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84

Cited 0 times in

Tc-99m-DISIDA Scan을 이용하여 체적을 고려한 잔존 간기능의 평가

Other Titles
 Assessment of the hepatic reserve function corrected by hepatic volume using Tc-99m DISIDA Scintigraphy 
Authors
 김경식 
Department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잔존 간 기능은 간 절제후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술전 간기능의 정량적 평가는 필수적이다. 현재 임상에서 간 기능의 정략적 평가를 위해 색소인 indocyanine green(ICG)을 이용한 제거율 검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지만 동위원소인 diisoprophyliminodiacetic acid(DISIDA)를 이용할 경우 검사의 원리는 색소인 ICG를 이용한 경우와 같으나 검사 방법이 보다 간편하고 간과 담도의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잔존 간 기능의 평가에 좋은 검사이다. Tc**99m DISIDA를 정맥 주입한 후 심장과 간에서의 섭취 활성도를 수학적 분석 방법인 역중첩 분석으로 계산하여 실재 간의 섭취 활성도와 그에 따른 곡선을 그릴 수 있으며 그 곡선에서 구한 간의 순간 섭취율인 간추출률(hepatic extraction fraction, HEF)은 간세포의 정략적 기능과 잘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 보고에 의하면 간 영상에서 관심 영역 설정시 큰 혈관과 담관을 피하고 심장과 우측 신장에서 되도록 멀리 떨어져 설정하지만 설정된 관심 영역에 따라 간추출률이 달라지며 특히 종괴를 가진 간에서는 종괴의 위치에 따라 관심 영역 설정시 어려움이 많다. 이것은 2차원적 간주사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간의 입체성을 반영하지 못해 생긴 것으로 생각되며 관심 영역에서의 부피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므로 각 구역에서 관심 영역 설정시 얻어진 관심 영역의 면적을 측정하고 이 부위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Agfa Scan Ⅲ로 스캐닝(scanning)하여 간의 두께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관심 영역의 체적으로 간추출률을 나누어 줌으로써 단위 체적에 대한 간 추출률을 얻어 다른 간 기능의 지표들과 비교하여 본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6년 8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연세 대학교 의과대학 외과에 입원하여 간절제를 예정하였던 간세포성 간암 10예, 간내 담관암 2예, 담낭암 1예, 간육종 1예, 혈관 지방종 1예등 15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 성별 비는 남자가 8예, 여자가 7예였고 연령별 분포는 최저 27세에서 최고 67세로 평균 48.4세였다. 15예중 11예에서 간 절제를 시행하였고 간세포성 간암의 폐전이 1예, 병변이 거의 대부분의 간을 침범한 예 3예등 4예에서는 수술의 적응이 되지 못했다. 병변의 위치는 우엽이 11예, 좌엽이 3예였다.

2. 간추출률은 관심 영역을 우상부, 우하부, 좌외부로 설정한 경우 각각 64.8±27.4%, 47.2±22.3%, 44.0±19.8%로 관심 영역에 따라 서로 통계학적 의미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못했다.

3. 동위 원소를 이용하여 얻은 간 영상에서 관심 영역의 면적과 이에 해당하는 부위의 간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간의 두께를 구하여 체적을 구하였고 각각의 관심 영역에서 구한 간추출률을 이렇게 얻어진 체적으로 나누어 보정하였다. 관심 영역을 우상부, 우

하부, 좌외부로 한 경우 설정된 관심 영역의 면적은 각각 4.9±2.4cm**2, 4.6±2.9cm**2, 5.0±2.4cm**2였고 각 관심영역에서의 두께는 각각 11.9±2.2cm, 9.4±2.3cm, 6.5±0.9cm로 체적으로 보정한 간추출률은 각각 1.66±1.68%/cm**3, 2.07±2.10%/cm**3, 1.70±1.1

7%/cm**3로 우상부와 우하부, 우상부와 좌외부를 관심 영역으로 한 경우 0.825, 0.750의 통계학적 의미있는 상관 관계를 보였다.

4. 체적으로 보정한 간추출률은 관심 영역에 따라 서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여 관심 영역을 우상부로 하여 다른 여러 지표들과 비교하였다.

(1) Child-Pugh점수가 5인 경우 2.43±2.26%/cm**3였고 Child-Pugh점수가 6이상인 경우 1.0O±0.58%/cm**3였다.

