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648

Cited 0 times in

6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호흡성분진(PM10)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 연구 (1995-1997)

Other Titles
 Ambient air pollution on daily mortality in 6 cities, Korea, 1995-1997 : by meta-analysis method : 메타분석방법을 이용 
Authors
 현연주 
Issue Date
1999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산업화 및 공업화로 화석연료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라 대기오염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준치 이내의대기오염과 인체건강영향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개 대도시(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광주시, 대전시, 인천시)를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TSP, PM10, SO2, O3)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95년부터 1997년까지의 사망자료와 대기오염자료를 이용하였다. 사망원인별로 구분하여 외인사를 제외한 총사망,호흡기계질환 사망, 심혈관계질환 사망, 65세 이상의 노인사망, 10세 미만의 어린이 사망간의 영향을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s)로 모수를 추정하였고, 각 도시별 결

과는 메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가중평균값으로 도출하였다.

메타분석방법의 결과를 보면 TSP의 경우는 외인사를 제외한 총사망과 심혈관계질환 사망, 65세 이상의 노인 사망에서 TSP가 100㎍/㎥ 증가할 때 사망자 수가 약 2∼3%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호흡기계질환 사망은 9%, 10세 미만의 어린이는 약 15%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M10가 10㎍/㎥ 증가할 때 호흡기계질환 사망에서 사망자수는 약 1% 정도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다른 분류에서는 0.1% 이상의 증가를보였다. SO2와 O3는 TSP를 고려한 모델이 PM10을 고려한 모델보다 상대위해도 값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TSP를 고려한 SO2는 약 10∼25%의 사망자수 증가를 나타내었고 PM10을 고려한 SO2에서는 7∼16%의 증가를 보였으며 O3는 사망원인별 분류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보면 우리 나라의 경우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다른 오염물질 중 SO2와 O3에 의한 사망자수 증가가 큰 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진의 경우 TSP는 100㎍/㎥ 증가할 때 외인사를 제외한 총사망에서 약 4% 정도 국외자료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하지만PM10의 경우는 사망원인별 분석시 10㎍/㎥ 증가할 때 0.1에서 1%의 사망자수 증가를 보여국외자료와 일관성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분진에 의한 조기사망률 증가는 TSP보다PM10이 더 잘 설명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PM10에 의한 건강영향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향후 PM10 뿐만 아니라 PM2.5의 연구도 병행하여 진행되어야 하겠다.

[영문]

There is extensive epidemiologic evidence that increased levels of the inhalable particulate fraction of air pollution(PM10)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daily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daily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with aerodynamic diameters less than 10㎛ (PM10), sulphur dioxide(SO2), ozone(O3) and the daily number of death from all-cause, respiratory cause, cardiovascular cause, daily mortality of elderly persons(age≥65 yr), and children(age<10 yr) in the six cities (Seoul, Pusan, Taegu, Kwanggju, Daejeon, Inchun)of Korea, 1995-1997.

Daily death counts were analyzed separately in the six cities, using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adjustment for effect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The city specific estimates fo effect for each model were combined to weighted mean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by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analysis, increase if 100㎍/㎥ in TSP level was associated with 2~3% increase in all-cause,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mortality of elderly person, and with 9%, 15% increase in respiratory mortality and mortality

of children.

In thr PM10 levels, the respiratory mortality at a 10㎍/㎥ increment was 1.011(95% confidence interval 1.010-1.011) and another mortalilties were estimated to increase over 0.1%.

Relative risks of SO2,O3 considered TSP was higher than relative risks considered PM10. Mortalities associated with a 50ppb increment in SO2 considered TSP were 10~25% increase and in SO2 considered PM10, mortalities were 7~16% increase and ozone results were inconsistant.

From this results, the effects of SO2 and o3 in Korea were greater than US or Europe studies. In particulates, the effect of TSP was lower than the results in another countries but increase in mortalities of 0.1~1% with increase of 10㎍/㎥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another countries and showed consistency.

Therefore PM10 was a better indicator of particullate pollution than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Further research should continue to study using data of PM10, as well as TSP andshould analyze the composition and effects of the various types of particles, especially PM2.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