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70

Cited 0 times in

적출한 인체 안구에서 얻은 망막 색소 상피세포의 환경별 및 시간별 체외 생존률

Other Titles
 In vitro viability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from human donor eyeball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uthors
 서경률 
Department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망막 상피세포는 망막의 외측에 한층으로 구성되어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연령 관련성 황반부 변성과 이로부터 발생한 망막 중심 와하 맥락막 신생혈관의 치료 방법으로서 정상 망막 색소 상피세포의 이식이 대두되고 있다. 망막 색소 상피세포 이식이 성공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 당시 세포의 생존률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생존률은 생체로부터 얻어진 후의 기간과 세포의 보존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에서 상기 두가지 인자가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이식이 시행되어야 할 시간의 한계와 그 기간 중에 가장 적합한 보존 환경을 알아 보고자 했다.

1997년 1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안과에서 각막 이식을 위해 기증된 안구 6안에서 각막 이식 직후 얻어진 망막 색소 상피세포를 냉동, 냉장, 실온 보관하면서 세포를 얻어질 당시와 24시간 후, 48시간 후 각각의 세포 생존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생존률은 냉장 보관에서 가장 높았고, 세포판을 얻은 후 24시간까지는 95% 정도의 생존률을 보인 후, 48시간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생체 이식을 위해 얻어진 망막 색소 상피는 냉장 보관 되어야 하며, 24시간 내에 이식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영문]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RPE) from a monolayer on the outer portion of sensory retina and have important physiologic functions that include solute transport, phagocytosis and digestion of membranes shed from photoreceptor outer segments, and drug detoxication. Recently, transplantation of normal RPE has been proposed as a potential therapeutic modality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subretinal neovascularization in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ARMD). The viability of RPE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is important for a good result after transplantation. This viability can be influenced by the perio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torage after harvest.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se two factors on the viability was evaluated under controlling other remaining factors in vitro. And limitation of maximal time and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storage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1997 to February 1998, RPE cell sheets from six donor eyeballs for corneal transplantation in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f Severance Hospital were harvested and stored in -7O℃, 4℃, or room temperature condition, The viability of RPE cells at 0, 24 and 48 hours after havest was assessed and compared statistically.

The viability was highest at 4℃ condition. During storage, the viability was about 95% at 24 hours and decreased abruptly to below 90% at 48 hours. Therefore, RPE cells for transplantation are to be stored at 4℃ condition and transplantation should be performed within 24 hours after harves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11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Seo, Kyoung Yul(서경률)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855-1980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