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966

Cited 0 times in

말초성 현훈과 중추성 현훈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뇌간청각유발전위의 유용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관-
dc.date.accessioned2015-11-22T07:05:00Z-
dc.date.available2015-11-22T07:05:00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05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현훈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으로서 아주 다양한 원인질환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임상증상이 일과성인 양성 체위성 발작적 현훈이나 전정신경염등의 말초성 현훈과 척추뇌저동맥 일과성 뇌허헐, 뇌간경색증등의 뇌간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중추성 현훈은 치료방침 및 예후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어서 감별이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임상증상의 유사성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뇌간의 병소는 뇌전산화단층촬영에서 잘 검출되지 않는 특징이 있고 최근에 임상응용이 가능하여진 자기공명영상(magentic resonance imaging, MRI)은 우리나라 현실상 임상적용에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훈의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손쉽고 객관적인 뇌간기능검사를 필요로 하기 된다.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는 청각전달경로의 여러 구조물에서 나오는 일련의전위파를 검출 분석함으로서 이 경로 자체나 주위조직의 기능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인데특히 뇌간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경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훈, 특히 이중에서도 감별이 어려운 일과성 현훈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85년 1월1부터 1988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전기생리학 검사실에서 뇌간청각유발전위검 사를 시행한 현훈 환자의 검사결과를 동 기간동안 시행한 46명의 정상대조군과 비교 관찰 분석하였다. 관찰대상 환자는 총 98예로서 이중 53예는 양성 체위성 발작적 현훈이나 전정신경염등의 말초성 현훈이었고 34예는 척추뇌저동맥 일과성 허혈이나 뇌간경색증등의뇌간 혈액순환 장애에 의한 중추성 현훈이었는데 나머지 11명은 감별이 확실하지 않은 겨우였다. 중추성 현훈과 말초성 현훈 환자군에서의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 결과를 정상대조군과 비교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뇌간청각유발전위의 각 파의 전위폭은 정상대조군, 말초성 현훈 환자군, 중추성 현 훈 환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대조군과 말초성 현훈 환자군에서의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 결과간에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중추성 현훈에서는 Ⅳ, Ⅴ파의 절대잠복기와 Ⅰ-Ⅲ, Ⅲ-Ⅴ 및 Ⅰ-Ⅴ간의 파간잠복기 에서 현저한 지연을 보였다. 이 검사지가 대조군의 2표준편차를 벗어난 경우는 말초성 현 훈이 13.2%인데 비하여 중추성 현춘이 61.8%로 훨씬 많았다. 4. 중추성 현훈과 말초성 현훈의 감별에 있어서 판별식에 의한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의 진단 예측률은 75.31%였다. 이상의 결과로 현훈 환자에서의 뇌간청각유발전위검사는 진단의 보조 및 객관화 목적은 물론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원인질환의 감별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바이다. [영문] Vertigo is a very common symptom, caused by various kinds of etiology.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vertigo, especially in patients with transient symptom without definite neurological deficits, is sometimes very difficult on clinical assesment or radiological studies. Brain stem auditory evked potential study(BAEP) is a kind of short latency, far-field evoked potential, recording the sequential electrophysiologic events which are known to be generated at the acoustic nerve and nucleus, superior olivary complex, lateral lemniscus and inferior colliculi. It is well-known that the functional or structural damage of these structures may reveal the alteration of BAE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AEP in differentiating the central vertigo from the peripheral one. For this, the patients with vertigo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central, peripheral and undeterminded vertigo on clinical grounds and the results of BAEP in each patient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re were 53 patients of peripheral vertigo due to bengin paroxysmal positional of peripheral verigo due to benign patients of central vertigo with vertebro-basilar transient ischemic attacks or brainstem infarction. Eleven patients with vertigo cannot bo categorized aon clinical ground. Also, the finding of BAEP in each patient group were compared with BAEPs from 46 normal healthy adults. The results consist of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ncies and amplitudes of each BAEP waves between the group of normal control and peripheral vertigo. 2. The absolute latencies of Ⅳ and Ⅴ waves and interpeak latencies of Ⅰ-Ⅲ, Ⅲ-Ⅴ ad Ⅰ-Ⅴ on BAEP of the patient group with central vertigo were proloned significantly(p<0.05). However the changes of amplitude were not definite. 3. The incidence of abnormal BAEP in central vertigo was 61.8, and higher than that of peripheral vertigo, 13.2%. 4. The accuracy of BAEP in differentiating the patients with periperal vertigo from patients with central vertigo was 75.31% on discriminant analysis. In conclusion, BAEP studies in patients with vertigo could be beneficial and objective metho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ipheral vertigo and central on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말초성 현훈과 중추성 현훈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뇌간청각유발전위의 유용성-
dc.title.alternativeBrainstem auditary evoked potentials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vertigo.-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00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Young Kw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