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3 736

Cited 0 times in

임부의 태교 실천 영향 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숙-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0:14Z-
dc.date.available2015-11-22T07:10:1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255-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본 연구는 임부의 태교 실천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태교 실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총체적인 임부 관리 프로그램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이 개 종합병원과 경기도 소재 일 개 종합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고 있는 임신 27주에서 41주의 임부로서 임신합병증이 없으며 기혼여성이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34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4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산전관리를 위해 내원한 임부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게 하였고, 설문지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0분 정도이었다. 연구 도구는 임부의 태교 실천 측정 도구,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 임신 의도, 임신의 수용, 임부의 피로, 사회적 지지,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 정도 및 대중 매체의 영향 정도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도구의 Cronbach's α값의 범위는 .66-.97 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였다.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부 태교 실천 정도의 차이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태교 실천과 제요인간의 관계는 Pes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임부의 태교 실천과 상관관계가 있는 제 요인들의 설명력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태교 실천정도는 가능점수 37-185점 범위 중에서 평균 139.1점이었고 권장행위 실천은 평균 67.2점, 금기행위 실천은 평균 71.9점으로 나타났다. 2.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은 가능점수 3-15점 범위 중에 평균 10.0점이었다. 임신 의도는 가능점수 5-20점 범위에서 평균 16.3점이었고, 임신 수용은 6-24점 범위에서 12.7점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가능점수 22-132점 범위 중 배우자 지지가 54.6점이었고, 가족이나 친지의 지지가 52.6점으로 총 사회적 지지점수는 평균 107.2점이었다. 임부의 스트레스는 가능점수 11-44점 범위에서 평균 16.5점이었고, 임부의 자아존중감은 가능점수 0-20점 범위에서 평균 10.3점이었다. 3. 임부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결혼만족 정도로 나눈 세 군의 태교 실천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22, p<.01). 그 외의 임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교 실천 정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4. 임부의 태교 실천은 태교 효과에 대한 신념(r=0.38, p<.01), 임신 의도(r=0.22, p<.01), 임신 수용(r=-0.23, p<.01), 사회적 지지(r=0.30, p<.01), 임부의 스트레스(r=-0.23, p<.01), 대중매체의 영향(r=0.29, p<.01), 출산회수(r=-0.17, p<.01) 및 자녀수(r=-0.17, p<.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임신 의도가 강할수록, 임신을 수용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임부의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대중매체의 영향정도가 클수록, 출산회수가 적을수록 그리고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태교 효과에 대한 신념(13.9%), 사회적 지지(8.0%), 대중매체의 영향(2.7%) 및 임부의 스트레스(1.6%)를 고려한 변인들은 태교 실천에 대해 26.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 사회적 지지, 대중매체의 영향 등이 임부 태교 실천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설명력이 있는 요인들로 작용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이 요인들 중에 태교효과에 대한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임부의 태교 실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임부의 태교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태교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증적 연구가 요구되며, 배우자와 가족이 임부를 임신기간 동안 지지할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재방안으로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aekyo practiced by pregnant women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Taekyo, and to offer actual basic data for nursing prenat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gnant wom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34 pregnant women from IUP 27 weeks to IUP 41 weeks who were married and receiving prenatal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4 to June 7, 2000 in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Kyonggi Province. As a measuring tool for Taekyo, the Taekyo Scale developed by Choi and Kim (1995) was revised and shortened by the investigator. For factors influencing Taekyo,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intention of pregnancy, acceptance of pregnancy, fatigue,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self esteem, stress, and mass media factor. The Crohbach's alpha scores ranged from .66 from to .97.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 Program to obtain summary statistics for the descrip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aekyo was 139.1+-16.49 poi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ekyo according marital satisfaction(F=5.22, p<.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aekyo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correlations were: Taekyo in pregnant women was significntly correlated with belief in the effects Taekyo (r=0.38, p<.01), intention of pregnancy (r=0.22, p<.01), acceptance of pregnancy (r=0.23, p<.01),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r=0.30, p<.01), stress (r=0.23, p<.01), mass media for (r=0.29, p<.01) and number of child (r=-0.17, p<.01). 4.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aekyo were belief in the effect Taekyo (13.9%), social support of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8.0%), mass media factor (2.7%) and stress (1.6%).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26.2% of the variance in Taekyo. In conclusion, belief in the effect Taekyo, social support or spouse and relatives or neighbors, mass media factor, and stress influenced Taekyo in pregnant women.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peated research to scientifically idnetify the effects of Taekyo and there us a need prenatal program as they are develop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임부의 태교 실천 영향 요인-
dc.title.alternativeFactors influencing Taekyo* in pregnant wome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 So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