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456

Cited 0 times in

제왕절개술 마취의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용애-
dc.date.accessioned2015-11-22T06:59:45Z-
dc.date.available2015-11-22T06:59:45Z-
dc.date.issued197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86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안전한 산과 마취를 시행하려면 모체뿐만 아니고, 태아 및 신생아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하여야 되며, 임신중의 생리변화 그리고 마취제 및 마취방법이 모체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근래 제왕절개술을 시행하는 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 등(1974)은 8.1%, Dripps등 (1977)은 15%라고 보고했다. 제왕절개술 때의 마취는 산모의 상태, 수술자 및 마취과의사의 숙련도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마취방법을 선택하여야 되지만 일반적으로 골 반이상이나 반복제왕절개술 등은 부위마취로도 충분하고, 제대압박 자궁태반기능장애 등에서 보는 fetal distress 및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및 자궁파열 같은 응급을 요하는 경우는 전신마취법을 선택하게 된다. 제왕절개술 때 마취관리의 문제점은 분만 중 투여하는 진정제, 진통제 및 마취제로 인한 태아에 억제작용 (Teramo, 1968: Strenger등, 1969: Kalappa 등, 1971: Lumley 등, 1977: Fox 및 Houle, 1971: Crawford 등,1972)을 고려해야 되며, 또한 산모에 있어서는 응급을 요하는 제왕절개술의 경우 전신마취 때 구토로 인해 위 내용물이 폐내 흡인으로 합병증이 초래될 위험성이 있으며, 부위마취를 시행 할 때는 심한 저혈압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근래의 문헌을 보면 마취방법에 따라 신생아의 신경행동(neurobehavior)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Scanlon등,1974: Standley등, 1974: Tronick 등, 1976: Hollmen등,1978)), 그래서 저자는 제왕절개술시 전신마취와 척추마취방법을 비교하여 산모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에서 1973년 7월 1일부터 1978년 6월 30일까지 만 5년 간 전신마취나 척추마취로 제왕절개술을 실시했던 1725 예 중 각각 150예씩을 무작위 선택하여 마취종류와 1분 및 5분 Apgar지수, 마취유도분만시간(I.D.T.)과 1분 Apgar지수, 척추마취 시작 후 혈압하강발현시간과 하강정도, 출혈량, 신생아의 소생방법, 신생아 주산기사망율, 그리고 신생아의 신경행동상태에 대해서 임상적으로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평균 18.4%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척추마취 예에서 전신마취예보다 1분 Apgar지수가 좋았다. (0.01〈p〈0.025). 3. 출혈량은 척추마취 예에서 평균 566±145 ml로 전신마취예의 평균 796±388ml보다 적었다. 4. 척추마취 유도후 최초혈압하강 발현시간은 83%로 10분이내에 나타났다. 5. 주산기 사망률은 전신마취예의 3.9%로 척추마취예의 1.9%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제왕절개술의 마취선택에 있어서 척추마취가 전신마취에 비해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으나, 두 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이 더 안전하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산모 및 태아상태에 따라 적절한 마취방법을 선택함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o provide optimal obstetric anesthetic care, it is essential for the anesthetist to know well the maternal physiology alterations produced by pregnancy, labor and paturition, physiology and pharmacology of the fetal placental complex and how these are altered by analgesics and anesthetics (Bonica, 1972). Recently, the tendency to cesarean section is increased; the cesarean section rate was 8.1% (Lee et al., 1974) and 15% (Dripps et al., 1977). Choice of regional or general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depends on many factors. As the paturient is considered to have a full stomach, regional anesthesia is advantageous. However, if the indication is fetal distress or maternal hemorrhage, the necessity for rapid delivery overrides all other considerations. For elective cesarean section the choice of anesthesia largely relates to patient condition and physican's preference, although the somewhat longer time required for delivery in a repeat cesarean section may indicates regional rather than general anesthesia (Dripps et al., 1977; James et al., 1977). The problem of anesthetic management of cesarean section was fetal depression due to sedatives, analgesics and anesthetics during delivery. In emergency cesarean section, the major problem in general anesthesia is aspiration of gastric contents and in regional anesthesia it is hypotension. Regarding fetal and neonatal depression associated with anesthesia, the effects of general or regional anesthesia on the neonatal neurobehavioral status have been reported by many authors (Standley et al., 1974; Tronick et al., 1976; Hollmen et al., 1978). Thus we have made a clinical analysis of anesthesia for 300 cases by random sampling among 1725 cesarean sections, including emergency and elective operations, performed from July 1973 to June 1978 in Severance Hospital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linical analysis was made of freguency of cesarean section, age distribution, parity, indication of cesarean section, physical status (A.S.A. classification). premedication, anesthetic method, relationship between Apgar socre and the type of anesthesia, relationship between induction to delivery time and one minute Apgar score, time to initial blood pressure drop after spinal anesthesia, blood loss, the method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f the newborn, perinatal mortality and neonatal neurobehavioral state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was 18.4 percent of total deliveries and the tendency is increasing. 2. One minute Apgar score in spinal anesthesia is better than in general anesthesia (0.01<P<0.025). 3. Blood loss in spinal anesthesia (566±146 ml) is less than in general anesthesia (796±388 ml). 4. Blood pressure showed a drop within minutes in 83 percent of cases after induction of spinal anesthesia. 5. Perinatal mortality of general anesthesia (3.9%) is more than spinal anesthesia (1.9%). Even though clinical results of spinal anesthesia seem to be more favorable than those of general anesthesia, from the above observation it may be concluded that choice of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depends on each maternal condition and only one anesthetic method should not be exclusively us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제왕절개술 마취의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Clinical evaluation of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82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 Yong A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