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51

Cited 0 times in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가 하악과두의 골 증식성 병소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omographic angles on the osteophytic lesion detectability of the mandibular condyle 
Authors
 한상선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의 목적은 SCANORA**(R)를 이용하여 하악과두의 장축에 정확히 수직이 되도록 촬영한 개별화 측방 단층방사선사진과 다양하게 변화시킨 각도로 촬영된 방사선사진을 비교함으로써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가 하악과두의 골 증식성 병소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실험은 상아질 편으로 크기가 다른 골 증식성 병소를 만들어 하악자두상의 여섯군데에 위치시켰다. 그런 다음 15° 를 기준 각도로 정하고 이 각도에서 각각 -10°, +10°, +20° 의 변화를 준 각도로 촬영된 측방 단층방사선사진을 세 명의 치과

방사선과 전공의가 각각 두 번씩 판독하여 병소가 분명히 있는 경우를 2, 병소가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되는 경우를 1, 병소가 확실히 없는 경우를 0으로 점수를 주어 얻은 data를 Tukey method와 kappa value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각의 단층촬영 각도에서 병소의 크기에 따른 병소의 인지도의 평균값을 조사한 결과, 0.3 mm 병소인 경우 모든 각도에서 병소를 거의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병소의 크기가 커질수록 평균값이 증가하여 2,0 mm 병소에서는 다양하게 변화된 각도에서의 평균값이 기준 각도 15°의 평균값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지면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시 골 증식성 병소의 크기 차이에 따른 병소의 인지도를 비교한 결과, 0.7 mm 병소에서는 기준 각도 15° 와 변화시킨 각도와의 비교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1.0 mm 병소인 경우 ±0° 변화의 비교에서는 유의성 있

는 차이가 없었으나 (p>0.05), +20°변화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0.3 mm, 2.0 mn 병소에서는 변화시킨 모든 각도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시 병소의 부위 차이에 따른 병소의 인지도를 비교한 결과, 하악과두 상의 내측, 중상부, 외측부에서는 기준 각도 15°와 변화시킨 각도를 비교한 모든 경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전내측, 전상부, 전외측에서는 ±0° 변

화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p>0.05), +20°변화의 비교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결론적으로 SCANORA**(R)를 이용한 측두하악관절의 측방 단층찰영시 2mm 이상의 골 증식성 병소에서 하악과두의 수평각도와의 차이가 +20°이내인 경우 이러한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가 병소의 인지도에 띠치는 영향은 매우 적으며 1 mm 병소에서 ±10°이내의 차이가 나는 경우 단층촬영 각도의 변화가 병소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다고 생각되어진다.

[영문]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that different tomographic angles have on the osteophytic lesion detectability of condyle head to compare the individualized lateral tomographic image with the central ray being exactly

perpendicular to long axis of condyle, to the various tomographic angled images using SCANORA**(R). This study is perfomed to simulate osteophytic lesions by a series of dentin chips placed at six locations on condyle head. The control angle is 15° and from this angle, tomographic angle were varied with -10°, +10°, +20°.All the images with each sized dentin chip were scored by three dental radiologists with the use of confidence levels for presence or absence of the lesion, each examiner viewed one of the images twice. A rating scale from 0 to 2 (0, lesion definitely not present: 1, uncertain if lesion is present: 2, lesion definitely present). Responses were assessedby Tukey's multiple comparison method and kappa val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average value of lesion detectabi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osteophytic lesion sizes in various tomographic angle, the lesion size of 0.3 mm could not be defected in all the tomographic angles. As the size of the lesion increased the average value of lesion detectability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average value for the lesion size of 2.0 mm was the highest in every angle, almost being equivalent to the average value of the 15" control angle.

2. When the lesion detectability in different tomographic ang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osteophytic lesion sizes, in the size of 0.7 m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5° control angle and the altered tomographic angles (p<0.05). In 1.0 mm le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10° altered angles (p>0.05),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0° altered angle (p<0.05). In the lesion sizes of 0.3 mm and 2.0 m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5° control angle and all the altered angles (p>0.05).

3. When the lesion detectability in different tomographic ang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osteophytic lesion sites, in the medial, superocentral, lateral area of the condy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5° control angle and all the altered angles(p>0.05). In the anteromedial, anterosuperior,

anterolatera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5° control angle and the ±10°altered angle (p>0.05), but in the comparison with the +20°alters ang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conclusion, when imaging the lateral tomograph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used by SCANORA**(R), it can be considered that in the osteophytic lesion size of 2 mm and above, the tomographic angle difference within +20° to the horizontal angle of the condyle, has little effect on the lesion detectability. And in the lesion size of 1 mm, the altered angle within ±10° also has little effect on the lesion detectabilit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