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38

Cited 0 times in

공군의무요원의 의료 질향상활동에 대한 태도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air force medical staff attitudes toward quality improvement 
Authors
 백숙교 
Issue Date
1998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공군의무요원의 의료 질향상활동에 대한 태도로서 이해수준, 필요성 인식, 참여의지를 파악하고, 의료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인식을 조사하므로서 향후 효과적인 질향상활동 개념정립과 방법론 모색을 위해 실시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현재 공군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군의, 의정, 간호, 의무하사 특기를 가진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고찰 결과 본 대상자에 알맞게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1997년 10월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패키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의료 질향상활동의 이해수준은 최대 12점에 평균 7.9점으로 보통수준이었고, 157명(80.5%)이 질향상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참여의지는 최대 4점에 평균 2.49점으로 '실무적용'이 2.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제 특성별 의료 질향상활동의 이해수준은 QA교육 및 세미나 경험이 있을수록, 직무수행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공식화가 낮을수록 이해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제 특성별 의료 질향상활동의 필요성 인식은 QA교육 및 세미나 경험이 있을수록, 직무인지가 낮을수록 질향상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제 특성별 의료 질향상활동의 참여의지는 간호특기에서 전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장기 복무자일수록, 총 복무기간이 길수록, QA교육 및 세미나 경험이 있을수록, 분권화가 높을수록, 병원장이 서비스 질 개선에 관심이 많을수록 참여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료 질향상활동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의 태도간 상관관계에서 각 태도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필요성 인식과 같은 정서적 영역이 이해수준과 같은 인지적 영역보다 행동적 영역과 긴밀한 상관관계(r=0.35)를 보였다.

6. 의료 질향상활동에 대한 태도의 세부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해수준에 대한 전체모형의 설명력은 15.87%였고 의무하사에 비해 군의, 의정, 간호 특기가, 또한 직무자율성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해수준이 높았다. 필요성 인식은 이해수준과 유의한 부의 관계를 나타났다. (Odds Ratio:0.799)그리고, 참여의지에 대한 전체모형력의 설명력은 33.20%였고 간호특기가 의무하사에 비해 높았고 이해수준이 높을수록, 필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참여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7. 의료서비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중요성 수준과 질향상활동이 필요한 부분으로서 '의료인과 환자간의 신뢰관계'가 각각 54%와 37%를 차지해 공군의무요원은 환자와 치료자간의 사회적, 심리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을 가장중요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은 3순위로 중요하게 인식되었지만 질향상활동 필요정도에서는 2순위로 나타나 현재 의료자원이 부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였다.

8. 제 특성별 인식되는 의료서비스 구성요소별 중요성으로, 계급이 낮고 장기 복무자일수록 의료환경의 쾌적함과 편의성을, 계급이 높고 단기 복무자일수록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우선시하였고, 제 특성별 질향상활동의 필요정도는 계급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효율적인 의료자원 활용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이 중 간호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계급이 낮고, 총 복무기간이 길수록 의료인의 과학적」기술적 질 측면에서 질향상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급속도로 발전해나가는 민간병원에 비해 정체되어 있는 군의료의 질적수준을 향상하고, 군의료소비자의 만족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의료 질향상활동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질에 대한 개념 이해와 필요성 인식이 중요하고, 의료의 문제점 발견과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시되는 방법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참여의지가 낮은 단기 복무자의 경우, 참여의지를 높일수 있는 동기부여 수단으로서의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상부 의무조직차원에서 군의료서비스 향상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 및 질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의무요원들은 의료 질향상활동을 일상적인 활동으로 인식하여 군의료 질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needs and participation of Air Force medical Staff toward Quality Improvement and prioritize elements aspects of medical service and quality that are needed for QI activities.

In addition, this descriptive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of Air Force medical system quality of medical service, and to identify effective methodologies far QI activity

198 Air Force medical staff including 72 physician officers, 35 administration officers, 12 nursing officers, 76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s answered a gustionaire formatted a self reporting style. This 154day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Oct 17 to Oct 31, 1997.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 packag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level of knowledge was 7.9 points out of a possible 12 points, 157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spital needed QI activity, and that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such QI activity, 2.49 points out of o possible 4 point.

2. Subjects who had QI education experience or low job autonomy also had high knowledge level.

3. The more that subjects had QI education experience and lower job understanding, the more they thought they needed QI activity.

4. Nursing officers desired to participate in QI activities more than other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long term(more the 3 years), long period worked, QI education experience, decentralization, leadership.

5. The correlation Among 3 dimension of attitudes toward QI was found to be positive.

6.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ere screen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jects who had low job autonomy, high job satisfaction also had high knowledge level. Physician officers, administration officers and nursing officers were high knowledge level than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s.(R**2 =15.87%)

2) The lower knowledge level, the more they thou호t they needed QI activity(Odds ratio :0.799)

3) Nursing officers desired to participate in QI activities more than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high knowledge level, high needs.(R**2 =33.20%)

7. Subjects perceived the medical staff - patient relationship to be a priority. This indicated that the medical staff perceived humanistic medical service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ervice for which they also thought that QI activity is needed first. Effective utilization was prioritized as third but only placed second in terms of requiring QI activity. This indicated that utilization is not effective right now. Subjects who were lower in rank long term perceived amenity to be a priority. Higher ranking short term(under 3 years) staff perceived effective utilization as a priority, especially among nursing offic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which Air Force medical staff perceive QI activity to be necessary in medical policy to promotethe Air Force medical system and army client satisfaction.

They must identify medical problems seek effective problem-solving methodologies. Furthermore, for subjects who desired lower participation levels, a strategy to improve motivation is needed.

Most of all, top management must have a distinct mission with leadership showing continuos attention to staff. And medical staff must try to participate in QI activity on a daily ba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