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51 1009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태조사

Other Titles
 Study on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the protection of workers who have risk of radiation-exposure in hospital 
Authors
 김현수 
Issue Date
2001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현재까지의 연구는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관리에 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다양한 직종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종에 따른 방사선에 대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3개 대형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방사선 개인 피폭선량계를 착용하고 방사선 업무에 종사하는 365명을 대상으로 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방사선에 대한 지식 . 인식 . 행태에 대한 항목, 기타 방사선 안전과 교육 등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지식, 인식, 행태 정도를 분석하고, 각 직종의 방사선 방어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방사선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 교육수준, 직종이었으며, 남자에 비하여 여자가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낮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방사선에 대한 지식 정도는 높았다. 그리고, 간호사, 연구원, 간호조무사에서 방사선사보다 지식 정도가 낮았다.

둘째, 전문대 졸업자와 대학 졸업자에서 고등학교 졸업자에 비하여 방사선 위해성 인식 정도가 높았다. 간호사, 연구원에서 방사선에 대한 인식이 방사선사보다 높았다.

셋째, 방사선에 대한 방어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식 정도와 반비례하였고, 직종에 따라 영향을 받았는데 임상병리사는 방사선사에 비하여 방사선 방어를 잘하지 않았고, 성, 연령, 교육수준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방사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방사선 방어 및 안전관리에 대한 행태가 낮았다.

넷째, 직종별 방사선 방어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의사는 관리자로부터 지적을 받았을 때, 방사선사의 경우 안전관리 교육을 받았을 때 방사선에 대한 방어에 대하여 적극적이었으며, 방사선 위해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종사자는 방사선 방어를 잘하지 않았다. 간호사에 있어서 방사선 위해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우 방사선 방어에 대하여 소극적이었다. 임상병리사는 지식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방사선 방어에 적극적이었으며, 연구원에서는 인식이 높을수록 방사선에 대한 방어를 잘하지 않았고, 지식이 높을수록 방사선 방어를 잘 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를 제외한 직종이 방사선사에 비해 방사선에 대한 방어를 잘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직종에 대하여 방사선 방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지식 및 인식이었다. 임상병리사와 연구원은 지식 정도가 높으면 방사선 방어를 잘 하였으나, 방사선사, 간호사, 연구원은 인식이 높을수록 방사선 방어에 대하여 소극적이었다. 이와 같이 직종에 따라 인식이 방사선 방어 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직종을 고려하여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방사선의 위해성에 대한 인식이 적절한 방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management of workers who have risk of exposure to radiation.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factors which affect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of various workers of hospitals having risk of radiation-exposu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otection behavior of workers from radiation exposure according to the kinds of job.



Subjects were 365 workers who put thermoluminiscent dosimeter(TLD) on during work time in 3 general hospitals. Data concerning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education about radiation safety, and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about radiation were collected. The extent of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of subjects were analyzed and carried ou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protection behavior of various jobs. The results are like this.

First, factors which influence the knowledge about radiation were sex, level of education, and kinds of job. Highly educated workers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nurses, researchers, and aid nurses showed lower level of knowledge than radiologists did.

Secondly, workers who graduated college and specialized college showe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than high school-graduated workers did. Nurses and researchers showe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than radiologists did.

Thirdly, workers who had more protective behavior showed lower perception level of risk and such trends exhibited difference according to job, sex, age, and education level. Clinical pathologists did not make effort to protect radiation than radiologists did.

Fourth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factors which affect radiation protection according to kinds of job. Medical doctors protected more eagerly when they got directions, and radiologists when they got risk management education. Workers who ha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of radiation exposure showed lower level of protection behavior. Nurses who ha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of radiation exposure protected less eagerly. Clinical pathologists showed higher protection behavior as they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Researchers who had higher perception level of risk of radiation exposure or higher level of knowledge of radiation exposure showed higher protection behavior from radiation.



In conclusion, workers other than radiologists(except nurses) did not show protection behavior from radiation than radiologists did. Knowledge and perception level influenced the extent of protection behavior according to kinds of job. Clinical pathologists and researchers who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showed higher protection behavior from radiation. Radiologists, nurses, and researchers who had higher perception level did not show higher protection behavior from radiation. The differences of protection behavior from radiation according to kinds of job were found. And, we should consider the kinds of job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s which supply right knowledge and improve perception about the risk of radiation for adequate protection.
Files in This Item:
T0065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