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95

Cited 0 times in

간세포 암종에서 microsatellite 표지자를 이용한 종양억제 유전자의 변이 검색

Other Titles
 Search for tumor suppressor genes on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microsatellite markers 
Authors
 박철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간암발생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변화를 찾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로 채취한 22예의 간세포암종 (hepatocellular carcinoma, HCC)조직을 대상으로 각 염색체에 존재하는 다형성이 높은 microsatellite 표지자 68개를 사용하여 HCC에 특이한 대립유전자 소실부위를 검색하였다. 동시에 29예의 HCC조직을 대상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10개의 종양억제유전자 (VHL, APC, EXTI, WTI, Rbl, p53, BRCAI, nm23, DPC4, DCC) 들에 대한 대립유전자 소실을 조사하였다. HCC조직에서 50% 이상의 대립유전자 소실을 나타낸 염색체는 1q, 4q, 8p, 8q 및 16p였으며, 이 부위를 대상으로 61개의 microsatellite 표지자를 사용하여 41예의 HCC에서 대립유전자 소실을 검색한 결과, HCCs에서는 APOA2, D4S1615, D4S1554, D8S264, DBS261, D8S565 및 D16S752부위가 대립유전자 소실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부위임을 밝혔다. 이러한 부위들과 p53부위의 대립유전자 소실 유무를 임상 및 병리학적 변수들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립유전자 소실이 빈번한 HCC에서는 APOA2, D4S1554, D8S565 부위의 소실이 공통적으로 자주 나타났으며 (p=0.03∼0.04), D4S1554, D8S261 및 D8S565 부위에 소실(p=0.01∼0.04)이 있거나 여러 부위에 소실 (p=0.01)이 있는 HCC들은 조직학적으로 낮은 분화도를 보였다. 또한 D4S1554 부위와 D8S565 부위의 소실 (p=0.03), D8S264 부위와 DBS264 부위의 소실 (p=0.03),그리고 D8S261 부위와 D8S264부위의 소실 (p=0.05)은 각각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연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HCC에서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부위에 LOH가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부위에 종양억제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며, 특정부위의 대립유전자 소실이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갖고 일어날 뿐 아니라 HCC의 분화도가 낮은 경우 대립유전자 소실이 빈번한 것으로 보아 이들 부위의 유전자 소실 축적이 HCC의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영문]

To elucidate the genetic events which may play important roles in hepatocarcinogenesis, allelotype study was undertaken initially on 22 hepatocellular carcinomas (HCC) using 68 highly polymorphic micsatellite markers. And 10 blown tumor suppressor genes (TSGs), including VHL, APC, EXTI, WTI, Rbl, p53, BRCAI, nm23, DPC4, and DCC, were examined in 29 HCCs using PCR-LOH (loss of heterozygosity) studies. Frequent LOH (>50%) was found on chromosome arms 1q,4q, 8p, 8q, and 16q. Then, 61 microsatellite markers were used to narrow down the common LOH regions on these chromosonle arms. Specific deletions were found at APOA2, D4S1615, D4S1554, DBS264, DBS261, DBS565, and D16S752 loci. The associations between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nd LOH at these loci and p53 locus were also analyzed in 41 HCCs.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FALG (fractional allelic lass of putative tumor suppressor genes) and tumor differentiation (p=0.01, by Fisher's exact test), between FALG and LOH at APOA2, D4S1554, D8S565(P=0.04, p=0.04, and p=0.03, respectively), and between tumor differentiation and LOH at D4S1554, D8S261,and D8S565 loci (p=0.04, p=0.04, and p=0.0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accumulation of genetic alteration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or the progression of HCC.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LOH at D4S1554 and D8S565 (p=0.03), between LOH at D8S264 and D8S261(P=0.03), and between LOH at D8S261 and D8S565(P=0.05), suggesting that LOH at some loci may cooperate with each ocher during the development of HCC. The frequent LOH on these specific chromosomal arms indicates that novel TSGs might locale at these specific regions, and in addition to p53, the accumulation of LOH on these legions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during the development and the progression of HCC.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99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