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650

Cited 0 times in

도시 저소득층 주민의 의료이용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Case study of medical utilization on the urban poor.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논문은 도시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에 관한 사례연구로써, 도시 저소득층주민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의료제도와 의료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논문의 특징은 도시 저소득층 주민의 급만성 질병이환 경험에 따른 의료미충족, 의료이용행태, 의료이용시 경험하는 불만족 내용과 문제점 등을 대상자의 개별 면접을통하여 파악한 사례연구라는 점이다.

연구대상은 도시 저소득층 주민이 모여 살고 있는 마포구 상수동 임대아파트 3600여 가구와 강남구 일원동 임대아파트 1500여 가구에서, 가계가 어렵거나 질환자가 있는 가구를 중심으로 통장의 추천을 받아서, 면접에 동의한 20가구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1996

년 11월 9일에서 18일까지 10일 동안이며,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료이용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중심으로 작성한 개방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20가구이며 남자 34명, 여자 34명이다. 연령은 20대 이하가 30명으로 44.1%이고, 50대 이상이 22명으로 전체의 32.5%였다. 학력은 국졸이하가 20명으로 전체의 40%였다. 직업은 육체적 노동이 19(28%)명으로 가장 많았고, 질병으로 인한 무직이 14명(20,6%), 노령으로 인한 무직이 5명(7.4%), 미취업상태가 4명(5.9%)이었다. 1인당월평균수입은 14만원 이하가 8가구, 15-21만원 8가구, 22만원 이상이 4가구였다.

급성질환 경험건수는 13건이고, 감기가 8로 가장 많았다. 만성질환 경험건수는 68 건이고, 관절염 9, 고혈압 8, 뇌졸중 8, 위염 및 소화불량 5, 신경통 5,심장병 4, 당뇨 2, 간질환 2, 갑상선 2, 정신병 3, 사고후유증으로 인한 통증 6,기타 14건 등이었다. 만성 질환의 의료요구는 여자가 40건, 남자가 28건이고, 검사나 약이 많아서 도움이 되지 못하며, 의료보호 진료기간 제한으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퇴원하기도 하였으며, 진료기간 연장신청을 모르고 계속치료를 받다가 의료보호혜택을 받지 못하는 불이익을 당하기도 하였다. 보건소는 주민들이 보건소의 의료사업내용을 몰라서 이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많았으며, 검사 시설과 진단 장비가 부족하여 의료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고, 치료효과를 믿을 수가 없으며 신뢰가 가지 않아 잘 이용하지 않는다고 하는 주민이 많았다.

병원이용시 시설과 절차가 복잡하여 불편하다고 하였으며, 의료인들이 질병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불친절한 것을 불만스러워 하였으며, 평일에는 진료를 받고 싶어도 일 때문에 못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지식수준이 낮고 정보체계가 부족한 그들은 질병 발생

시 도움을 받을 곳이 업어서 힘들다고 하였으며, 치료비가 없어서 치료를 중단하기도 하고, 치료비 때문에 주변 이웃이나 형제나 친척들에게 계속 빛을 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건강관리 지식이 부족하여 진통제를 남용하거나 유산을 약으로 치료하는 잘못된 의료

이용 행태가 통제되지 않고 있었으며, 경제적 부족으로 병의 자각증상이심해지기 전까지에는 의료를 이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질병을 더욱 위중하게 만들었다. 아프면서도 쉬지도 못하고 계속 일을 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고, 영세한 작업장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대부분이기 때문에 주기적인 직장검진도 이루어지지 않아서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힘들고 예방적 건강관리란 거의 불가능하였다. 특히, 노인들은 경제력도 부족하고 거동도 힘들어서 의료이용에 장애가 많았다.

저소득층 주민의 건강보장을 위해서는 정부, 의료기관, 의료인, 주민들 스스로의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보건소는 저소득층 주민들과 친밀한 관계형성으로 건강문제에 접근하기 쉬운 방문간호사업을 활성화시켜서 그들에 대한 계속적인 건강 관리와 건강 교육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고, 시설과 장비를 확충하고, 휴일진료 등을 도입하여 주민들의 의료이용 접근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건강 상담, 건강 교육, 생활정보 제공, 민간 의료자원을 활용한 무료진료 등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보건복지프로그램을 보건소, 동사무소 사회사업과, 사회 복지관이 함께 팀으로 협력하여 주민의 건강과 복지사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의료인들은 저소득층 주민의 경제적 상태를 고려하여 치료해주는 따뜻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며, 지식이 부족한 그들에게 질병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대상자들 스스로 건강을관리하고 지켜나갈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민들 스스로도 건강에 대한 관심을 좀 더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저소득층 주민의 생계 유지에 적정한최저 생계비 수준을 마련하고, 의료보호 대상자수를 늘리고 의료보호 혜택의 수준을 높여서, 저소득층 주민의 의료이용의 경제적 장애를 해결해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Background: The author tried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medical system and service for the Health issues of urban low income family, by investigating their satisfaction level, the pattern and problem on utilizing medical system according to their medical dema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attern of medical disease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urban poor. The investigators performed the retrospective multiple sampling question studies based on their actual experienc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s were the residents of low income rental housing complex in urban area.

Total 20 families,12 out of 3600 in SangSoo-Dong, MaPo-Ku area and 8 out of 1500 in Ilwon-Dong, Kangnam-Ku area included. The duration of study was from November 9th to 18th, 1996. The investigators utilized open labeled questions ba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medical utilization.

Results: Gender-distributions were 34 male and 34 female Ages were mostly 6th decade of life 40% of study population had less th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not surprisingly off work hours.

The study families with patients were chosen and elderly, single art handicapped families were the majori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not be generalized.

The pattern of the less income, the less seeking medical attention was shown in this study and they were gathering at local health care clinic. The more elderly, the more need of medical care, and less ambulating. Abuse or misuse of medication

due to lack of medical knowledge was not regulated. After having been taking self prescribed medication for long time it is often too late to seek medical attention and disease has progressed. Most of the low income urban dwellers hid to work even though they were ill. Preventive medicine cannot be possible due to lack of health check up program.

Even though the health problems of the urban income family are severely compromised in our society, it is pretty much left on their own. The government needs to set the minimum living standard and to expand its beneficiary program for them. The public health care program like local health care center will have to hold up enough budget and man power, expand more facilities and equipment, activate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 advertise their activity to general public, establish moving clinic for the elderly, run the off-duty hour

clinic for the workers, and free clinic with support from the private sector. It is also necessary to set up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these people with assistance from social service. The government has to understand their living condition and significance of health problems. It will have to establish a new responsible department to manage these problems and to work on improvement of health care system b announcing more organized polici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01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06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