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506

Cited 0 times in

산업장 근로자들의 간호역할기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영희-
dc.date.accessioned2015-11-22T06:55:34Z-
dc.date.available2015-11-22T06:55:34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711-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Freeman과 김의 산업보건간호원의 역할정의와 건강행동이론 및 역할이론을 산업장 근로자들의 간호역할기대라는 구체적 상황에 적용시켜 기대정도와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발전으로 급증된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적합한 산업보건관리가 시급히 요청됨으로써 사실상 산업보건관리사업 수행에 중추를 이루고 있는 간호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역할이란 문화적 제도적으로 규정됨은 물론 한 조직속에서 상호작용하는 구성원들의 기대에 의하여 중요한 영향을 받으므로 간호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근로자들의 기대를 파악하고 그 기대에 부응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목적으로 시행된 것이다. 본 연구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개 산업장 근로자 1538명을 모집단으로 임의추출 방법에 의한 16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1980년 5월 6월과 7일 이틀에 걸쳐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인 간호역할에는 직접간호제공자, 대변자, 상담자, 교육자, 관리자, 관찰자, 결정자, 촉매자 (Poteniator)의 8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할기대정도는 Likert type에 의한 5단계 척도를 이용하여 최고 5점에서 최저 1점까지 배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간호역할 영역별 기대정도의 평점척도 분포가 4.76-3.20로 일반적으로 「보통」정도 이상의 간호역할 기대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접간호제공자 역할의 평균 기대점수가 4.76으로 가장 높았고, 차위로 상담자(3.92), 관리자(3.84), 촉매자(3.54), 결정자(3. 27), 교육자(3.11), 대변자(3.08), 관찰자(3.02) 순위였다. 가장 높은 기대정도를 보이고 있는 직접간호제공자 역할과 차위인 상담자 역할의 기대점수 사이에는 차이가 매우 컸으며, 직접간호제공자를 제외한 나머지 역할들의 평균 기대정도는 「보통」수준이었고, 관찰자의 역할이 3.02로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의 산업보건 간호원의 역할확대와 예방중심의 효과적 건강관리에 난제가 될 것으로 사려된다. 2. 일반적 특성과 간호역할 기대와의 관계 분석에서 연령, 성별, 근무부서, 월수입 등이 각 영역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남자는 직접간호제공자, 관찰자 영역에서 여자보다 기대가 높았고, 여자는 대변자 영역에서 남자보다 기대가 높았다. 이 는 근본적으로 성(性) 역할의 문화적 영향에 의한 것이라 본다. 사무직 근로자가 육체노동을 하는 생산직 근로자보다 직접 간호제공자, 상담자, 교육자 영역에서 모두 기대가 높게 나타난 것은 사무직 근로자가 생산직 근로자보다 질병에 관한 관심이 더 많고 따라서 간호역할 기대도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연령별로는 21-24세 군이 촉매자(Potentiator)의 역할영역에 가장 기대가 높았고 25세 이상에서는 기대가 낮았으며, 수입이 적을수록 또한 촉매자(Potentiator) 역할영역에 유의성 있게 기대가 높았다. 이는 젊은 연령층의 진취적 성향과 낮은 경제집단의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이득에 관한 기대 때문이라 사려된다. 그러나 관리자, 결정자 역할영역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역할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한 변수들 중에서 보건지식만이 부분적으로 역할기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건지식이 많을수록 교육자, 결정자 역할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접간호제공자에는 역할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보건지식이 간호역할 기대에 가장 밀접하게 관계됨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근로자들의 산업장 간호원 역할에 대한 기대정도는 전통적 역할인 직접간호제공자 영역에 특히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역할 영역들에서는 「보통」수준으로 비슷한 기대정도를 보였다. 이는 50세 이상의 근로자를 가진 사업체에서는 보건관리자 및 보건관리요원을 두어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보건관리자는 일반 개업의로서 명목상으로 존재할 뿐 이들은 근로자의 건강관리나 예방사업에 많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보건관리요원 또한 산업보건에 관한 준비결여와 그 역할이 전통적인 기능적 업무에만 고정되다 시피하고 있으므로 근로자들은 이들 산업보건관리요원 및 산업보건사업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하고 무관심한 결과라 하겠다. 그러므로 간호원역할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및 기대고취는 물론 효과적 산업보건간호사업을 위해서는 간호원의 중요 업무중의 하나인 보건지식 강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cross sectional survey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ectation level of workers on the industrial health nurses' role that was defined by Ruth B. Freeman and Kim, Moim, it's affecting factors in light of Health Behavior Model and Role theory. Today,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the population of workers has increased rapidly. Therefore an adequate occupational health service is needed for them urgently. And nurses who have a major role to perform an occupational health service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industry. A person's role is defined by cultural and social Norms, and also influenced by the expectation of others who interact in a give system. Therefore,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nurses who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worker's health, first of all, the nurse must identify and meet their expect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9 workers selected Conveniently from 1538 workers working in a manufacturing factory located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is developed by the author from May 6th to 7th, 1980.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llowing eight categories of nurses' roles; (1) Provider of personal care, (2) client advocate, (3) counselor, (4) educator (5) observer, (6) manager (7) decision-maker, & (8) potentiator. The scale of expectation of workers about nurses' role was assigned values from one to five according to Likert type judgemen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distribution of expectation was 3.02-4.76, and the total mean was 3.57. Thefore the expectation level of workers about nurses' role was moderate. The expected roles for nurses ranked as follows : provider of personal care, counselor, manager, potentiator, decision-maker, educator, advocate, and lastly observer. The most commonly expected role was provider of personal care; the least expected role was observer. 2. A significant expectation of workers about nurses' role was found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age, sex, department of work, income. that is male respondonts showed a higher level of expectation for provider of personal care and observer among the eight categories than females, but female respond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expectation for advocate than males. Office workers showed a higher level in regard to provider of personal care, Counselor, and Educator than physical workers. The lower the income and the younger the workers, the higher level of expectation in regard to potentiator, But Manager and Decision-Marker roles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tors affecting expectation of workers toward the nurses' role, only the variable of health knowledg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expectation of nurses' role. That is as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health increased the correlation with Educator and Decision-Marker was positively related, but negatively related to provider of personal ca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level of health knowledge, the greater was the expectation about extended about extended nurses' rol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산업장 근로자들의 간호역할기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dc.title.alternative(A) study about the expectation of workers on the industrial nurses role and it's affecting factor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75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ung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