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구강 암종세포주의 확립과 생물학적 특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용찬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2T07:12:49Z | - |
dc.date.available | 2015-11-22T07:12:49Z | - |
dc.date.issued | 2001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354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박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구강암은 인체에 발생하는 암의 약 3-5% 를 차지하며, 그 중 90% 이상이 편평세포암종이다. 구강암은 암종으로 진행되는 과정 중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고 광범위한 백반증이 나타나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전적 손상에 따른 다단계의 발암과정을 추적,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이다. 또한 구강암의 발생기전에는 개개인의 발암인자의 노출 정도와 더불어 지역적으로 특수한 문화 환경적 배경이 관여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자들에게서 채득한 구강 암종조직으로 구강 암종세포주를 확립하고, 이들의 증식능, 분화정도, 상피성장인자수용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발현정도 및 in vivo tumorigenecity를 분석하였다. 또한 DNA를 추출하여 p53 항암유전자 돌연변이와 인유두종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 DNA 검색을 통하여 구강 암종세포주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1. 다섯 예의 편평세포암종과 두 예의 점액표피양암종 환자로부터 모두 아홉 종의 구강 암종세포주를 확립하였으며, 그 중 두 예는 림프절로 전이된 암종에서 확립하였다. 2. 암종세포주의 평균 doubling time은 24.7 시간이었고 림프절 전이의 소견을 보였던 암종에서 기원한 세포주에서는 비전이 암종세포주보다 더 빠른 doubling time을 보였다. 3. YD-8 과 YD-32를 제외한 모든 암종세포주에서 EGFR의 과발현을 보였다. 4. p53 유전자 돌연변이는 9예 중 4예에서 발견되었다. 4예 중 3예는 exon 7에서 유전자 변환이 관찰되었고, 1예는 exon 8에서 유전자 천이가 관찰되었다. 5.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검색 결과, 모든 암종세포주에서 HPV DNA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할 때 한국인 구강 암종세포주의 특징으로 빠른 증식속도와 p53 항암유전자의 잦은 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HPV DNA는 관찰되지 않았다. 앞으로 이 연구를 기초로 발암기전 연구와 구강암 예방 및 항암제 효과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영문]Oral cancer, of which 90% is squamous cell carcinoma (SCC), comprises 3-5% among human cancer incidences. Since, genetic abnormalities of human cancer greatly depend on geographic differences, cultur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are thought to be closely related to carcinogenic process.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establish several oral cancer cell lines and examined their proliferating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In vivo tumorigenicity was observed by the injection of tumor cells into nude mice skin. The status of p53 gene and HPV infection was analysed through PCR, SSCP and DNA clo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e estabished 9 oral cancer cell lines, of which 5 are from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2 from mucoepidermoid carcinomas. Among them 2 originated from metastased lymphatic nodes. 2. Mean doubling time of established cell lines was 24.7 hours. Cell lines derived from metastatic lymph node showed faster doubling time. 3. Seven cancer cell lines showed EGFR over expression. 4. Point mutations of p53 tumor suppressor genes were detected in 4 out of 9 oral cancer cell lines. Three cases showed transversion in exon 7 and one case showed transition in exon 8. 5. HPV DNA was not detected from all cancer cell lines.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cell lines from Korean oral cancer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ir bi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Further experiments would be focussed on the study of carcinogenesis and cancer prevention.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구강 암종세포주의 확립과 생물학적 특성 | - |
dc.title.alternative | Establishment of oral cancer cell line and its biologic characterizati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un, Yong Chan | - |
dc.type.local | Dissertation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