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254

Cited 0 times in

소음성 난청 선별검사용 문진표의 유용성

Other Titles
 (The) effectiveness of questionnaire utilized for screening noise induced hearing loss 
Authors
 최병수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특수건강진단 문진표는 근로자들의 유해인자에 의한 건강평가시 효과적인 진찰과 진단의보조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강진단에서 근로자가 작성해야 할 설문지의 항목이 너무 많아 건강진단시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 특수건강진단 문진표의 사용 현황 및 유용성을 알기 위하여 특수건강진단 기관의 의사에게 문진표 사용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용실태를 조사하였고, 소음성 난청이 발생한 사업장에 대하여 근로자의 검진기록과 문진표를 수집하여 문진표와 청력이상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한 설문지에서 건강진단시 문진표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28명으로 전체의 87.5 %이었고,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 경우가 3명으로 전체의 9.4 %이었으며, 응답하지 않은 경우가 1명이었다.

2. 문진표에서 작은 소리가 안 들린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근로자에 비해서 청력 이상자로 판정받을 가능성이 4.04 배 높았으며 (95 % 신뢰구간 : 2.09-8.03), 귀에서 소리가 난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그렇지 않은 근로자에 비해서 청력 이상자로

판정받을 확률이 2.78 배 높았다 (95 % 신뢰구간 : 1.32-6.02). 그 외의 다른 급성 증상에 대한 문진 항목은 청력이상 여부와 관계가 없었다.

3. 각각의 문진항목을 종속변수로 하고 청력 이상 여부, 연령, 작업장 소음, 근무경력을모델에 포함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작은 소리가 잘 안들린다는 문항만 청력이상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다른 문항들은 청력이상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집단변수를 청력이상 여부로 하고, 판별변수로 7개의 설문 항목과 연령 및 근무경력을 포함한 판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민감도는 59 %, 특이도는 88 %이었으며, 평균 23 %정도가 잘못 분류되었다.

5. 문진표에 응답한 항목의 갯수를 포함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음성 난청이 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그 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또한 문진표에 응답한 개수에 따라서 소음성난청이나 청력검사자를 판정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각각의 개수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항목이 2 개 이상일 때, 특이도가 49.0 %, 민감도가 33.5 %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만성적이고 특이적인 항목을 위주로 한 단순하고도 판별력있는 문진항목이 유용하며, 이러한 항목들을 전산화하였을 때, 효과적인 소음성 난청의 선별검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questionnaire for occupational disease screening tests have been used for effective physical examination and supportive diagnostic too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igate utilization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the questionnaire. Physicians who engaged in occupational health institues and performed worker's special health examination were selected as samples of utilization study. Workers' health examination records, work environment record,

and questionnaires of selected industries as samples were analyse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questionnaire for occupational dise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of 28 physicians among 32 samples(87.5%) use the questionnaire for noise induced hearing loss(NIHL) for evaluation of workers' heart status.

2. Cases of hearing impairment as dependent variables, and age, work duration and level of environmental noise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for multiple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of 4.04 in hearing difficulty,

2.78 in tinnitus and 1.08 in age were obtained. However, second analysis of which Noise induced hearing loss i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OR in hearing difficulty was 3.67 (95 % C.I. : 1.61-8.61), and age was 1.09(95 % C.I. : 1.05-1.14).

Conditionn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hearing impairm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OR of age was 1.02(95 % C.I. : 1.00-1.04) and othe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NIHL as dependent, the OR of hearing

difficulty was 4.57(95 % C.I. : 1.43-14.67).

3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dopting each items of questionnaire as dependent variable, the only item of hearing difficul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earing ability.

4. The discrimin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ㅑth the class variable of hearing impairment, and discrimination variables of age, work duration, and environment noise level. The sensitivity of 59 %, and specificity of 88 %, and average error count of

23 % were obtained.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