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3 617

Cited 0 times in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산모의 인식도

Other Titles
 Pregnant women's perception of prenatal ultrasound 
Authors
 김문정 
Issue Date
2001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최근 산전 초음파검사는 산전관리에 있어서 가장 효용성이 높은 영상 진단법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산전 초음파검사의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위해서는 산모가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해 기대하는 의료서비스의 내용은 무엇인지, 실제로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해 갖고 있는 지식이나 태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산모의 지식과 태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구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00년 10월 17일부터 10월 28일까지 서울 시내에 있는 세 병원에서 산전진찰을 받고 있는 산모 중 초음파실을 내원한 28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산모는 검사의 주 목적이 임신 주수를 확인하고 태아의 성장 및 발달을 보기 위한 것임을 옳게 알고 있었으나, 산전 초음파검사를 통해 염색체 이상을 확진할 수 없다는 사실은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평가와 진단의 한계에 대해서는 비교적 옳게 인식하고 있었다.

2. 검사 전 정보 제공의 중요성에 대하여서는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데 반해 실제로는 검사 전 설명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고, 제공받은 설명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3. 산전 초음파검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산전 초음파검사 수준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았고, 검사 비용과 검사 대기시간에 대해서는 약간 불만스러워 하였다.



4. 세 병원 각각의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식과 태도 그리고 만족도는 세 병원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1차 의료기관으로서 초음파 검사를 주치의가 직접 시행하는 A병원에서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여성건강 전문병원으로서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안내문이 별도로 제공되고 있는 B병원에서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았다.

5. 다중회귀분석 결과,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지식은 B병원의 산모가 가장 높았고, 불교인 산모가 다른 산모에 비해 높았으며 월평균소득이 증가할수록 더 낮았다. 태도는 A병원의 산모와 종교가 불교인 산모, 임신 말기의 산모가 더 긍정적이었다. 만족도는 A병원의 산모가 가장 높았고, 월평균 소득이 증가할수록 더 낮았으며, 임신 중 음주 경험이 없는 산모가 경험이 있는 산모보다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도는 높지 않아서, 산모의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과 산전 초음파검사에 대한 태도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regnant women’s knowledg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renatal ultrasound and to find out the facto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survey was conducted to two hundred eighty five pregnant women who visited obstetric departments of three hospitals located in Seoul from October 17, 2000 to October 28, 2000.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Overall, respondent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of prenatal ultrasou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tated that the main purpose of prenatal ultrasound was to check for ag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aby but only 44.5% of respondents understood the fact that chromosomal abnormalities cannot be diagnosed only by prenatal ultrasound.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diagnostic limitations of ultrasound.

2. Whil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e-examination information, only 31.8% of respondents received the information from their health care providers and only 38.1% of respondents stated that the received information was useful.

3. Regarding the examination quality,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ompetency of the examination. But they stated the cost and waiting time were not acceptable.

4. The knowledg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renatal ultrasou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spital.

5.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factors for knowledge of prenatal ultrasound wer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religion, income and gestational age. Major factors for attitude toward prenatal ultrasound wer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religion and gestational age. Major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prenatal ultrasound were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income and drinking during the pregnancy.



In conclusion,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prenatal ultrasound is considerably low. More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 or program with prenatal ultrasoun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pregnant women prior to prenatal ultrasound. New strategy such as process reengineering is recommenda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prenatal ultrasound.
Files in This Item:
T00652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