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4 1122

Cited 0 times in

정신보건센터에 내원하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기능과 재활준비 실태

Other Titles
 Rehabilitation readiness & daily living skills of chronic mental ill patients in CMHC 
Authors
 금란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성 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정도, 재활준비 정도,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여 정신보건센터 재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정신질환자는 경기지역의 16개 정신보건센터 재활프로그램에 참석하는 만성 정신질환자로 자료수집 기간 중에 내원 한 158 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10월 20일부터 11월10일 까지 이었으며,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 관련 문항, 남경아(1997)가 Wallace(1985)의 Independent Living Skills Survey(ILSS)를 번역, 우리 나라의 문화적 상황에 맞도록 수정 보완한 일상생활기능 측정도구와 박미애(1999)가 Hilberger(1995)의Change Assessment Questionnaire-Severe and Persistent Mental Illness(CAQ-SPMI)를 번역, 개발한 재활준비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연구대상 정신질환자의 평균 연령은 32.38세 이었으며 30대가 43.4% 로 가장 많고 남자가 63.1%로 여자보다 많았다. 미혼이 84% 이었고 고졸이상의 학력이 82%, 종교를 갖고있는 경우가 73.2% 이었다. 의료보험이 64.5%, 의료보호가 30.9%, 없는 경우는 4.5% 이었다. 부모와 동거하고있는 경우가 78.8%이었고, 정신분열증 86.5%, 조울증이 5.1%를 차지하였다. 발병연령으로는 20대가 48.7%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발병연령은 22.67세 이었다.

2. 재활프로그램 참여기간은 평균 18개월이었으며, 주간재활 참석 56.7%, 직업재활 참석 24.0%, 둘 다 참석하는 경우는 19.3% 이었다. 주 5일 참석이 42.7% 이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53.3%로 가장 많았다. 재활프로그램 중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은 정신건강 교육 21.8%로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훈련, 여가활용프로그램, 대인관계훈련, 집단치료, 직업재활, 지역사회 적응훈련 순 이었다.

3. 일상생활 기능 수준은 4점 만점에 평균 2.37(SD=.73)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교통수단이용(2.80), 개인위생(2.75), 가사활동(2.63), 건강유지(2.60), 금전관리(2.53), 식사(2.33), 여가활동(1.73), 직업기술(1.59)의 순 이었다.

4. 재활준비는 숙고단계가 15.34(Sd=2.75)로 가장 높았고 유지단계(15.05), 행동단계(15.05) 숙고 전 단계(9.11) 순 이었다. 숙고단계가 26.6%로 가장 많았고, 유지단계 17.7%, 행동단계 15.8%, 숙고 전 단계 4.4%, 이행 단계에 있는 집단 14.5%, 재활준비 정도를 평가하기 어려운 기타 집단 20.9% 로 분포하고 있었다. 재활준비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기능은 유지단계가 2.51, 행동단계 2.39, 숙고단계 2.25, 숙고 전 단계 2.0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기능과 재활준비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므로, 정신보건센터의 재활프로그램은 일상생활 기능과 재활준비정도에 따라 차별화 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Independent daily living skills and rehabilitation readiness by chronic mental ill pati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of CMHC around Kyonggi Province and to offer actual basic data for planning and develop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CMHC.

This i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mail from Oct. 20 to Dec. 10, 2000 in 16 CMHC around Kyonggi Province. Questionaire includes Independent Living Skills Survey(ILSS;Wallace,1985), Rehabilitation Readiness Scale(Park, M.Y.,1999) and sociodemographic data. Data was analysed by using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study surveyed a total 158 of chronic mental ill patients. Among the subjects, 63.1% were men and 36.9% were women. Most of them(86.5%) were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5.1%).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2.38 years with the range from19 to 55 years, and majority (84%) were single.

2. The mean participation i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was 18 months. 53.3% of subjects were attended at rehabilitation program activly. Among the rehabilitation programs,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to mental health education including symptom and medication management, independent living skills training, leisure activities, grouptherapy, community adaptation training were followed.

3. The average score of independent daily living skills of subjects was 2.43(SD=.73). Among the 8 subcategories, the highest living skill of the subjects was the using of public transportation(2.80) while the lowest one was job related function(1.59).

4. Among the subject, 26.6% of subjects were at contemplation stage, 17.7% at maintenance stage, 15.8% at action stage and 4.4% at precontemplation stage, 14.5% at transitional stage and 20.9% were miscellaneous group. The score of daily living skills at the stage of maintenance was the highest(2.51±.66).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CMHC.
Files in This Item:
T00655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40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