(2) AFP의 값이 100ng/m1 미만인 경우 2.86±2.78%/cm**3, AFP의 값이 100ng/ml이상인 경우 1.10±0.72%/cm**3였다.

(3) 간경화가 없는 경우 2.58±2.84%/cm**3, 간경화가 있는 경우 1.17±0.85%/cm**3였다.

(4) 지방간 변성이 없는 경우는 1.26±0.47%/cm**3, 지방간 변성이 있는 경우 2.06±2.46%/cm**3였다.

(5) ICG R^^15 간이 10%미만인 경우 보정된 간추출률온 1.98±2.06%/cm**3였고 ICG R^^15 값이 10%이상인 경우 1.14±0.75%/cm**3였다.

(6) DISIDA 혈중 소실율이 0.1min**-1 미만인 경우는 1.15±0.72%/cm**3였고 DISIDA 혈중 소실율이 0.1min**-1 이상인 경우 2.47±2.51%/cm**3였다.

즉 각 군에 있어서 비모수 검정법인 Mann-Whitney test상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지만 보정된 간추출률은 Child-Pugh점수가 높고, 혈중 AFP치가 높고, 간경변이 있고, ICG R^^15 높고, DISIDA 혈중 소실율이 높은 경우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므로 체적으로 보정한 간추출률은 쉽고 간편하게 구할 수 있어 간 절제전 잔존 간 기능 평가에 있어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나 보다 많은 연구와 증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preoperative liver function is essential because the hepatic reserve fun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gnosis after hepatic resection. Although the clearance of indocyanine green(ICG) is usually used as a preoperative assessment of liver function, Tc**99m DISIDA Scintigraphy can be used as a good test for the evaluation of hepatic reserve function since it can provide morphologic and physiologic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e HEF(hepatic extraction fraction) calculated by deconvolution analysis of the observed liver and heart radioactivity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c**99m DISIDA is known to be well correlated with the quantitative hepatocellular function. For calculating HEF, the liver range of interest is usually chosen on the peripheral right upper lobe. But the value of HEF is not constant on the liver range of interest, especially a liver with tumor mass. It is suspected that HEF is influenced by the liver volume of range of interest.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15 patients being considered for hepatic resection to examine the corrected HEF with volume of range of interest and to compare other parameters such as Child-Pugh score, levels of AFP, pathologic

results of remaining liver, ICG R^^15, DISIDA 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ange of interest, the mean HEF was 64.8% in RUL, 47.2% in RIL, and 44.0% in LO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HEF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interest.

2. By the correction of HEF with volume on the range of interest using CT volumetry, the mean value of corrected HEF was 1.66%/cm**3 in RUL, 1.70%/cm**3 in RIL, and 2.07%/cm**3 in LO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UL and RIL, and between RUL and LOL were 0.825, and 0.750,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e comparison-corrected HEPs with Child-Pugh score, level of AFP, presence of cirrhosis and fatty liver, value of ICG R^^15 and vague of DISIDA K were as follows:

(1) The corrected HEFs were 2.43±2.26%/cm**3 in patients with Child-Pugh points 5 and 1.00±0.58%/cm**3 in patients with Child-Pugh points above 6, respectively.

(2) The corrected HEFs were 2.86±2.78%/cm**3 in patients with a level of AFP less than 100ng/ml and 1.10±0.72%/cm**3 in patients with a level of AFP above 100ng/ml, respectively.

(3) The corrected HEFs were 2.58±2.84%/cm**3 in patients without cirrhosis and 1.17±0.85%/cm**3 in patients with cirrhosis, respectively.

(4) The corrected HEFs were 1.26±0.47%/cm**3 in patients without fatty liver and 2.06±2.46%/cm**3 in patients with fatty liver, respectively.

(5) The corrected HEFs were 1.98±2.06%/cm**3 in patients with ICG R^^15 less than 10% and 1.14±0.75%/cm**3 in patients with ICG R^^15 above 10%, respectively.

(6) The corrected HEFs were 1.15±0.72%/cm**3 in patients with DISIDA K less than 0.1mm**-1 and 2.47±2.51%/cm**3 in patients with DISIDA K above 0.1mm**-1, respectively.

Although the mean of all corrected HEFs were not significant by statistical analysis with Mann-Whitney test, the corrected HEFs in impaired liver function group were low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rected HEPs with volume could be used for a simple and easy test for the evaluation of hepatic reserve prior to hepatic resection, but further studies and more cases would be need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78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Kyung Sik(김경식)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9498-284X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6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