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86

Cited 0 times in

산업위생관리기사의 작업환경측정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for work environmental measurement by industrial hygienist 
Authors
 조덕연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994년도에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측정 실시규정이 개인시료포집 방법 등으로 개정되면서, 그 이후 산업위생 관리기사들의 측정방법에 대한 인식과 실천여부에 관한 조사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79개 작업환경측정 기관에서 산업위생 관리기사로 근무하고 있는 385명 중 378개 측정기관의 22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산업위생 관리기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여건에 따른 현행 작업환경측정 실시규정의 인식과 실천

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행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을 파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부속기관, 종합병원, 비영리법인, 사업장 부속기관 등의 작업환경측정 기관별 산업위생 관리기사의 연령, 교육정도, 자격등급, 경력, 직위 등의 개인적 특성 분포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2. 1일 1개 사업장을 측정하는 산업위생 관리기사는 1인이 측정하는 56명 중 41명(73.2%)이었고, 2인 1조 팀으로 측정하는 165명 중 55명(33.3%)이었으며, 측정기관별로 1일 1개 사업장을 측정하는 산업위생 관리기사의 구성비는 대학기관, 비영리법인, 종합병원 등

의 순으로 높았다.

3. 2인 1조 팀으로 1일 1개 사업장을 측정하는 산업위생 관리기사는 2개 이상의 사업장을 측정하는 팀에 비해 6시간 이상의 시료포집을 실천한다는 응답률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4. 작업환경측정이 환경 개선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하는 산업위생 관리기사는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산업위생 관리기사에 비해 단위작업장소에서 2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시료포집을 실천한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5. 환경개선의식이 낮은 산업위생 관리기사에 비해 의식이 높은 산업위생 관리기사가 결과서에 실포집시간을 기록한다는 응답률이 높았고, 2인 1조로 1일 1개 사업장을 측정하는 팀이 2개 이상의 사업장을 측정하는 팀에 비해 결과서에 실포집시간을 기록한다는 응

답률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모두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환경개선의식이 높은 산업위생 관리기사는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의지가 높았다. 앞으로의 작업환경측정은 작업환경개선의 전 단계로서 산업위생 관리기사의 권한과 의무를 확대하고, 과학적이며 효율성있는 작업환경측정이 되도록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As rules on work environmental measurement were changed into personal air sampling, as a matter of fact, industrial hygienists have had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se operation rule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btained through questionaire, to investigate 221 persons in 38 measurement agencies among 385 persons to serve as industrial hygienist, surveying factors to effect on operation state of rules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s and work conditions, and whether or not.

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individual character distribution such as age, education level, quality rank, career, and position of industrial hygienist by measurement agencies, such as university institutions, generalhospitals, nonprofit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attached to workplace.

2. Industrial hygienists to measure one workplace in a day were 41 persons among 56(73.2%) to measure by oneself, and 55 among 165(33.3%) in the case of measurement by team with 2 persons. In turn of university institution, nonprofit corporation, and general hospital, the percentage to measure one workplace in a day was high.

3. The teams with 2 persons to measure one workplace in a day had high possibility to get the air sample in 6 hours or more than other teams to measure two workplace or more, and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4. Industrial hygienists to think work environmental measurement helpful on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were highly possible to get the air sample with two worker or more in unit workplace than other industrial hygienists to think adverse.

5. Peoples who made more account on environment were highly possible to make out actual air sampling time in written results to record. Teams with 2 persons to measure workplace were highly possible to make out actual air sampling time than other teams to measure two workplace or more. Bo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o lead to extend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industrial hygienist on account of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not to consider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 formal affair. And indistrial hygienists need to be able to explain appropriately the ground on

portions to be measured in investigators own judgement.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8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