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543

Cited 0 times in

비용 조직에서 국소 면역 반응과 염증 세포의 연관성

Other Titles
 Localized immune response in nasal polyp tissue and its relationship with inflammatory cellular infiltrates 
Authors
 김창규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비용 조직은 알레르기성 비염에서 표적 기관의 염증 상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조직내 면역 반응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용 조직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원인 알레르겐인 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에 대한 특이 IgE항체를 검출하고, 동시에 알레르기 염증 세포들의 침윤 상태를 관찰하여 특이 IgE 항체치와 연관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환자는 1996년 아주대학교 병원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환자중에 비용 조직을 적출한 환자 72명으로 하였다. 이들 중 혈청 총 IgE항체치가 160 IU/ml이상인 환자중에 알레르기 피부단자시험상 집먼지진드기에 대해 강양성(팽진 크기가 3 mm 이상) 반응을 보인 아토피 환자를 Ⅰ군(20명)으로, 팽진 크기가 1∼3 mm를 나타내는 약아토피 환자를 Ⅱ군(19명)으로, 피부단자시험상 모든 항원에 음성을 보이며 혈청 총 IgE 항체치가 160IU/ml 이하인 비아토피 환자를 Ⅲ군(33명)으로 분류하였다. 각 환자들의 비용 조직을 분쇄하여 조직 균등질(tissue homogenate)로 만든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연구 재료로 하였으며, 조직내 알부민치는 nephelometry로, 혈청내 알부민치는 Bromocresol green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용 조직내 총 IgE 및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와 집먼지진드기 특이 IgG 항체는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청내 총 IgE 항체는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비반세포, 활성화된 호산구, T 림프구, 중성구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비용 조직내 염증 세포 침윤 양상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염증 세포의 침윤 양상이나 양성 세포수는 아토피군과 비아토피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비용 조직내 총 IgE 항체치/알부민 비는 Ⅲ군에 비해 Ⅰ군과 Ⅱ군에서, Ⅱ군에 비해 Ⅰ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3. 비용 조직내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치는 Ⅲ군에 비해 Ⅰ군과 Ⅱ군에서, Ⅱ군에 비해서 Ⅰ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4. 비용 조직내 총 IgE 항체치/알부민을 혈청내 총 IgE 항체치/알부민으로 나누었을 때 Ⅰ군의 90%, Ⅱ군의 84%, Ⅲ군의 97%에서 1 이상이었다.

5. 조직내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치와 총 IgE 항체치간에 유의있는 상관 관계가 있었다.

6.비용 조직내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치와 활성화된 호산구 및 다른 염증 세포수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7. 비용 조직내 집먼지진드기 특이 IgG 항체치는 세 군 모두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들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용 조직내 총 IgE 항체뿐 아니라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이런 결과는 피부단자시험상 집먼지진드기에 강양성을 나타낸 환자뿐 아니라 약양성을 나타낸 환자와 일부 비아토피성 환자의 조직에서도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IgE

항체는 비용조직 자체에서 국소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비용조직내 염증 세포들의 침윤은 아토피 유무와 무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Nasal polyp has been known to be one of useful target organs for studying allergic inflamm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dealing with specific antibody response in nasal polyp tissues which compare atopic and non-atopic subject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local production of total and specific IgE antibodies and the presence of specific IgG in the nasal polyp tissue. We measured total and house dust mite(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specific IgE and IgG antibodies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the supernatant of nasal polyp homogenate from 72 subjects undergoing nasal polypectomy. The pattern and extent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under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o NE(neutrophil elastase), EG2(eosinophil granule), AAI(mast cell tryptase), and CD3(pan T-lymphocyt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kin reactivity to DP: 20 strong atopic subjects to group Ⅰ(mean wheal diameter>3 mm), 19 weakly atopic subjects to group Ⅱ(mean wheal diameter 1-3mm) and 33 negative skin responders to group Ⅲ.

Eosinophil was predominant cell in the nasal polyp tiss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AA1 +, EG2+, NE+, CD3+ cells between atopic and non-atopic groups(p>0.05, respectively). Group Ⅰ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tal and DP-specific IgE levels in the nasal polyp tissue than group Ⅱ and group Ⅲ subjec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otal and specific IgE level between group Ⅱ and group Ⅲ.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IgE and DP-specific IgE level in the nasal polyp

homogenate [r=0.75 p=0.00]. The ratio of polyp total IgE/albumin was greater than 1.0 in most subjects of three groups(79 - 97%).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pecific IgE level and the number of AA1+, EG2+, CD3+ and NE+ cells. Specific IgG antibody was found in three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P-specific IgG antibody level among thre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cal production of total and specific IgE antibodies were confirmed within the nasal polyp tissue from some weakly atopic and non-atopic subjects as well as strong atopic group.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pecific IgG in nasal polyp inflamm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48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