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92

Cited 0 times in

금연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 분석

Other Titles
 (The) study on a long effective stop-smoking program 
Authors
 김선애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흡연이 수많은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성인병의 대부분이 흡연을 통해 더욱 악화된다는 연구들이 활발해 짐으로써 금연운동이 전 세계적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의 흡연 인구는 점점 증가 추세에 있으며, 흡연률이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음으로 미래 한국 국민의 건강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연 프로그램을 수료한 후의 장기 효과와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후향적 조사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추후관리 프로그램의 방법과 시기를 결정하고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흡연 대상자를 효과적으

로 중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5일 금연학교를 1996년 2월에서 1997년 9월 사이에 수료한 대상자 270명중에서 여성을 제외한 성인 남자 243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전화연락이 가능하고 연구에 동의한 9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4월 3일부터 15일까지 12일간 이였으며, 질문지를 통한 전화면접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로, 금연 성공자와 실패자의 특성의 차이비교는 X2-검정과 t-검정으로, 재흡연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한 분석은 Cox's비례위험 회귀분석으로, 금연기간에 따른 특성 비교는 Life test를 이용한 Log-Rank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일금연학교를 1996년 2월부터 1997년 9월사이에 수료한 총 243명중에서 수집 가능한 96명의 금연 성공률은 29명(30.21%)이였다.

2) 금연 성공자와 실패자의 특성 비교에서는 연령이 성공자가 47.17세, 실패자가 41.10세로 연령이 높을수록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p=.019), 금연을 지속시키기에 가장 힘들었던 시기는 성공자가 19일, 실패자가 4일로서 실패자가 성공자에 비해 훨씬 일찍 힘들어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3).

또한 금연학교가 금연의지에 영향을 미친 차이에서는 금연 실패자보다 성공자에게 더 많은 영향을 많이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p=.033), 추후관리 프로그램의 요구도는 성공자보다는 실패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p=.012).

3) 금연 특성과 재흡연의 특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금연을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강한 의지력 이였으며, 재흡연의 가장 큰 원인은 스트레스 경험과 주위의 유혹 때문 이였고 재흡연 시기는 7일 이였다.

4) 대상자의 특성을 금연기간과 비교한 결과 건강상의 이유로 금연을 시도한 경우(p=.0337)와 금연학교의 교육이 금연을 시도하는데 많은 영향력을 미쳤을 경우(p=.0001), 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p=.0079), 그리고 결혼을 한 경우(p=.0027)가 금연 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5) 금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금연학교 입학동기가 건강 때문인 경우(p=.0043, r=.350)와 금연학교의 영향력이 큰 경우(p=.0001, r=.259)로 나타났으며, 또한 금연실패자일수록 추후관리 프로그램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407, r=.490).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금연의 장기효과는 연구의 대상자를 편의 추출하여 선정하였으므로 일반화 할 수는 없으나 30.21% 정도가 금연에 성공한 것으로 비교적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의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금연 프로그램과 건강에 관심이 가장 많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함은 물론 재흡연의 가장 큰 요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관리법과 금주교육을 함께 실시할 것을 권장하며, 실패자가 금연을 지속하기 힘들었던 시기와 재흡연시기인 일 주일 동안의 집중적인 관리와 완전히 금연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추후관리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영문]

Cigarette-Smoking is known as the cause of numerous diseases. The study especially showed that it has caused mostly a serious disease for adults. The Stop-smoking movement has been spreading to the whole world, nevertheless the number of Cigarette smokers in Korea is greatly increasing. And now Koreans are worried about health conditions because recently the Cigarette-Smoking rate

is unfortunately, No. 1 in the world.

The study was performed on individual who had experienced 6 months to 2 years of education. And this study tried to offer the smokers some basic data for their own benefit in order to decide the way & the time of After-Service Management and to confirm a few factors needed to increase the success of the

Stop-Smoking program.

The people selected for the study came from the total number of 270 who graduated from the 5 Days Stop-Smoking school, between Feb. 1996 and Nov. 1997. Among them only men were chosen for the study. Some questions were given to them through phone interviews for 12 days Apr. 3, to Apr. 15, 1998.

The data analysis is used for the SAS statistics program. The comparison of the related factors on the successful rate of Stop-Smoking and the period of Stop-Smoking was done by the Log-Rank method with the X2-test(chi-square test), t-test and life test. The analysis of those who resumed smoking and those who permanently stopped smoking was done by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total 243 graduates from the 5 Days Stop-Smoking School between Feb.1996 and Nov. 1997, 96 selected individuals were on the study and only 29 of them permanently stop smoking(30.21%) were successful. They could also be classified periodically in three groups: less than 1 year-- 13(44.83%), less

than 2 years -- 20(34.48%), over 2 years -- 6(20.69%).

2. The study shows the age difference: 47.17 overcame while 41.10 failed (p=.033). After the education the overcomers were able to endure at least 19 days while only 4 days was the endurance period for the failures(p=.0003).

3. The main reason for their overcoming smoking habit was that they possessed strong will-power. The main reason for failure was from the stress and friend's temptation. And the re-smoking period lasted 7 days. However most of the failures wanted to try it again.

4. The factors which mostly influenced the smoking cessation were; 1) Adherence to the total health program(p=.0043,r=.350), 2) Attendance at the Stop-Smoking School program by the school(p=.0001, r=.259), 3) Age level(p=.0079), And 4)

Marital status.(p=.0027).

5. The factors that influence an individual to Stop-Smoking are: motivation (p=.0043, r=.350), the Stop-Smoking program itself(p=.0001, r=.259), and also the more they failed to practice Stop-Smoking, the greater their need for the After-

Service Management program(p=.0407, r=.490).

In conclusion, all the study revealed that a long effective period of smoking cessation can't be generalized because the people in this study were chosen with some limitations. But the rate of the successful overcomers is relatively high with 30.21%. The most effective factors to raise Stop-Smoking rate is the will-power which needs various Stop-Smoking programs to help and to improve the poor health condition for the adults. In addition,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stress controlling system and Stop-Drinking education are presented together to enhance the Stop-Smoking rate successfully. Also the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in order to endure the first difficult week is desirable for ultimate success.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