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584

Cited 0 times in

임신성 고혈압 환자의 제대동맥에서 혈관운동 기능의 변화

Other Titles
 Vasomotor activities on the umbilical arteries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uthors
 최형민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기간의 중, 후반기에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모체에 고혈압, 신부전 및 혈액응고과정의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일 뿐 아니라 태아에게도 주산기 사망 및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등의 위험성을 초래하여 불량한 주산기 예후를 나타내는 비교적 높은 빈도의 질환이다. 이같은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치 않으나 태반의 이상이 주요 유발인자의 하나로 거론되고있다. 즉 임신성 고혈압 산모 태반의 경우 태반 혈관의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있음이 병리조직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이같은 내피세포의 손상이 산모의 고혈압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추정되나 이에 대한 직접적인 실험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분만한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제대동맥과 같은 기간 동안 얻은 정상 산모의 제대동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혈관 활성물질(vasoactive substances)의 효과를 장력 실험 및 bioassay 실험을 통하여 비교, 관찰함으로써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관찰되는 혈관긴장도 증가 현상이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저하로 유발되는 지, 혹은 혈관 평활근세포의 기능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내피 의존성 이완제에 의한 제대동맥의 이완 효과는 정상 산모에 비하여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2. 내피 비의존성 이완제에 의한 제대동맥의 이완 효과 역시 정상 산모에 비하여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3.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경우 혈관 내피세포에서 EDRF의 유리가 억제됨을 bioassay 실험을 통하여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다.

4. 8-bromo-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에 의한 제대동맥의 이완 효과는 정상 산모에 비하여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경우 혈관 내피세포로부터 혈관 이완물질인 EDRF의 유리가 감소되어 있을 뿐 아니라 유리된 EDRF에 대한 혈관 평활근세포의 반응성 역시 현저히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8-bromo-cGMP에 의한 혈관의

이완이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중증 임 신성 고혈압 산모의 경우 cGMP가 G kinase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에 이상이 있어 정상 산모에 비하여 혈관의 긴장도가 높게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has been town as a hypertensive disorder of the 2nd and 3rd trimester of pregnancy, and it also accounts for a major proportion of maternal mortality. Intrauterine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perinatal mortality

due to poor fetoplacental circulation are also known as major complications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Several clinical and biochem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disturbance of normal endothelial function may be a primary cause in the pathogenesis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specific direct report about endothelial dysfunction in the umbilical artery of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atients, and it is still uncertain whether or not the function of the smooth muscle cell of the umbilical artery is affected. In the present study, we directly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endothelial cell(EC) and smooth muscle cell in umbilical arteries acquired from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atients using a conventional tension measurement and bioassay experiment.

Relaxation responses to EC-dependent relaxing agents including bradykinin and A23187 in human umbilical artery ring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p<0.01). Relaxation responses to EC-independent agents(SNP and SNAP) were also inhibited in umbilical artery rings acquired from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0.01). To test the change of endothelial cell function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without involvement of smooth muscle dysfunction, we used human umbilical artery and rabbit femoral artery as a donor

and detector, respectively, in bioassay experiment. Relaxation responses to EC-dependent agents(A23187 and bradykinin) showed similar results to conventional tension measurement(p<0.01). Relaxation responses to 8-bromo-cGMP inhuman umbilical artery rings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p<0.01).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ncreased vascular resistance in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is not only due to the disturbance of endothelial function, but also to smooth muscle dysfunc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94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