy the indoor

environment.

1. Inside the offices, more of urban office workers complained of their symptoms than suburban office workers. Even the people who have air-cleaners and dividers installed in the office, complained no less than the others who don't have.

2. The symptoms usually appeared in the afternoon (76.6%) and went away during weekends (35.5%) and after work hours (38.1%).

In this point, it was considered that the symptoms were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work itself.

3. Indoor environment itself did not affect much on the symptoms but such individual factor as sex, marriage status, education and exercise level, and smoking amount had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ymptoms.

4. The symptoms also seemed to occur frequently to the person who has less work experience,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han an assistant manager and who has taken a recent vac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802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0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