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1016

Cited 0 times in

기혼간호사의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경옥-
dc.date.accessioned2015-11-22T06:47:23Z-
dc.date.available2015-11-22T06:47:2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409-
dc.description간호학교육/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와 취업률은 증가하고 있으며, 기혼간호사의 취업률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현대사회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전문 직업의식을 지닌 숙련된 전문직 간호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아직도 일부 종합병원에서는 과거 전통적으로 답습되어 온 여서의 가정내 역할만을 중요시하여 면허간호사의 경우 결혼과 동시에 퇴직을 권고하는 정책을 택하여 여성의 사회진출 및 전문직 간호사를 필요로 하는 현대사회의 특징에 역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혼간호사를 대상으로 여성 한 개인으로서 직장 및 가정 내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Hall의 모델에 근거하여 고용인(간호사)으로서의 역학, 어머니로서의 역학, 아내로서의 역할, 주부로서의 역할로 나누어서 역할갈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문직의 직업만족도에 관련되는지를 밝혀 직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전문직 간호사를 필요로 하는 현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Y 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전체 기혼간호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임의표집 방법에 의해 선정하였다. 표본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은 103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모든 질문에 부실하게 응답한 10명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으므로 최종 분석 연구대상은 93명이었다. 자료는 1988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 사이에 질문지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문헌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가 작성한 역할갈등 측정 도구와 Paula등이 개발한 직업만족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한 후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역할갈등 정도와 직업만족도는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추가분석으로 t-검정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혼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는 평균 2.955점이며, 영역별로는 어머니 역할갈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주부 역할갈등, 아내 역할갈등, 직업에서의 역할갈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2. 기혼간호사의 직업만족도는 평균 3.007점이며, 영역별로는 전문직으로서의 지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상호작용, 자율성, 간호사-의사와의 관계, 보수, 행정, 업무요구의 순위로 나타났다. 3. 역할갈등 정도와 직업만족도는 r=-.3211, p<.001)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4. 역할 영역별 갈등 정도와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직업에서의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 r=-.4532, p<.001의 가장 높은 점수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다음이 어머니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 r=-.2005, p<.05의 순위로 나타났으며, 주부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5. 역할 영역별 갈등의 상·하위 그룹간의 직업만족도 평균점수의 유의도 검정결과 직업에서의 역할갈등이 상위그룹에 속하는 대상자의 직업만족도 평균점수와 하위그룹에 속하는 대상자의 직업만족도 평균점수 간에 t=.568, p<.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 역할갈등이 상위그룹에 속하는 대상자의 직업만족도 평균점수와 하위그룹에 속하는 대상자의 직업만족도 평균점수간에 t=.788, p<.05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직업에서의 역할갈등 상위그룹이 직업에서의 역할갈등 하위그룹 보다 직업만족도가 낮았고 어머니 역할갈등 상위그룹이 어머니 역할갈등 하위그룹 보다 직업만족도가 낮음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기혼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 두 변수간에는 서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혼간호사의 역할 영역별 갈등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업에서의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의 상관관계 r=-.4532, p<.0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업에서의 역할갈등이 높아질수록 직업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업만족도의 영역별 평균점수를 산출한 결과에서는 업무요구 영역에서 직업만족가 가장 낮게 나타나 기혼간호사들이 업무량 과다로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혼간호사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량의 재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역할 영역별 갈등 중에서 어머니 역할갈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어머니 역할갈등을 낮출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기혼간호사의 직업에서의 역할갈등과 어머니 역할갈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The Greatly improved situation of today allows married women much more social participation in modern society. Also,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married nurses in the hospital.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nurses both at work and at home. To identify the roles of the married nurse Hall's theory was used. It suggests that the married nurse has four roles; nurse, mother, wife, housewif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the sampling method used was a non-probablity,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93 volunteers who were married nurse working at Y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27 to October 6, 1988.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instruments, a role conflict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 job satisfaction scale for nurse developed by paula L.Stamps. Data was prepared for computer analysis using the SPP program. Analysis was done using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role conflict in married nurse was 2.955. Within the four roles, the highest score for role conflict was in the mother role. This was followed by role conflict in the housewife role, the wife role, and the work role. 2. The mean score for job satisfaction in married nurses was 3.007. The highest score for job satistfaction wsa for professional status component.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r= .3211, P< .001). 4.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ork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r=-.4532, p<.001). 5. A comparison of the job satisfaction scores for the group with a high score for work role conflict and the group with a l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 .568,p< .001), indicating that for married nurses when role conflict is high job satisfaction is low. A similar result was found when the job satisfaction score for the group with a high score for mother role conflict was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a low score.(t= .788,p< .001). 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administrative support to lower the work role conflict of married nurses. Further study, using factor analysis, is needed to identify factors which are important in work role conflict and mother role conflic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기혼간호사의 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갈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dc.title.alternative(A) descriptive study of the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t work and at home married nurse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57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Kyung 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