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1160

Cited 0 times in

발암위해도 평가방법을 이용한 음용수 수질기준 설정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ndard setting process using health assessment in drinking water. 
Authors
 성진모 
Issue Date
1995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화학물질은 인간생활에 여러가지 편리함을 제공하였으나, 자연환경과 생태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상수원을 오염시킴으로서 음용수를 통하여 인간생활을 위협하고 있다.더욱이 음용수중에서 검출되는 화학물질들은 미량이기는 하지만 인체에 대한 발암 위해성을

갖고 있는 물질들이 검출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특히 신생물(neoplasms)을 유발하거나 유발시키는데 작용하는 발암성화학물질은 정상세포가 발암물질의 공격을 받아 신생세포 (neoplastic cell)로 전환이 일어나는 초기 (initiation)단계와 전환된 신생세포를 임상적으로 검출이 가능할 정도의 신생물로 성장시키는 촉진(promotion)단계를 거쳐서 발생하며, 음용수중에 존재하여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보건기구에

서는 121개 항목에 대한 음용수 수질권고치를 마련하였으며, 미국 EPA에서는 85종의 물질에 대한 음용수질 국가장래 목표치인 MCLG(Maximum Contaminant Level Goal)와 음용수 수질기준인 MCL(Maximum Contaminant Level)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음용수 수질기준설정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 설정방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우리의 현실에 부합되는 음용수 수질기준 설정방법을 수립하는 것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발암성물질에 대한 규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EPA에서 규제하고 있는 발암성물질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규제하고 있는 발암성물질의 규제현황과 기준치를 비교, 분석하였고, 각국의 음용수 수질기준의 설정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가별 위해성평가를 통한 기준설정과정과 위해성평가과정의 차이점을 비교와 일부 발암성물질 특히,vinyl chloride, arsenic, THMs(Trihalomethanes)등의 위해도와 음용수수질 기준치 및 위해성평가방법을 통한 수질기준 설정과정의 비교,분석하였다.

세계보건기구, 미국 EPA의 건강위해성 평가를 통한 음용수 수질기준 설정과정을 고찰한 결과 세계보건기구는 건강위해성 평가과정중에서 용량-반응 평가시 체중은 60Kg로 산정하였으며, 미국 EPA에서는 70Kg의 체중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미국 EPA에서는 85종의 오염물질에 대한 발암위해도 평가과정에서 linearized multistage model을 이요하며, 체표면적법을 통한 외삽으로 최대허용목표기준(MCLGs : Maximum Contaminant Level Goals)과 1차 음용수 수질규정을 설정하며, 이때 초과발암위해도에

해당하는 1X10-5~1X10-6의 용량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실제적으로 이와 근접한 MCL(Maximum Contaminant Level)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 미국 EPA와 우리나라의 발암성물질 비교결과 미국 EPA에서 규정하고 있는 발암성물질은 49개 항목이고 우리나라에서 규제하고 있는 발암성물질은 7개 항목으로 인체발암물질인 A인 asbestos와 vinyl chloride, 방사성물질에 대한 기준치가 설정되어있지 않다. 또한 benezene과 dichoromethane도 각각 2배와 4배의 차이를 갖는데, 음용수 수질기준설정의 체계적인 노력을 통해 발암성물질에 대한 보

수적인 기준치설정이 요구된다.

일부 발암성물질에 대한 물질별 위해성 평가결과 vinyl choride는 인체발암물질인 A로 분류되며, 미국 EPA와 WHO에서 각각 0.002dhk 0.005mg/L로 규제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기준치조차 없는 실정이므로 시급한 규제책이 요구된다. THMs의 경우 전체 THMs의

총량중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 dibromochloromethane, bromoform에 대한 물질의 특성과 우리의 현실ㅇ 따른 수질기준이 필요하고,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위해성 평가과정에서 인체노출량 산정시 다경로노출을 고려하는데 이에 따른 노출변수를 선정시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민체형에 적합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산정방법이 필요하다.

위에서 살펴본 사항들을 충족시킬 수 있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부합되는 발암위해도 평가방법을 이요한 음용수 수질기준 설정과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만 한다.

[영문]

Every week the news media bombard us with reports of toxic wastes threatening our environment,especially our drinking water supplies. In recent years a whole new group of manmade drinking water supplies. In recent years a whole new group of manmade drinking water contaminants has emerged. Potentially toxic chemicals even in significantly low concerntrations. US EP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have suggested the regulations of carcinorgenic on drinking water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health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This study is the research of standard setting process using health risk assessment in drinking water.

The result are as follow;

1. In developing the guideline values for drinking-water, WHO generally assumed a daily per capita consumption of 2 liters by a person weighing 70 kg.

2. US EPA determines MCLG(Maximum Contaminant Level Goal),MCL(Maximum Contaminant Level) using linearized multistage model and body surface area extrapolation method,then excessive cancer risk is determined in range of 1x10**-5-1x10**-6

3. The MCL(Maximum Contaminant Level)of vinyl chloride is 0.002mg/L in US EPA, we don't have any standard for vinyl chloride.

4. US EPA has 49 drinking water standards for carcinogenic chemical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only 7 drinking water standards for carcinogenic chemicals.

In conclusion, we have to develope drinking water standard setting process that considers KOREAN life style and body structure using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802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