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41

Cited 0 times in

실험적 췌담관 합류이상에 의한 담관낭 형성 기전

Other Titles
 (The) mechanism of choledochal cyst formation in experimental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uthors
 장항석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담관낭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서 극동국가에 호발하며 원인은 췌담관 합류이상과 이를 통한 췌장액의 담관내 역류라고 생각하고 있다. 췌담관 합류이상은 담관낭 형성 뿐만 아니라 성인에서 담낭암, 췌장암, 담도암 등의 악성 종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췌담관 합류이상 모델을 통해 담관낭을 형성하기 위한 많은 동물실험이 시도되어 왔으나 인간에서 관찰되는 형태와는 다른 췌담관 합류이상을 수립한 경우가 많고, 담관낭을 성공적으로 형성한 보고는 드물다. 저자는 인체에서 발견되는 췌담관 합류이상과 유사한 실험동물 모델을 개발하여 담관낭이 형성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때 담관낭 형성의 기전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동물은 생후 약1개월 전후의 잡종견 12마리를 사용하였다. 그중 두 마리를 대조군으로 삼아 총수담관과 췌관 박리만 시행한 후 복벽을 봉합하였고 수술 후 제 5주와 6주째 각각 한 마리씩 개복하여 검체를 채취하였다.

실험군에서는 정상적으로는 복부체관과 합류되는 총 수담관을 분리하여 배부 췌판과 단측문합하는 조작을 통해 췌담관 합류이상을 만들었으며 수술 후 제 5주, 6주, 7주, 8주와 6개월째에 각각 2마리씩 개복하여 검체를 채취하였다. 췌담관 합류이상 형성 후 제 10일

째와 검체채취일에 혈청 amylase를 포함한 생화학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체채취일에 얻은 담즙을 분석하였다. 검체채취일에 육안적 조사와 담관조영술로 담관계 및 췌관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담도계, 간 및 췌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군의 모든 실험동물에서 담관확장이 유발되었으며, 담도조영 소견상 담도계의 협착이나 폐쇄는 관찰되지 않았고 총수담관내 담즙의 amylase 농도가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담관의 점막층과 담관벽은 담관낭에서 관찰되는 병리학적 변화와 동일한 소견을 보였다. 본 실험군에서 유발된 담관낭은 첫째, 원주형으로 화장된 형태, 둘째, 총수담관 확장은 분명하지 않고 좌우

담관과 간내담관의 확장이 두드러진 형태 등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췌담관 합류이상과 유사한 실험적 췌담관 합류이상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전 예에서 담관낭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담도폐쇄가 없이 담판의

확장이 유발되고, 이때 담즙 amylase 농도가 높으며, 유발된 담관낭의 병리학적 변화가 사람의 담관낭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담잔낭의 주원인은 췌담관 합류이상에 의한 췌장액의 역류가 담관벽에 지속적인 손상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동물모델은 향후 췌담관 합류이상으로 생기는 간과 췌담도계의 질환에 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The etiology of choledochal cyst is still in controversy, although this lesion is generally believed to be congenital in origin. Either obstruction of distal common bile duct (CBD) or structural abnormalities of its wall are thought to be the cause

of cystic dilatation of common bile duct. Babbitt (1969) was the first to suggest that the anomalous arrangement of the pancreatico-biliary duct might be involved in the etiology of congenital choledochal cyst. Since then,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is condition frequently associated with congenital choledochal cyst. There are constant attempts toward establishing etiopath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of hepato-pancreatico- biliary system and pancreatico- biliary junction.

To investigate the etiology and the mechanism of eholedochal cyst formation and evaluate the ill effect of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in hepato-pancreatico-biliary system we developed a new animal model of APBDU which is

similar with that found in human.

Twelve Mongrel dogs aging 1 to 2 month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his study: laparotomized and CBD-dissected control group (n=2); the end-to-side anastomosis of CBD and dorsal pancreatic duct performed experimental group (n= 10)

harvested at 5th, 6th, 7th and 8th week and 6th month. On 10th postoperative day, blood chemistry and serum amylase were measured for all the three groups. On the day of harvest, bile analysis and amylase level in bile were additionally measured,

Operative cholangiogram was also done to measure the dilatation and to confirm the distal drainage of CBD. The intraluminal pressure of common bile duct were measured. The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of biliary system, liver and pancreas were don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s of CBD, whereas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arked dilatation of choledochal duct. According to operative cholangiogram, no evidence of obstruction or stenotic portion of CBD was observed. The markedly elevated level of amylase in CBD fluid was seen only in experimental group.

Interestingly, two distinctive types of choledochal dilatation were observed. One is cylindrical dilatation of CBD as found by many other investigators; the other, prominent dilatation of hepatic ducts associated with less prominent dilatation or

no dilatation of CBD at all.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thickness of bile duct wall caused by proliferation of collagen fibers and dilatation of intramural glands which are unique patterns observed in chemical damage of choledochal mucosa and wau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essive damage of CBD wall caused by the reflexed pancreatic juice via APBDU is the primary mechanism of choledochal cyst formation. This finding can be potentially promising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further investigations about APBDU, choledochal cyst and other associated

hepato-pancreatico-biliary diseas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18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Chang, Hang Seok(장항석)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5162-103X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