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17

Cited 0 times in

수막암종증에서 임상양상,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 신경영상 및 뇌척수액 생화학 표식인자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ion of clinical feature, CSF cytology, neuroimaging, and CSF biochemical marker in leptomeningeal m 
Authors
 이필휴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수막암종증이란 전신 원발암에 의해 뇌수막에 암세포 전이가 발생하여 복합적인 신경학적 임상 양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최근 원발암의 높은 진단율과 치료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수막암종증의 발생율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막암종증의 적절한 치료는 임상증세를 호전시키고 신경학적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며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수막암종증의 진단을 위하여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를 포함하여, 신경영상 및 뇌척수액 생화학 표식인자들이 상호 병용되고 있다

연구자는 수막암종증의 진단에 있어 각 검사법간의 상호비교와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수막암종증의 효과적인 진단 방법을 제시하고자, 1990년 1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세브란스 병원에서 수막암종증으로 진단된 62예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수막암종증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환자는 총 62예로 이들 원발암의 종류는 폐암이 21예, 임파종 15예, 위암 13예, 유방암 9예, 횡문근육종 2예, 방광암 1예, 대장암이 1애였다. 병리소견상 adenocarcinoma가 26예로 가장 많았으며, infiltrative ductal cell 8예, diffuse large cell 5예, squamous cell 3예, epidermoid cell, diffuse large B cell, peripheral T cell, rhabdomyosarcoma가 각각 2예, non-small cell, bronchoalveolar cell, signet ring cell이 각각 1예였으며 병리적 소견이 불충분한 경우가 3예였다.

임상양상은 대뇌 증상이 80.6%, 뇌 신경 증상이 37.1%, 척수신경 중상이 22.6%로 관찰되었다. 신경영상 소견은 연수막 조영증강이 18예, 수두증이 8예, 뇌 신경 조영증강, 척수근 조영증강, 지주막하 조영증강 결절이 각각 2예, 그리고 경막 증강이 1예에서 관찰되었다. 원발암의 진단으로부터 수막암종증의 진단까지의 시간 간격은 유방암이 평균 38.2개월(중앙값: 46개월)로 다른 주요 원발암보다 의미있게 길었다(p<0.001). 유방암을 제외한 다른 원발암들의 진단기간은 평균 5-9개월(중앙값: 4-8개월)로 폐암, 임파종, 위암 순

이였으며 이들의 시간 간격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막암종증의 진단에 있어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 신경영상 검사, 및 생화학 표식인자의 양성율은 각각 54.5%, 55.9%, 62.5%로서 서로 유사하였지만, 두 가지 검사를 병용하였을 경우 수막암종증 진단의 양성율은 86.4-88.5%로 증가하였으며, 이중에서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와 신경영상 검사를 병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았다. 신경영상 검사와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간에서만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관찰되었으며(p=0.01), 이들 검사와 뇌척수액 생화학 표식인자간에는 보완적인 관계가 없었다.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상 양성인 군은 음성인 군에 비하여 뇌척수액상 백혈구의수가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26), 임상 양상으로는 단일의 대뇌증상 혹은 뇌 신경 중상보다는 두 가지 중상을 동시에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외에 신경영상 및 생화학 표식인자와 뇌척수액 소견 및 임상양상간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상 양성율은 임파종이 다른 주요 원발암에 비하여 높게 관찰되었으며(p<0.05), 뇌척수액 생화학 표식인자의 양성율은 폐암과 위암에서 높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각 검사법을 단독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두 가지 검사를 병용하는 것이 수막암종중 진단의 양성율을 증가시키며,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와 신경영상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반드시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임상양상상 대뇌증상과 뇌 신경 증상을 동시에 보이거나 뇌척수액 검사상 백혈구의 수가 증가되어 있으면 뇌척수액 세포진 검사상 암세포의 검출율은 증가한다.

[영문]

Leptomeningeal metastasis(LM), disseminated tumor cells to the leptomeninges by systemic cancer and producing pleomorphic neurological sign, is recently increasing due to increased diagnostic yield and advanced therapy of systemic cancers. It is

important to make the accurate diagnosis of LM because the institution of appropriate therapy may produce symptomatic improvement, prevent neurological deterioration, and prolong survival. CSF cytology, neuroimaging and CSF biochemical

marker are concomitantly used for the diagnosis of LM. To evaluate the appropriate diagnostic methods of LM, 1 analysed 62 patients of LM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1990to May, 1998 with comparison of each diagnostic method and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diagnostic result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Sixty-two patients were recruited for inclusion criteria of LM and the primary cancer responsible for LM were followings: 21 lung cancer, 15 lymphoma, 13 stomach cancer, 9 breast cancer, 2 rhabdomyosarcoma, 1 bladder, and 1 colon cancer.

Adenocarcinoma was the most prevalent (21 patients) on pathologic classification. Clinically, cerebral symptom was observed in 80.6% (50/62 patients), cranial nerve symptom in 37.1% (23/62 patients), and spinal symptom in 22.6 (1752patients).

Neuroimaging revealed leptomeningeal enhancement (18 patients),hydrocephalus (8 patients), cranial nerve enhancement (2 patients), spinal root enhancement (2 patients), enhance nodule in subarachnoid space (2 patients), and dural enhancement

(1 patient). Among the primary cancers, the interval from diagnosis of primary cancer to diagnosis of LM was most prolonged in breast cancer with a mean of 38.2 month (median: 46.0 month, p<0.001)). Lung cancer showed most short interval, followed by lymphoma, stomach cancer, but their interval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mean interval: 5-9months).

The positive yield in the diagnosis of LM was 54.5% in CSF cytology, 55.9%in neuroimaging, 62.5% in CSF tumor marker. As each diagnostic method was combined, the positive yield was increased to 86.4-88.5% with the highest in combination of

CSF cytology with neuroimaging, The relation between CSF cytology and neuroimaging showed complementary in the diagnosis of LM(p=0.01), but these methods and CSF biochemical mark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ositive group of CSF cytology, the count of CSF WBC was higher than in negative group (p=0.026) and clinical feature revealed a tendency of mixed cerebral and cranial symptoms than only cerebral or cranial symptom. The correlation of neuroimaging or CSF tumor marker with CSF findings was not significant.

Positive yield of CSF cytology was higher in lymphoma than other primary cancer and that of CSF biochemical marker was higher in lung and stomach cancer.

In conclusion, combination of each diagnostic method increases the diagnostic yield, and CSF cytology and neuroimaging must be performed with each other. The positivity of CSF cytology is higher in increased CSF WBC count and in mixed cerebral and cranial symptom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93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Phil Hyu(이필휴)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9931-8462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