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544

Cited 0 times in

인간 배자에서 전정와우신경의 초기 발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창현-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0:58Z-
dc.date.available2015-11-22T07:10:5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28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전정와우신경은 청각과 평형이라는 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이다. 발생학적으로 이 신경은 능형뇌의 특수한 상피세포 집단인 이판 및 그와 인접한 청안면신경절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람의 배자를 이용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4주부터 8주 사이의 정상 한국인의 배자 31개를 카네기 발생기에 따라 9기부터 23기까지 분류한 후 연속절편으로 조직표본을 만들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배자기 동안의 전정와우신경의 초기발생을 시기별로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배자 수집 단계에서 빠진 9기와 11기의 경우를 제외하고 각 발생기 별로 2-3개의 배자들을 관찰한 결과, 같은 발생기로 분류된 배자들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이 균일한 발생 진행 상태를 볼 수 있었다. 전정와우신경의 기원이 되는 청안면신경절과 이판은 발생 10기부터 이미 형성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12기에는 이판이 변형되어 형성된 이소포 벽의 세포들이 인접한 청안면신경절로 이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혼재된 청안면신경절로부터 안면신경 가닥이 만들어졌으며, 전정와우신경은 이와는 구분되는 신경절 덩어리로부터 발생되었는데, 그 진행 양상은 이소포로부터 발생하는 막성미로의 발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발생 15기부터는 상,하로 신경절이 분리되었고, 17기 이후에는 막성미로의 와우관 발생을 따라 와우신경과 나선신경절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막성미로의 각 부분이 세분화되면서 신경절 및 신경가닥의 주행과 형태도 뚜렷히 구분되어 갔으며, 배자기의 말에는 내이도와 그 내부를 지나는 신경들, 즉 전상부의 안면신경, 전하부의 와우신경, 후방의 상,하 전정신경 및 신경절들이 잘 관찰되었다. 그러나, 반규관의 팽대부나 와우의 코티기관 등 특수화 된 말단 감각기의 형성은 배자기 말에도 미미하거나 없었다. 결국 전정와우신경은 발생 초기인 배자기에 그 형태와 위치 관계가 성인과 같은 모양으로 완성되지만 기능은 거의 갖추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며, 한국인에서 전정와우신경의 배자기 발생이 외국의 연구와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막성미로와 각 신경들의 3차원적인 상호 위치 관계를 더 잘 연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재료의 관찰이 필요함을 느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축으로 절편을 제작하고 신경 부위를 잘 볼 수 있는 조직 염색법을 사용하거나 입체적인 재구성 방법을 도입한다면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되는 말 : 정상 인간 배자, 전정와우신경, 카네기 발생기 [영문]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the vestibulocochlear nerve(VCN),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n embryos. 31 normal Korean embryos were used and according to the Carnegie's developmental staging method, the embryos in each stage consisted of a group so that all 15 groups were composed from stage 9 to stage 23. Each embryo was serially sectioned and light microscope was used to observe the sections focusing to the VCN and inner ear development. The acousticofacial ganglion and cells of otocyst's wall were involved to make the VCN and the trunk of the facial nerve was developed from the remaining part of the acousticofacial ganglion. The ganglion mass was divided into superior and inferior parts from stage 15 and the cochlear part of ganglion was presumably originated from inferior part of ganglion from stage 17. The course of preganglionic fibers of the vestibular nerve was clearly observed at stage 21 and the trunk of postganglionic fibers was observed running medial to the vestibular ganglions. The internal auditory meatus shaped at stage 22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VCN and facial nerve was simillar to the adult form at stage 23. The end sensory organs of labyrinth, such as cupula, macula and organ of Corti did not fully developed until the end of the embryonic period. In this study, the early development of VCN in Korean embryos was revealed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foreign literature.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obtain better results using more embryos, special neural tissue staining methods, and three dimensional image reconstruction techniques. Key Words : normal human embryo, vestibulocochlear nerve, Carnegie stag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인간 배자에서 전정와우신경의 초기 발생-
dc.title.alternative(The) early development of the vestibulocochlear nerve in human embryo.-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Chang Hy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