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89

Cited 0 times in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의 피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인정-
dc.date.accessioned2015-11-22T06:46:32Z-
dc.date.available2015-11-22T06:46:3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77-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암환자에게 있어서 피로는 질병 자체와 치료 과정에 따라 겪게되는 다양한 증상들과 동시에 경험하게 되며 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사회적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차원적 특성을 갖는 개념이다. 또한 화학 요법 동안 경험하는 피로는 80-96%로 높은 발생율을 보이며, 이는 결국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간호문제로 피로 현상에 대한 이해와 피로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 개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동안 암환자가 경험하게 되는 피로 정도와 관련 요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의 피로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1999년 10월 18일부터 30일 사이에 서울 지역 대학 부속 병원 외래에서 화학 요법을 받는 만 18세 이상의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피로 측정을 위해 B. Piper가 개발, 개정(1998)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을 이은현(1998)이 번역 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피로 관련 요인으로 신체적 증상 경험, 기분 상태, 영양 상태, 가족지지, 수면 양상, 영적 안녕 상태를 측정하고, 의무 기록과 일반 혈액 검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고, 서술 통계 및 독립 표본 검정, 일원 분산 분석, 상관 분석과 다중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피로 점수는 4.97(SD=1.87)으로 중등도의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50.5%가 5점 이상의 피로를 호소하였다. 2. 대상자의 피로는 신체적 증상 경험과 중등도의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r=.552, p=.000), 신체적 증상을 측정하는 오심(r=.357, p=.000), 구토(r=.325, p=.001), 식욕 저하(r=.430, p=.000), 불면(r=.227, p=.005), 동통(r=.252, p=.010), 배변 양상의 변화(r=.251, p=.011), 외모 변화(r=.462, p=.000), 기동성 장애(r=.589, p=.000)의 8개 항목 모두 피로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3. 대상자의 vl로는 수면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6.741, p=.002), 수면 후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응답한 군이 보통(Mean Difference=-.9960, p=.026) 또는 불만족(Mean Difference=-1.8160, p=.004)으로 응답한 군 두 군 모두에 비해 피로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피로는 기분 상태와 중등도의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r=.477, p=.000), 기분 상태를 측정한 불안(r=.519, p=.000), 혼돈(r=.403, p=.000), 우울(r=.430, p=.000), 분노(r=.344, p=.000)의 4개 항목에서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피로는 영적 안녕 상태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도구의 평균 점수 80점을 기준으로 80점 미만인 군과 이상인 군으로 나누었을 때 두 군간의 피로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t=2.138, p=.035) 영적 안녕 점수가 높은 군에서 피로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피로는 가족 지지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남자의 경우 피로는 가족 지지와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357, p=.008). 7. 대상자의 피로는 진단명, 재발 여부, 전이 여부, 투여 약물 수나 투여 간격, 과거 치료 경험, 기타 약물 투여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백혈구수, 진단과 치료 경과 기간, 체중 변화에 따른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8. 단계적 다중 희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신체적 증상, 기분 상태, 수면 만족도의 세가지 요인이 피로를 42.9%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화학 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피로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계획함에 있어서 그들이 경험하는 증상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고, 정서심리적 안녕 상태를 유지 증진하여 피로에 대한 대처를 돕는 간호 중재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연구 대상자를 확대하여 피로 및 피로 관련요인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피로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문] The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experience fatigue concurrently with other various physical symptoms related to disease itself and treatment processes. Fatigue is characterized as multidimensional concept influenced by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Fatigue during chemotherapy has high prevalence as 80-96%,and it becomes one of the most critical nursing problems which negatively affects quality of life of pts with canc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degree of fatigu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ancer during the chemo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3 patients over 18 years old who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t ambulatory care unit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in Seoul from October 18 to 30, 1999. As a measuring tool for fatigu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developed by B. Piper(1998)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Eun Hyun Lee(1998) was adapted. For related factors to fatigue, physical symptom distress, mood state, nutritional state, family support, sleep patterns, and spiritual well-being nutritional state, family support, sleep patterns, and spiritual well-being state were collected, and medical report and laboratory data were also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PC to obtain summary statistics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degree of fatigue was 4.97 points indicating moderate level, and 50.5% of subjects reported over 5 points for fatigue. 2. Fatigue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ysical distress score(r=.552, p=.000). Also, all 8 items of subscale, which are those were nausea(r=.357, p=.000), vomiting(r=,325, p=.001), anorexia(r=.430, p=.000), sleep disturbance(r=.227, p=.005), pain(r=.252, p=.010), bowel habit change(r=.251, p=.011), appearance change(r=.462, p=.000), and immobility (r=.589, p=.00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3. Fatigue of the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leep satisfaction(F=6.741, p=.002), the group reported sleep satisfaction experienced lower level of fatigue than another groups reported moderate(Mean difference=-.9960, p=.026) or sleep dissatisfaction(Mean Difference=-1.8160, p=.001). 4. Fatigue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od state(r=.477, p=.000), and 4 items of subscale those were anxiety(r=.519, p=.000), confusion(r=.403, p=.000), depression(r=,430, p=.000), and anger(r=.344, p=.00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5. Although fatigue of the subjec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spiritual well-being state, compared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nstrument mean score, subjects who reported over 80 points experienced lower level of fatigue. 6. Although fatigue of the subjec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family support, when it was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fatigue experienced by male subje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mily support. 7. Fatigue of the subjec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agnosis, recurrence, metastasis, numbers of drugs, treatment cycle, past treatment, or other medications, nor correlations with hemoglobin, hematocrit, white blood cell counts, diagnosis and treatment period, and weight change. 8. With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physical symptoms, mood state, and sleep satisfaction were the three variables which could explain fatigue by 42.9%.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manage fatigue experienced during the chemotherapy. Further repeated researches are needed to identify fatigue related factors an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relief of fatigu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환자의 피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fatigu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28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In Je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