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35

Cited 0 times in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에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on glycemic control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Korea 
Authors
 이정민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우리나라에도 당뇨병 사망율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 관리가 중요한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환자의 평소 에너지 섭취량을 조사하고, 평소 에너지 섭취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7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세브란스병원 당뇨병센터로 입원한 환자 123명(남자 52명, 여자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빈도법을 이용한 평소 에너지 섭취량 조사, 신체계측, 의무기록, 그리고 활동량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 등을 하였

다.

전체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당화혈색소는 10.3%였고, 남자는 10.9%, 여자는 9.8%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들의 당뇨병 관련 특성 중 나이는 당화혈색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유병기간은 당화혈색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체계측과 당화혈색소와의 관련성에서는 신체비만지수(BMI),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WHR), 지방량(Fat Weight), 체지방 비율(Body Fat), 복부지방 비율(Abdominal Fat), 팔둘레(Arm Circumference)는 당화혈색소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나, 근육(Lean Body Mass)과 팔의 근육 둘레(Arm Muscle Circumference)는 당화혈색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전체 대상자들의 평소 에너지 섭취량 조사 결과 당질, 단백질, 지방의 비율은 63%:15%:22%로 나타났다. 평소 에너지 섭취량과 당화혈색소와의 관련성에서는 에너지, 열량/체중,당질, 단백질, 지방 섭취량, 다가불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콜레스테

롤, 단순당의 섭취량, 활동량이 당화혈색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나, 총 에너지에 대한 당질, 단백질, 지방, 단순당의 비율에 관한 변수는 당화혈색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당화혈색소와 관련이 있는 변수와의 회귀분석 결과 주요 식이요인으로는 전체 에너지 섭취량과 당질 섭취량, 신체비만지수(BMI),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비율(WHR)이 통계

적으로 유의한 변수였다.

결론적으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화혈색소와 식사와는 많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전체 에너지 섭취량과 당질의 섭취량이 중요함을 보였다. 당뇨병의 합병증을 예방, 지연하고 대사상태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자의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bA1c and related variables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medical record chart. One-hundred and twenty-three diabetic patients were interviewed at the in-patient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Yonsei Medical Center-Shinchon Severance Hospita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HbA1c of subjects was 10.3%, that of male subjects was and 10.9% and that of female subjects was 10.9%.

2. 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bA1c and diabetic duration had no significance with HbA1c.

3. BMI, WHR, fat weight, body fat, abdominal fat, and arm circumfer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bA1c, while lean body mass and arm muscle circumference had no significance with HbA1c.

4. Energy intake proportion through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appeared as 63:15:22, respectively. Energy intake, energy per kilogram of body weight, carbohydrate, protein, fat,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monounsaturated fatty acids(MUFA), saturated fatty acids(SFA), cholesterol, simple sugar, and TEE (Total Energy Expenditure)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bA1c.

The percentage of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 protein, fat, and simple sugar had no significance with HbA1c.

5.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ith HbA1c were shown to be energy intake, carbohydrate intake, BMI, WHR..

In this study, poor glycemic control was associated with excessive energy intake.

Strict monitoring of diet should lead to improved glycemic control and less mortality and morbidity in this population.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0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