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35

Cited 0 times in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 요인 및 건강 자각 증상 관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factor related to indoor aldehydes exposure and healthy subjective symptoms 
Authors
 이지호 
Issue Date
2001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알데히드류 중 formaldehyde는 눈, 코, 목 등에 자극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상기도 자극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실내 오염 물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실내 공중 이용시설인 지하 공간과 고농도 노출 지점을 위주로 실내 알데히드류의 농도를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 가정에서의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 수준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건강 자각 증상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가정에서의 활동으로 인한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대기 중 알데히드류 분석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고,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 수준 및 범위를 파악하였다. 실내 거주 환경 특성에 따른 알데히드류의 농도 분포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실내 거주 환경 요인을 규명하였고, 알데히드류 노출 수준과 건강 자각 증상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은 일반 가정 35가구를 대상으로 2000년 여름과 가을에 걸쳐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을 측정하였고, 측정과 동시에 가구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적인 특성, 실내 거주 환경 특성 및 건강 자각 증상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총 가구원 280명에서 212명의 건강 자각 증상이 있는 집단과 68명의 건강 자각 증상이 없는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은 DNPH-silica cartridge와 O3 scrubber cartridge를 이용하여 HPLC/UV (360mm)에 의해 측정되었고, 자료의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변량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여름과 가을에 걸쳐 측정한 실내 총 알데히드 평균 농도는 각각 143.0㎍/㎥였고, formaldehyde의 평균 농도는 79.1㎍/㎥, 69.0㎍/㎥, acetaldehyde는 28.6㎍/㎥, 37.9㎍/㎥, acrolein+acetone은 35.3㎍/㎥, 37.9㎍/㎥으로 계절별 농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사한 실내 거주 환경 특성 중 실내 흡연자 유무, 가스레인지 사용시 자연 환기여부, 침대 사용, 새 가구, 페인트 및 도배 등의 가정 내 수리여부에 따라 실내 알데히드류 농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실내 흡연자 유무에 따른 총 알데히드 농도는 각각 237.4±104.9㎍/㎥, 170.8±70.6㎍/㎥였고, acrolein+acetone의 농도는 흡연자가 있는 가정(n=12)에서 85.1±79.6㎍/㎥, 흡연자가 없는 가정(n=24)에서 38.1±15.7㎍/㎥로 검출되어 흡연자가 있는 가정에서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였다.

가스레인지 사용시 자연환기 유무에 따라 formaldehyde 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자연환기를 하는 가정(n=15)에서 72.8±30.9㎍/㎥이고, 자연환기를 하지 않은 가정(n=24)에서는 98.8±45.8㎍/㎥였다.

침대 사용유무에 따라 총 알데히드류 평균 농도는 215.3±91.9㎍/㎥, 153.9±69.6㎍/㎥으로 나타났고, formaldehyde의 평균 농도는 100.1±43.8㎍/㎥, 65.1±29.2㎍/㎥로 검출되어 유의한 농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근 새 가구 사용 유(n=16) 무(n=20)에 따른 총 알데히드 농도는 229.0±98.9㎍/㎥, 164.2±76.7㎍/㎥, acetaldehy 농도는 47.2±21.9㎍/㎥, 33.1±13.9㎍/㎥로 유의한 농도 차이를 보였고, 최근 페인트칠을 한 적이 있는 가정(n=9)과 없는 가정(n=27)에서의 총 알데히드 농도 및 formaldehyde, acetaldehyde 농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배나 장판 등의 가정내 수리를 한 적이 있는 가정(n=17)과 없는 가정(n=19)에서의 formaldehyde 농도는 각각 105.9±46.7㎍/㎥, 72.0±29.9㎍/㎥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실내 알데히드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거주 환경 요인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내흡연자(x1)와 가스레인지 사용시 자연환기(x2), 실내 습기(x3), 카페트(x4), 새 가구(x5), 페인트(x6) 및 수리(x7)가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수로 나타났다.

실내 알데히드류 노출 수준에 따른 눈 증상, 코 증상, 부비동 증상, 호흡 증상 척도의 양 반응 관계에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알데히드류의 노출 수준은 건강 자각 증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여졌다. 이는 일반 가정에서 측정한 실내 알데히드류 농도 수준이 일시적으로 일반 사람들에게 강한 자각 증상을 느낄 만큼의 노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선정된 일반 가정(35가구) 중 9가구에서의 formaldehye 농도가 기준치(123㎍/㎥)를 초과하여 노출여 기여하는 영향 요인들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Formaldehyde는 반감기가 1년 이하로 오래된 일반 가정과 신축 가정에서의 각각의 알데히드류 노출 수준에 따른 건강 자각 증상과의 관계를 비교·규명해 볼 필요성은 있었고, 단면연구에 비해 코호트 연구를 한다면 알데히드류 노출로 인한 건강 자각 증상과의 명확한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핵심어: 일반 가정, 실내 알데히드류, 건강 자각 증상�








[영문]Formaldehyde of the aldehydes is a well-known irritant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with symptoms such as eye, nose and throat irritation commonly associated with indoor exposure. In Korea, aldehydes concentration in only high exposure sites such as ground area which is indoor public facility are regulated in present. So, the studies about aldehydes exposure in indoor home have been rarely conducte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aldehydes in home and healthy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it's exposure level.

In this study, the level of indoor aldehydes exposure in Korean homes and the distribution of aldehydes concentrat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n, the factor related to indoor aldehydes exposure were identified and dose response relatioship between aldehydes exposure level and healthy subjective symptom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accuracy for analytical method of aldehydes in air was verified.

Aldehydes level was measured in 35 households from the summer(July) to Fall(October) in 2000 and information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door home environment, healthy subjective symptom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Total number of responses were about 280 including 212 healthy subjective symptoms group and 68 non healthy subjective symptoms group. Aldehydes exposure was measured by using DNPH-silica cartridge and O3 scrubber cartridge. Them, the concentration of it was analysed by HPLC/UV(360nm).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bivariate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as performed by using SAS package.

In each summer(July) and Fall(October),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total aldehyde was 143.0㎍/㎥, 144.9㎍/㎥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was 79.1㎍/㎥, 69.0㎍/㎥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was 28.6㎍/㎥, 37.9㎍/㎥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acrolein+acetone was 35.3㎍/㎥, 37.9㎍/㎥.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dehydes concentration between summer(July) and fall(October).

However, aldehydes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indoor smoking, natural ventilation for using gas range, bed, new furniture, paint, renovation of indoor home environment variables.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total aldehyde in indoor smoking home was 237.4±104.9㎍/㎥ and 170.8±70.6㎍/㎥ in indoor nonsmoking home, average concentration of acrolein+acetone in indoor smoking home was 85.1±79.6㎍/㎥ and 38.1±15.7㎍/㎥ in indoor nonsmoking hom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ldehyde and acrolein+aceton concentration by indoor smoking.

Averag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n homes ventilated natually after using gas range was 72.8±30.9㎍/㎥ and 98.8±45.8㎍/㎥ in homes not ventilat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maldehyde concentration by natural ventilation after using gas range.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